
글 수 208
제목(외국어): | The Ritualistic Construction of Korean Gay Masculinity in Cyberspace |
---|---|
구분별 ID: | 201 |
저자: | Jonathan Barkai |
저자(외국어): | Jonathan Barkai |
역자(한글): | . |
간행주기: | . |
호수: | . |
논문구분: | 학위논문(석사) |
학위수여정보: |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한국학 |
발행년도: | 2016년 12월 |
출판사/발행처: | . |
출판지역: | 국내 |
페이지수: | 105 |
크기: | 19.6*26.0 |
언어: | 영어 |
시리즈 제목/번호: | . |
ISBN: | . |
분류기호(한국): | . |
분류기호(듀이): | . |
가격: | . |
설명: | 저자에 따르면 "본 논문은 사이버 공간에서 한국 게이 남성성의 사회적인 구성과 그 구성의 커뮤니티 영향을 탐구"한다. |
입수경로: | 기증(Jonathan Barkai) |
제목: 사이버 공간에서 한국 게이 남성성의 의례적 구성
제목(외국어): The Ritualistic Construction of Korean Gay Masculinity in Cyberspace
저자: Jonathan Barkai
저자(외국어): Jonathan Barkai
논문구분: 학위논문(석사)
학위수여정보: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한국학
발행년도: 2016년 12월
출판지역: 국내
페이지수: 105
크기: 19.6*26.0
언어: 영어
설명: 저자에 따르면 "본 논문은 사이버 공간에서 한국 게이 남성성의 사회적인 구성과 그 구성의 커뮤니티 영향을 탐구"한다.
번호 | 제목 | 구분별 ID | 저자 |
---|---|---|---|
208 | 성별이분법 해체를 위한 헌법적 연구 | 208 | 윤기진 |
207 | ‘탈동성애 운동’의 간증 서사와 그 전략 : 유튜브의 탈동성애자 구술 영상... | 207 | 박부영 |
206 | 역설적 공간으로써 퀴어문화축제 장 | 206 | 정희성 |
205 | 한국 웹툰의 젠더 재현 연구 | 205 | 김유진 |
204 | 젠더퀴어 생애사를 통한 젠더 다양성의 가능성 | 204 | 정두호 |
203 | 감정과 정동의 게이정치: 게이 친밀성 사랑 경험을 중심으로 | 203 | 박해민 |
202 | 트랜스여성의 노동과 복합적인 젠더실천 | 202 | 김수영 |
![]() |
사이버 공간에서 한국 게이 남성성의 의례적 구성 | 201 | Jonathan Barkai |
200 | 성소수자(LGB)의 공동체 의식, 긍정적 정체성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 소수... | 200 | 이성원 |
199 | 한국에서 성 소수자에 대한 기독교상담사의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199 | 이민정 |
198 | 한국 여성시의 에로티시즘 연구 | 198 | 윤향기 |
197 | 상담자의 동성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동성애자 상담에 대한 유능감에 따른 ... | 197 | 우사라 |
196 | 동성애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접근 | 196 | 신재승 |
195 | 낸 골딘(Nan Goldin) 사진에 표현된 휴머니즘(Humanism)에 관한 연구: 성적소... | 195 | 박지숙 |
194 | 마스무라 야스조 영화로 「痴人の愛」와 「卍」 읽기 | 194 | 김서은 |
193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권... | 193 | 강현선 |
192 | 채호기 시의 에로티즘 연구 | 192 | 김준겸 |
191 | 결혼.가족제도의 다양성에 관한 헌법적 연구 | 191 | 김태일 |
190 | 테네시 윌리엄즈 극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 190 | 김현아 |
189 | 고통의 문학적 형상화: 첨부작품을 중심으로 | 189 | 김현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