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찾아보기

찾아보기

  • 기록형태  문서
검색결과 : 2775건 검색

제목| 새로운 성性 정체성, Butch & Femme

설명|부치/펨을 하나의 성별 정체성이라고 규정하면서, 부치/펨이 특별한 행동을 할 때 부치/펨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부치/펨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출처는 "조약골, 새로운 성性 정체성, Butch & Femme, 컬티즌(대중문화 비평 전문 웹진), 2001". 인터넷 문서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68

저자|조약골(아나키스트)

발행년도|[200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부치/펨을 하나의 성별 정체성이라고 규정하면서, 부치/펨이 특별한 행동을 할 때 부치/펨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부치/펨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출처는 "조약골, 새로운 성性 정체성, Butch & Femme, 컬티즌(대중문화 비평 전문 웹진), 2001". 인터넷 문서 출력본.
  • 문서
  • 부치/펨을 하나의 성별 정체성이라고 규정하면서, 부치/펨이 특별한 행동을 할 때 부치/펨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부치/펨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출처는 ""조약골, 새로운 성性 정체성, Butch & Femme, 컬티즌(대중문화 비평 전문 웹진), 2001"". 인터넷 문서 출력본.

제목| 부치를 '나'를 말하지 않는다 : 퀴어 정치학, 편입이냐 전복이냐

설명|퀴어 운동의 현재 주소와 방향성을 점검하면서 이성애적인 법과 제도에서 인정받는 수준을 뛰어넘는 전복적인 퀴어 정치학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레즈비언이 "이성애중심적 재현 체계와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항"을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을 기초로 부치-펨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출처는 "이미영, 부치를 '나'를 말하지 않는다 : 퀴어…

식별번호|DB-0000567

저자|이미영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퀴어 운동의 현재 주소와 방향성을 점검하면서 이성애적인 법과 제도에서 인정받는 수준을 뛰어넘는 전복적인 퀴어 정치학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레즈비언이 "이성애중심적 재현 체계와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항"을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을 기초로 부치-펨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출처는 "이미영, 부치를 '나'를 말하지 않는다 : 퀴어 정치학, 편입이냐 전복이냐, 컬티즌(대중문화 비평 전문 웹진), 2001-04-10". 인터넷 문서 출력본.
  • 문서
  • 퀴어 운동의 현재 주소와 방향성을 점검하면서 이성애적인 법과 제도에서 인정받는 수준을 뛰어넘는 전복적인 퀴어 정치학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레즈비언이 ""이성애중심적 재현 체계와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항""을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을 기초로 부치-펨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출처는 ""이미영, 부치를 '나'를 말하지 않는다 : 퀴어 정치학, 편입이냐 전복이냐, 컬티즌(대중문화 비평 전문 웹진), 2001-04-10"". 인터넷 문서 출력본.

제목| 창녀, 레즈비언의 운동 이야기 : 여성과 동성애자의 운동 방향에 대해서

설명|서구와 한국의 여성/레즈비언 운동 및 이론의 역사를 살피면서, 여성운동과 레즈비언 운동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운동의 방향을 제안하는 글이다. 출처는 "변리나, 창녀, 레즈비언의 운동 이야기 : 여성과 동성애자의 운동 방향에 대해서, 정정헌(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25호, 1996". 인터넷 문서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66

저자|변리나(참누리 대표)

발행년도|1996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서구와 한국의 여성/레즈비언 운동 및 이론의 역사를 살피면서, 여성운동과 레즈비언 운동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운동의 방향을 제안하는 글이다. 출처는 "변리나, 창녀, 레즈비언의 운동 이야기 : 여성과 동성애자의 운동 방향에 대해서, 정정헌(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25호, 1996". 인터넷 문서 출력본.
  • 문서
  • 서구와 한국의 여성/레즈비언 운동 및 이론의 역사를 살피면서, 여성운동과 레즈비언 운동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운동의 방향을 제안하는 글이다. 출처는 ""변리나, 창녀, 레즈비언의 운동 이야기 : 여성과 동성애자의 운동 방향에 대해서, 정정헌(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25호, 1996"". 인터넷 문서 출력본.

제목|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동성애 사회들

설명|여러 문화권에서 발견되는 레즈비언 의례, 관계, 친밀성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를 소개하면서 레즈비언과 게이 집단의 차이와 동성애 억압의 원인을 살피는 글이다. 출처는 "미상,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동성애 사회들, 한림행원(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지) 5호, 1998" 인터넷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65

저자|[미상]

발행년도|2000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리치의 레즈비언-페미니즘과 윅스의 사회구성주의

설명|동성애가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잡고 이에 기초한 공공문화가 형성된 서구의 1950년대 이후 시기를 애드리언 리치의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제프리 윅스의 사회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터넷 문서 출력본. 참고로 글쓴이의 IP 주소가 포항공대.

