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찾아보기

찾아보기

검색결과 : 732건 검색

제목| 동성결혼은 사회를 어떻게 바꾸는가

설명|동성결혼 관련 책이다.

식별번호|BO-0000818

저자|리 배지트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민음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기증(한주희)

주제|가족구성권

제목| 동성연애를 어떻게 볼 것인가?

설명|[상담과 선교]에 실린 글이며 기독교와 동성애를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1777

저자|스튜어트 뱁 베이지

발행년도|1994

출판사/발행처|한국상담선교연구원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동성애자, 에이즈, 정책

설명|HIV/AIDS에 대한 KSCRC의 입장을 설명하고, 국가 정책의 변화, 동성애=HIV/AIDS 공식, 콘돔배포/익명검사 등의 활동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2005년 HIV/AIDS 관리지침 부분은 발제문에서 생략되어 있다. 2005년 11월 6일(토) 친구사이 토론회 발표문.

식별번호|DB-0000510

저자|한채윤

발행년도|2005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HIV/AIDS

  • HIV/AIDS에 대한 KSCRC의 입장을 설명하고, 국가 정책의 변화, 동성애=HIV/AIDS 공식, 콘돔배포/익명검사 등의 활동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2005년 HIV/AIDS 관리지침 부분은 발제문에서 생략되어 있다. 2005년 11월 6일(토) 친구사이 토론회 발표문.
  • HIV/AIDS에 대한 KSCRC의 입장을 설명하고, 국가 정책의 변화, 동성애=HIV/AIDS 공식, 콘돔배포/익명검사 등의 활동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2005년 HIV/AIDS 관리지침 부분은 발제문에서 생략되어 있다. 2005년 11월 6일(토) 친구사이 토론회 발표문.

제목| 외국의 동성결혼 현황

설명|B-340과 연결. 문화연대에서 나오는 월간 잡지 '문화연대'에 실린 특집 기사 중의 하나. 프랑스 팍스법, 버몬트주의 시민연대법 등을 살펴보고 동성결혼 합법화의 가능성에 대해 쓴 글

식별번호|DB-0000341

저자|한채윤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문화연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가족구성권

제목| 동성애자 억압의 사회사

식별번호|BO-0000064

저자|노라 칼린

발행년도|1995

출판사/발행처|책갈피; Bookmarks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제목| 미국은 어떻게 동성결혼을 받아들였나? : 미국 법원의 동성결혼 합법화 12대 판결

설명|미국의 동성결혼 관련 판례를 모아 소개한 책이다.

식별번호|BO-0000819

저자|정소영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도서출판 렉스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기증(한주희)

주제|가족구성권

제목| 무성애를 말하다

설명|많은 사람들이 무성애를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무성애에 관한 역사적, 생물학적, 사회학적 측면을 탐색하는 책

식별번호|BO-0000593

저자|앤서니 보개트

발행년도|2013; 2012

출판사/발행처|레디셋고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무성애

ASEXUALITY 무성애

제목| ASEXUALITY 무성애

설명|에이로그팀(A-LOG팀)에서 무성애의 기본적인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만든 자료다. 2016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에서 배포하였다.

식별번호|DB-0001412

저자|에이로그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A-LOG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A-LOG 에이로그팀)

주제|무성애

제목| 동성애자! 군대에 맞서 투쟁하다 '동성애자 김일병 구하기!'

설명|"정율, 동성애자! 군대에 맞서 투쟁하다, 연세 72호 (2006): 121-132"

식별번호|DB-0000616

저자|정율

발행년도|2006

출판사/발행처|연세편집위원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군대

한국에서의 동성결혼, 가능한가 : 동성애자 커플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

제목| 한국에서의 동성결혼, 가능한가 : 동성애자 커플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

설명|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여기동 동성애자인권연대 활동가가 자신의 경험에 기반해 동성 커플이 받는 실제 피해 사례들을 정리하였다.

식별번호|DB-0000322

저자|여기동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주제|가족구성권

  • 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여기동 동성애자인권연대 활동가가 자신의 경험에 기반해 동성 커플이 받는 실제 피해 사례들을 정리하였다.
  • 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여기동 동성애자인권연대 활동가가 자신의 경험에 기반해 동성 커플이 받는 실제 피해 사례들을 정리하였다.

제목| 동성애자와 인간 존엄성

설명|[건강소식]에 실린 글이며, 2002년 제3회 퀴어문화축제, 트랜스젠더와 법제화, 역사 등을 짧게 소개하고 있다.

식별번호|DB-0001870

저자|이광호

발행년도|2002

출판사/발행처|한국건강관리협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제목| 나는 동성애자다, 나는 여성이다

설명|한국여성성적소수자인권운동모임 끼리끼리가 '국가인권위원회 2003년도 인권증진을 위한 시민실천 프로그램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동성애에 관한 올바른 인식 확산을 위한 여성성소수자 자긍심갖기 프로그램 - 나는 동성애자다, 나는 여성이다' 자료집이다. 본 프로그램은 2003년 8월 30일부터 9월 17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2-6시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식별번호|DA-0000029

저자|한국여성성적소수자인권운동모임 끼리끼리

발행년도|2003

출판사/발행처|한국여성성적소수자인권운동모임 끼리끼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제목| 음악의 역사 속의 동성애자

설명|2001년 미지로 아카데미에서 개설되었던 동성애강좌(기획:한채윤)에서 음악 강의를 했던 한채윤이 인터넷에서 관련 글을 모아 편집한 강의 자료.

식별번호|DB-0000193

저자|인화

발행년도|2001

출판사/발행처|인화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제목| 동성애자 인권연대 연혁

설명|1997년부터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시절부터 2000년 동성애자인권연대까지 활동을 정리한 연대기. BUDDY에서 동성애자인권연대 홈페이지 올려져있던 것을 출력한 것으로 보임

식별번호|DB-0000294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00-2001]

출판사/발행처|동성애자인권연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BUDDY)

제목|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설명|1997년 9월 9일 가칭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건설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1997년 11월 2일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약칭 대동인) 으로 정식 출범하였다. "왜곡된 언론보도와 에이즈정책에 대항하는 범동성애자 비상대책위원회"를 발족하며 HIV/AIDS 관련 활동을 했고, 노동자와 연대 활동을 했다. 1998년 3월 소식지 다이크Dyke를…

식별번호|OG-0006

제목| 한국동성애자단체협의회

설명|1998년 6월 29일에 공식 출범한 전국 성소수자 단체간의 협의체이다. 1998년 봄, 잡지 [버디BUDDY] 편집팀이 전국의 단체에 공식 제안을 하였고 1998년 5월 30일, 세종대의 한 강의실에서 '전국 동성애자 단체 대표자 연석회의'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서 1995년에 결성된 최초의 협의체인 [한국동성애자인권운동협의회(동인협)]의 실체가…

식별번호|OG-0005

제목| 동성애자의 2예 同性愛者의 2例

설명|[신경정신의학]에 실린 글이다.

식별번호|DB-0001793

저자|염우권; 孫容鎬; 金聖會; 崔興洙; 周鐘球; 金承八; 李竹內

발행년도|1967

출판사/발행처|대한신경정신의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한국 동성애자의 인권 현실

설명|시민과변호사 2000년 12월호에 마련된 '동성애, 성전환 그리고 성 정체성'이란 특집에 함께 실린 최이연씨의 글.

식별번호|DB-0000438

저자|최이연

발행년도|2000

출판사/발행처|시민과변호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익명)

주제|트랜스젠더퀴어

  • 시민과변호사 2000년 12월호에 마련된 '동성애, 성전환 그리고 성 정체성'이란 특집에 함께 실린 최이연씨의 글.
  • 시민과변호사 2000년 12월호에 마련된 '동성애, 성전환 그리고 성 정체성'이란 특집에 함께 실린 최이연씨의 글.

제목| 일본이 동성애자 천국이라구요?

설명|사회평론 길에 실린 기사. 한국에 사는 일본인 게이의 편지를 받고 친구사이 사무실을 찾아가 나눈 인터뷰를 정리한 기사.

식별번호|DB-0000436

저자|양난주

발행년도|1995

출판사/발행처|월간 사회평론 길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익명)

동성애자의 결혼과 가정은 어떻게 보호되어야 하나?

제목| 동성애자의 결혼과 가정은 어떻게 보호되어야 하나?

설명|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이은우 변호사가 결혼과 가족제도에 대한 법적 보호와 성적 지향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할 권리와 가정을 가질 권리의 보호, 성적소수자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결혼과 가족을 보호받을 것인가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0324

저자|이은우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한채윤)

주제|가족구성권

  • 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이은우 변호사가 결혼과 가족제도에 대한 법적 보호와 성적 지향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할 권리와 가정을 가질 권리의 보호, 성적소수자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결혼과 가족을 보호받을 것인가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 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이은우 변호사가 결혼과 가족제도에 대한 법적 보호와 성적 지향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할 권리와 가정을 가질 권리의 보호, 성적소수자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결혼과 가족을 보호받을 것인가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검색결과 : 732건 출력

동성결혼은 사회를 어떻게 바꾸는가

동성결혼 관련 책이다.

동성연애를 어떻게 볼 것인가?