식별번호|DB-0000564

저자|[cocteau4]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동성애가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잡고 이에 기초한 공공문화가 형성된 서구의 1950년대 이후 시기를 애드리언 리치의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제프리 윅스의 사회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터넷 문서 출력본. 참고로 글쓴이의 IP 주소가 포항공대.
  • 문서
  • 동성애가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잡고 이에 기초한 공공문화가 형성된 서구의 1950년대 이후 시기를 애드리언 리치의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제프리 윅스의 사회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터넷 문서 출력본. 참고로 글쓴이의 IP 주소가 포항공대.

제목| 젠더 클로짓: '여성'이라는 이름 하에서의 레즈비언의 사라짐

설명|70-80년대 미국에서 페미니즘이 '차이의 정치학'으로서의 선회하면서 이성애주의를 비판하고 섹슈얼리티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레즈비언 범주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 글이다. 주유신이 채셔 칼훈의 글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이론 세미나 "퀴어" 1회(1998년 8월 29일)에서 발제한 자료다. 원문 출처는 Cheshire Calhoun, "The…

식별번호|DB-0000563

저자|주유신

발행년도|1998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한국의 레즈비언 놀이문화 연구]

설명|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레즈비언 담론을 살펴본 후, 하위문화론과 들뢰즈, 가타리의 '소수자' 개념을 통해서 레즈비언 정체성을 설명하고 있다.

식별번호|DB-0000562

저자|김희연

발행년도|[200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Le nouveau Pacs

설명|동거와 동성결혼으로 인정받지 못했던 배우자의 법적지위를 인정하게 된 PACS(시민연대협약)의 안내서.

식별번호|DA-0000316

저자|Caroline Mecary

발행년도|2006

출판사/발행처|DELMAS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가족구성권

  • 문서

제목| 서울다움 제4호 나눔.고함.논함.알림

식별번호|DA-0000315

저자|사단법인 서울문화포럼

발행년도|2009

출판사/발행처|사단법인 서울문화포럼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제목| 2013 대구 퀴어미술전시 여기퀴어있다

식별번호|DA-0000314

저자|김미란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김미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미상])

  • 문서

제목| 2013년 대한심신산부인과학회 춘계 Workshop 제1부 "성적소수자, 드디어 산부인과를 만나다" 성적소수자의 산부인과 진료 관련 설문 자료집 "정말 불편한가?"

설명|2013년 대한심신산부인과학회 춘계 Workshop 제1부 "성적소수자, 드디어 산부인과를 만나다" 성적소수자의 산부인과 진료 관련 설문 자료집

식별번호|DA-0000313

저자|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한국레즈비언상담소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대한심신산부인과학회,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한국레즈비언상담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미상])

  • 문서

제목| 2013 한국 인권옹호자 실태 보고대회

식별번호|DA-0000312

저자|유엔 인권옹호자 특별보고관 맞이 한국 NGO 모임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유엔 인권옹호자 특별보고관 맞이 한국 NGO 모임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미상])

  • 문서

제목| Comic Land

식별번호|DA-0000311

저자|Comic Land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Comic Land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미상])

  • 문서

제목| 부치를 알려주마, 부치대담!

설명|다섯 명의 부치가 모여서 어린시절, 스타일, 페미니즘, 핵심, 정체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눈 대담 자료다. 출처는 "그림,, 부치를 알려주마, 부치대담!,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2eEnza. 인터넷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61

저자|그림,(언니네트워크)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나는 전천이로소이다

설명|"펨도 되고, 부치도 되고, 아무 것도 아니가다 그 모든 것이기도 한"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면서, "자신의 욕망을 따라가고, 상대와 함께 공명하는 관계"를 추구하는 전천으로 자신을 정체화한다는 내용의 글이다. 출처는 "고_래, 나는 전천이로소이다,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4OmUK5. 인터넷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60

저자|고_래(언니네트워크)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나는 부치다

설명|"부치는 분명 여성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단순히 역할놀이를 즐기는 가벼운 이들이 아님"을 역설하는 글이다. 출처는 "kinney, 나는 부치다,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3RgsTB. 인터넷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59