[상담과 선교]에 실린 글이며 기독교와 동성애를 다루고 있다.

동성애자, 에이즈, 정책

HIV/AIDS에 대한 KSCRC의 입장을 설명하고, 국가 정책의 변화, 동성애=HIV/AIDS 공식, 콘돔배포/익명검사 등의 활동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2005년 HIV/AIDS 관리지침 부분은 발제문에서 생략되어 있다.…

외국의 동성결혼 현황

B-340과 연결. 문화연대에서 나오는 월간 잡지 '문화연대'에 실린 특집 기사 중의 하나. 프랑스 팍스법, 버몬트주의 시민연대법 등을 살펴보고 동성결혼 합법화의 가능성에 대해 쓴 글

동성애자 억압의 사회사

미국은 어떻게 동성결혼을 받아들였나? : 미국 법원의 동성결혼 합법화 12대 판결

미국의 동성결혼 관련 판례를 모아 소개한 책이다.

무성애를 말하다

많은 사람들이 무성애를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무성애에 관한 역사적, 생물학적, 사회학적 측면을 탐색하는 책
ASEXUALITY 무성애

ASEXUALITY 무성애

에이로그팀(A-LOG팀)에서 무성애의 기본적인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만든 자료다. 2016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에서 배포하였다.

동성애자! 군대에 맞서 투쟁하다 '동성애자 김일병 구하기!'

"정율, 동성애자! 군대에 맞서 투쟁하다, 연세 72호 (2006): 121-132"
한국에서의 동성결혼, 가능한가 : 동성애자 커플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

한국에서의 동성결혼, 가능한가 : 동성애자 커플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

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여기동 동성애자인권연대 활동가가 자신의 경험에 기반해 동성 커플이 받는 실제 피해 사례들을 정리하였다.

동성애자와 인간 존엄성

[건강소식]에 실린 글이며, 2002년 제3회 퀴어문화축제, 트랜스젠더와 법제화, 역사 등을 짧게 소개하고 있다.

나는 동성애자다, 나는 여성이다

한국여성성적소수자인권운동모임 끼리끼리가 '국가인권위원회 2003년도 인권증진을 위한 시민실천 프로그램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동성애에 관한 올바른 인식 확산을 위한 여성성소수자 자긍심갖기 프로그램 - 나는 동성애자다, 나는…

음악의 역사 속의 동성애자

2001년 미지로 아카데미에서 개설되었던 동성애강좌(기획:한채윤)에서 음악 강의를 했던 한채윤이 인터넷에서 관련 글을 모아 편집한 강의 자료.

동성애자 인권연대 연혁

1997년부터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시절부터 2000년 동성애자인권연대까지 활동을 정리한 연대기. BUDDY에서 동성애자인권연대 홈페이지 올려져있던 것을 출력한 것으로 보임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1997년 9월 9일 가칭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건설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1997년 11월 2일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약칭 대동인) 으로 정식 출범하였다. "왜곡된 언론보도와 에이즈정책에 대항하는 범동성애자 비상대책위원회"를…

한국동성애자단체협의회

1998년 6월 29일에 공식 출범한 전국 성소수자 단체간의 협의체이다. 1998년 봄, 잡지 [버디BUDDY] 편집팀이 전국의 단체에 공식 제안을 하였고 1998년 5월 30일, 세종대의 한 강의실에서 '전국 동성애자 단체…

동성애자의 2예 同性愛者의 2例

[신경정신의학]에 실린 글이다.

한국 동성애자의 인권 현실

시민과변호사 2000년 12월호에 마련된 '동성애, 성전환 그리고 성 정체성'이란 특집에 함께 실린 최이연씨의 글.

일본이 동성애자 천국이라구요?

사회평론 길에 실린 기사. 한국에 사는 일본인 게이의 편지를 받고 친구사이 사무실을 찾아가 나눈 인터뷰를 정리한 기사.
동성애자의 결혼과 가정은 어떻게 보호되어야 하나?

동성애자의 결혼과 가정은 어떻게 보호되어야 하나?

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이은우 변호사가 결혼과 가족제도에 대한 법적 보호와 성적 지향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할 권리와 가정을 가질 권리의 보호, 성적소수자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결혼과…
검색결과 : 732건 출력

제목| 동성결혼은 사회를 어떻게 바꾸는가

설명|동성결혼 관련 책이다.

식별번호|BO-0000818

저자|리 배지트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민음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기증(한주희)

주제|가족구성권

제목| 동성연애를 어떻게 볼 것인가?