저자|kinney(언니네트워크)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부치가 왜 문제인가

설명|펨/부치 문화가 이성애주의 단순 모방으로 취급될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며, 부치가 남성적이라는 전제가 무엇인지 탐문하는 글이다. 글 뒤에 33개의 댓글이 첨부되어 있다. 출처는 "페이퍼문, 부치가 왜 문제인가,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9fVWlx. 인터넷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58

저자|페이퍼문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제목| 게이 남성의 몸과 몸의 정치학

설명|서구에서 성이 의학과 과학의 담론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부터 50년대 하위문화, 70년대 성혁명, 80년대 에이즈 위기, 그리고 유전공학이라는 파시즘적인 사회위생학이 작동하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게이의 몸을 둘러싼 시각적 표상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추적하는 글이다. 출처는 "서동진, 게이 남성의 몸과 몸의 정치학, 동국대학교 대학원신문 107호,…

식별번호|DB-0000557

저자|서동진

발행년도|200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HIV/AIDS

  • 문서

제목| 프랑스계 캐나다의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언어와 권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프랑스계 캐나다의 대표적 정치적 레즈비언인 니꼴 브로사르가 제안하는 섹슈얼리티를 언어와 권력의 관계를 통하여 분석"한 글이다. 출처는 "장정애, 프랑스계 캐나다의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언어와 권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8권 2호, (2004): 671-682쪽".

식별번호|DB-0000556

저자|장정애

발행년도|200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게이·레즈비언: 강압적 이성애(compulsory heterosexism)의 희생자?

설명|미국에서의 게이 및 레즈비언 운동과 연구의 흐름을 살피면서 한국 사회의 게이 및 레즈비언 연구를 제안하는 글이다. 출처는 "함인희, 게이·레즈비언: 강압적 이성애(compulsory heterosexism)의 희생자?, 한국사회연구소 2003년 1학기 콜로키엄 발표문 (2003)". 쪽수는 알 수 없음.

식별번호|DB-0000555

저자|항인희

발행년도|200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기록형태  문서
검색결과 : 2775건 출력

새로운 성性 정체성, Butch & Femme

부치/펨을 하나의 성별 정체성이라고 규정하면서, 부치/펨이 특별한 행동을 할 때 부치/펨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부치/펨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출처는 "조약골, 새로운 성性 정체성, Butch & Femme,…

부치를 '나'를 말하지 않는다 : 퀴어 정치학, 편입이냐 전복이냐

퀴어 운동의 현재 주소와 방향성을 점검하면서 이성애적인 법과 제도에서 인정받는 수준을 뛰어넘는 전복적인 퀴어 정치학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레즈비언이 "이성애중심적 재현 체계와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항"을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창녀, 레즈비언의 운동 이야기 : 여성과 동성애자의 운동 방향에 대해서

서구와 한국의 여성/레즈비언 운동 및 이론의 역사를 살피면서, 여성운동과 레즈비언 운동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운동의 방향을 제안하는 글이다. 출처는 "변리나, 창녀, 레즈비언의 운동 이야기 : 여성과 동성애자의 운동 방향에…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동성애 사회들

여러 문화권에서 발견되는 레즈비언 의례, 관계, 친밀성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를 소개하면서 레즈비언과 게이 집단의 차이와 동성애 억압의 원인을 살피는 글이다. 출처는 "미상,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동성애 사회들, 한림행원(한림대학교…

리치의 레즈비언-페미니즘과 윅스의 사회구성주의

동성애가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잡고 이에 기초한 공공문화가 형성된 서구의 1950년대 이후 시기를 애드리언 리치의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제프리 윅스의 사회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터넷 문서 출력본. 참고로 글쓴이의 IP…

젠더 클로짓: '여성'이라는 이름 하에서의 레즈비언의 사라짐

70-80년대 미국에서 페미니즘이 '차이의 정치학'으로서의 선회하면서 이성애주의를 비판하고 섹슈얼리티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레즈비언 범주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 글이다. 주유신이 채셔 칼훈의 글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한국의 레즈비언 놀이문화 연구]

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레즈비언 담론을 살펴본 후, 하위문화론과 들뢰즈, 가타리의 '소수자' 개념을 통해서 레즈비언 정체성을 설명하고 있다.

Le nouveau Pacs

동거와 동성결혼으로 인정받지 못했던 배우자의 법적지위를 인정하게 된 PACS(시민연대협약)의 안내서.

서울다움 제4호 나눔.고함.논함.알림

2013 대구 퀴어미술전시 여기퀴어있다

2013년 대한심신산부인과학회 춘계 Workshop 제1부 "성적소수자, 드디어 산부인과를 만나다" 성적소수자의 산부인과 진료 관련 설문 자료집 "정말 불편한가?"

2013년 대한심신산부인과학회 춘계 Workshop 제1부 "성적소수자, 드디어 산부인과를 만나다" 성적소수자의 산부인과 진료 관련 설문 자료집

2013 한국 인권옹호자 실태 보고대회

Comic Land

부치를 알려주마, 부치대담!

다섯 명의 부치가 모여서 어린시절, 스타일, 페미니즘, 핵심, 정체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눈 대담 자료다. 출처는 "그림,, 부치를 알려주마, 부치대담!,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2eEnza.…

나는 전천이로소이다

"펨도 되고, 부치도 되고, 아무 것도 아니가다 그 모든 것이기도 한"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면서, "자신의 욕망을 따라가고, 상대와 함께 공명하는 관계"를 추구하는 전천으로 자신을 정체화한다는 내용의 글이다. 출처는 "고_래, 나는…

나는 부치다

"부치는 분명 여성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단순히 역할놀이를 즐기는 가벼운 이들이 아님"을 역설하는 글이다. 출처는 "kinney, 나는 부치다,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3RgsTB. 인터넷 출력본.

부치가 왜 문제인가

펨/부치 문화가 이성애주의 단순 모방으로 취급될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며, 부치가 남성적이라는 전제가 무엇인지 탐문하는 글이다. 글 뒤에 33개의 댓글이 첨부되어 있다. 출처는 "페이퍼문, 부치가 왜 문제인가, 월간 언니네 84호,…

게이 남성의 몸과 몸의 정치학

서구에서 성이 의학과 과학의 담론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부터 50년대 하위문화, 70년대 성혁명, 80년대 에이즈 위기, 그리고 유전공학이라는 파시즘적인 사회위생학이 작동하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게이의 몸을 둘러싼 시각적 표상의…

프랑스계 캐나다의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언어와 권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프랑스계 캐나다의 대표적 정치적 레즈비언인 니꼴 브로사르가 제안하는 섹슈얼리티를 언어와 권력의 관계를 통하여 분석"한 글이다. 출처는 "장정애, 프랑스계 캐나다의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언어와 권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게이·레즈비언: 강압적 이성애(compulsory heterosexism)의 희생자?

미국에서의 게이 및 레즈비언 운동과 연구의 흐름을 살피면서 한국 사회의 게이 및 레즈비언 연구를 제안하는 글이다. 출처는 "함인희, 게이·레즈비언: 강압적 이성애(compulsory heterosexism)의 희생자?, 한국사회연구소…
  • 기록형태  문서
검색결과 : 2775건 출력
  • 기록형태  문서
검색결과 : 2775건 출력

제목| 새로운 성性 정체성, Butch & Femme

설명|부치/펨을 하나의 성별 정체성이라고 규정하면서, 부치/펨이 특별한 행동을 할 때 부치/펨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부치/펨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출처는 "조약골, 새로운 성性 정체성, Butch & Femme, 컬티즌(대중문화 비평 전문 웹진), 2001". 인터넷 문서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68

저자|조약골(아나키스트)

발행년도|[200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부치/펨을 하나의 성별 정체성이라고 규정하면서, 부치/펨이 특별한 행동을 할 때 부치/펨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부치/펨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출처는 "조약골, 새로운 성性 정체성, Butch & Femme, 컬티즌(대중문화 비평 전문 웹진), 2001". 인터넷 문서 출력본.
  • 문서
  • 부치/펨을 하나의 성별 정체성이라고 규정하면서, 부치/펨이 특별한 행동을 할 때 부치/펨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부치/펨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출처는 ""조약골, 새로운 성性 정체성, Butch & Femme, 컬티즌(대중문화 비평 전문 웹진), 2001"". 인터넷 문서 출력본.

제목| 부치를 '나'를 말하지 않는다 : 퀴어 정치학, 편입이냐 전복이냐

설명|퀴어 운동의 현재 주소와 방향성을 점검하면서 이성애적인 법과 제도에서 인정받는 수준을 뛰어넘는 전복적인 퀴어 정치학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레즈비언이 "이성애중심적 재현 체계와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항"을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을 기초로 부치-펨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출처는 "이미영, 부치를 '나'를 말하지 않는다 : 퀴어…

식별번호|DB-0000567

저자|이미영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퀴어 운동의 현재 주소와 방향성을 점검하면서 이성애적인 법과 제도에서 인정받는 수준을 뛰어넘는 전복적인 퀴어 정치학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레즈비언이 "이성애중심적 재현 체계와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항"을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을 기초로 부치-펨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출처는 "이미영, 부치를 '나'를 말하지 않는다 : 퀴어 정치학, 편입이냐 전복이냐, 컬티즌(대중문화 비평 전문 웹진), 2001-04-10". 인터넷 문서 출력본.
  • 문서
  • 퀴어 운동의 현재 주소와 방향성을 점검하면서 이성애적인 법과 제도에서 인정받는 수준을 뛰어넘는 전복적인 퀴어 정치학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레즈비언이 ""이성애중심적 재현 체계와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항""을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을 기초로 부치-펨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출처는 ""이미영, 부치를 '나'를 말하지 않는다 : 퀴어 정치학, 편입이냐 전복이냐, 컬티즌(대중문화 비평 전문 웹진), 2001-04-10"". 인터넷 문서 출력본.

제목| 창녀, 레즈비언의 운동 이야기 : 여성과 동성애자의 운동 방향에 대해서

설명|서구와 한국의 여성/레즈비언 운동 및 이론의 역사를 살피면서, 여성운동과 레즈비언 운동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운동의 방향을 제안하는 글이다. 출처는 "변리나, 창녀, 레즈비언의 운동 이야기 : 여성과 동성애자의 운동 방향에 대해서, 정정헌(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25호, 1996". 인터넷 문서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66

저자|변리나(참누리 대표)

발행년도|1996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서구와 한국의 여성/레즈비언 운동 및 이론의 역사를 살피면서, 여성운동과 레즈비언 운동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운동의 방향을 제안하는 글이다. 출처는 "변리나, 창녀, 레즈비언의 운동 이야기 : 여성과 동성애자의 운동 방향에 대해서, 정정헌(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25호, 1996". 인터넷 문서 출력본.
  • 문서
  • 서구와 한국의 여성/레즈비언 운동 및 이론의 역사를 살피면서, 여성운동과 레즈비언 운동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운동의 방향을 제안하는 글이다. 출처는 ""변리나, 창녀, 레즈비언의 운동 이야기 : 여성과 동성애자의 운동 방향에 대해서, 정정헌(성균관대학교 여성주의 교지) 25호, 1996"". 인터넷 문서 출력본.

제목|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동성애 사회들

설명|여러 문화권에서 발견되는 레즈비언 의례, 관계, 친밀성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를 소개하면서 레즈비언과 게이 집단의 차이와 동성애 억압의 원인을 살피는 글이다. 출처는 "미상,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동성애 사회들, 한림행원(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지) 5호, 1998" 인터넷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65

저자|[미상]

발행년도|2000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리치의 레즈비언-페미니즘과 윅스의 사회구성주의

설명|동성애가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잡고 이에 기초한 공공문화가 형성된 서구의 1950년대 이후 시기를 애드리언 리치의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제프리 윅스의 사회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터넷 문서 출력본. 참고로 글쓴이의 IP 주소가 포항공대.

식별번호|DB-0000564

저자|[cocteau4]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동성애가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잡고 이에 기초한 공공문화가 형성된 서구의 1950년대 이후 시기를 애드리언 리치의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제프리 윅스의 사회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터넷 문서 출력본. 참고로 글쓴이의 IP 주소가 포항공대.
  • 문서
  • 동성애가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잡고 이에 기초한 공공문화가 형성된 서구의 1950년대 이후 시기를 애드리언 리치의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제프리 윅스의 사회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인터넷 문서 출력본. 참고로 글쓴이의 IP 주소가 포항공대.

제목| 젠더 클로짓: '여성'이라는 이름 하에서의 레즈비언의 사라짐

설명|70-80년대 미국에서 페미니즘이 '차이의 정치학'으로서의 선회하면서 이성애주의를 비판하고 섹슈얼리티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레즈비언 범주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 글이다. 주유신이 채셔 칼훈의 글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이론 세미나 "퀴어" 1회(1998년 8월 29일)에서 발제한 자료다. 원문 출처는 Cheshire Calhoun, "The…

식별번호|DB-0000563

저자|주유신

발행년도|1998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한국의 레즈비언 놀이문화 연구]

설명|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레즈비언 담론을 살펴본 후, 하위문화론과 들뢰즈, 가타리의 '소수자' 개념을 통해서 레즈비언 정체성을 설명하고 있다.

식별번호|DB-0000562

저자|김희연

발행년도|[200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Le nouveau Pacs

설명|동거와 동성결혼으로 인정받지 못했던 배우자의 법적지위를 인정하게 된 PACS(시민연대협약)의 안내서.

식별번호|DA-0000316

저자|Caroline Mecary

발행년도|2006

출판사/발행처|DELMAS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가족구성권

  • 문서

제목| 서울다움 제4호 나눔.고함.논함.알림

식별번호|DA-0000315

저자|사단법인 서울문화포럼

발행년도|2009

출판사/발행처|사단법인 서울문화포럼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제목| 2013 대구 퀴어미술전시 여기퀴어있다

식별번호|DA-0000314

저자|김미란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김미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미상])

  • 문서

제목| 2013년 대한심신산부인과학회 춘계 Workshop 제1부 "성적소수자, 드디어 산부인과를 만나다" 성적소수자의 산부인과 진료 관련 설문 자료집 "정말 불편한가?"

설명|2013년 대한심신산부인과학회 춘계 Workshop 제1부 "성적소수자, 드디어 산부인과를 만나다" 성적소수자의 산부인과 진료 관련 설문 자료집

식별번호|DA-0000313

저자|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한국레즈비언상담소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대한심신산부인과학회,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한국레즈비언상담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미상])

  • 문서

제목| Comic Land

식별번호|DA-0000311

저자|Comic Land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Comic Land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미상])

  • 문서

제목| 부치를 알려주마, 부치대담!

설명|다섯 명의 부치가 모여서 어린시절, 스타일, 페미니즘, 핵심, 정체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눈 대담 자료다. 출처는 "그림,, 부치를 알려주마, 부치대담!,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2eEnza. 인터넷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61

저자|그림,(언니네트워크)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나는 전천이로소이다

설명|"펨도 되고, 부치도 되고, 아무 것도 아니가다 그 모든 것이기도 한"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면서, "자신의 욕망을 따라가고, 상대와 함께 공명하는 관계"를 추구하는 전천으로 자신을 정체화한다는 내용의 글이다. 출처는 "고_래, 나는 전천이로소이다,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4OmUK5. 인터넷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60

저자|고_래(언니네트워크)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나는 부치다

설명|"부치는 분명 여성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단순히 역할놀이를 즐기는 가벼운 이들이 아님"을 역설하는 글이다. 출처는 "kinney, 나는 부치다,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3RgsTB. 인터넷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59

저자|kinney(언니네트워크)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부치가 왜 문제인가

설명|펨/부치 문화가 이성애주의 단순 모방으로 취급될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며, 부치가 남성적이라는 전제가 무엇인지 탐문하는 글이다. 글 뒤에 33개의 댓글이 첨부되어 있다. 출처는 "페이퍼문, 부치가 왜 문제인가,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9fVWlx. 인터넷 출력본.

식별번호|DB-0000558

저자|페이퍼문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제목| 게이 남성의 몸과 몸의 정치학

설명|서구에서 성이 의학과 과학의 담론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부터 50년대 하위문화, 70년대 성혁명, 80년대 에이즈 위기, 그리고 유전공학이라는 파시즘적인 사회위생학이 작동하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게이의 몸을 둘러싼 시각적 표상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추적하는 글이다. 출처는 "서동진, 게이 남성의 몸과 몸의 정치학, 동국대학교 대학원신문 107호,…

식별번호|DB-0000557

저자|서동진

발행년도|200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HIV/AIDS

  • 문서

제목| 프랑스계 캐나다의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언어와 권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프랑스계 캐나다의 대표적 정치적 레즈비언인 니꼴 브로사르가 제안하는 섹슈얼리티를 언어와 권력의 관계를 통하여 분석"한 글이다. 출처는 "장정애, 프랑스계 캐나다의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언어와 권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8권 2호, (2004): 671-682쪽".

식별번호|DB-0000556

저자|장정애

발행년도|200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제목| 게이·레즈비언: 강압적 이성애(compulsory heterosexism)의 희생자?

설명|미국에서의 게이 및 레즈비언 운동과 연구의 흐름을 살피면서 한국 사회의 게이 및 레즈비언 연구를 제안하는 글이다. 출처는 "함인희, 게이·레즈비언: 강압적 이성애(compulsory heterosexism)의 희생자?, 한국사회연구소 2003년 1학기 콜로키엄 발표문 (2003)". 쪽수는 알 수 없음.

식별번호|DB-0000555

저자|항인희

발행년도|200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