설명|[상담과 선교]에 실린 글이며 기독교와 동성애를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1777

저자|스튜어트 뱁 베이지

발행년도|1994

출판사/발행처|한국상담선교연구원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동성애자, 에이즈, 정책

설명|HIV/AIDS에 대한 KSCRC의 입장을 설명하고, 국가 정책의 변화, 동성애=HIV/AIDS 공식, 콘돔배포/익명검사 등의 활동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2005년 HIV/AIDS 관리지침 부분은 발제문에서 생략되어 있다. 2005년 11월 6일(토) 친구사이 토론회 발표문.

식별번호|DB-0000510

저자|한채윤

발행년도|2005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HIV/AIDS

  • HIV/AIDS에 대한 KSCRC의 입장을 설명하고, 국가 정책의 변화, 동성애=HIV/AIDS 공식, 콘돔배포/익명검사 등의 활동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2005년 HIV/AIDS 관리지침 부분은 발제문에서 생략되어 있다. 2005년 11월 6일(토) 친구사이 토론회 발표문.
  • HIV/AIDS에 대한 KSCRC의 입장을 설명하고, 국가 정책의 변화, 동성애=HIV/AIDS 공식, 콘돔배포/익명검사 등의 활동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다. 2005년 HIV/AIDS 관리지침 부분은 발제문에서 생략되어 있다. 2005년 11월 6일(토) 친구사이 토론회 발표문.

제목| 외국의 동성결혼 현황

설명|B-340과 연결. 문화연대에서 나오는 월간 잡지 '문화연대'에 실린 특집 기사 중의 하나. 프랑스 팍스법, 버몬트주의 시민연대법 등을 살펴보고 동성결혼 합법화의 가능성에 대해 쓴 글

식별번호|DB-0000341

저자|한채윤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문화연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가족구성권

제목| 동성애자 억압의 사회사

식별번호|BO-0000064

저자|노라 칼린

발행년도|1995

출판사/발행처|책갈피; Bookmarks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제목| 미국은 어떻게 동성결혼을 받아들였나? : 미국 법원의 동성결혼 합법화 12대 판결

설명|미국의 동성결혼 관련 판례를 모아 소개한 책이다.

식별번호|BO-0000819

저자|정소영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도서출판 렉스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기증(한주희)

주제|가족구성권

제목| 무성애를 말하다

설명|많은 사람들이 무성애를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무성애에 관한 역사적, 생물학적, 사회학적 측면을 탐색하는 책

식별번호|BO-0000593

저자|앤서니 보개트

발행년도|2013; 2012

출판사/발행처|레디셋고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무성애

제목| ASEXUALITY 무성애

설명|에이로그팀(A-LOG팀)에서 무성애의 기본적인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만든 자료다. 2016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에서 배포하였다.

식별번호|DB-0001412

저자|에이로그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A-LOG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A-LOG 에이로그팀)

주제|무성애

제목| 동성애자! 군대에 맞서 투쟁하다 '동성애자 김일병 구하기!'

설명|"정율, 동성애자! 군대에 맞서 투쟁하다, 연세 72호 (2006): 121-132"

식별번호|DB-0000616

저자|정율

발행년도|2006

출판사/발행처|연세편집위원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군대

제목| 한국에서의 동성결혼, 가능한가 : 동성애자 커플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

설명|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여기동 동성애자인권연대 활동가가 자신의 경험에 기반해 동성 커플이 받는 실제 피해 사례들을 정리하였다.

식별번호|DB-0000322

저자|여기동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주제|가족구성권

  • 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여기동 동성애자인권연대 활동가가 자신의 경험에 기반해 동성 커플이 받는 실제 피해 사례들을 정리하였다.
  • 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여기동 동성애자인권연대 활동가가 자신의 경험에 기반해 동성 커플이 받는 실제 피해 사례들을 정리하였다.

제목| 동성애자와 인간 존엄성

설명|[건강소식]에 실린 글이며, 2002년 제3회 퀴어문화축제, 트랜스젠더와 법제화, 역사 등을 짧게 소개하고 있다.

식별번호|DB-0001870

저자|이광호

발행년도|2002

출판사/발행처|한국건강관리협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제목| 나는 동성애자다, 나는 여성이다

설명|한국여성성적소수자인권운동모임 끼리끼리가 '국가인권위원회 2003년도 인권증진을 위한 시민실천 프로그램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동성애에 관한 올바른 인식 확산을 위한 여성성소수자 자긍심갖기 프로그램 - 나는 동성애자다, 나는 여성이다' 자료집이다. 본 프로그램은 2003년 8월 30일부터 9월 17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2-6시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식별번호|DA-0000029

저자|한국여성성적소수자인권운동모임 끼리끼리

발행년도|2003

출판사/발행처|한국여성성적소수자인권운동모임 끼리끼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제목| 음악의 역사 속의 동성애자

설명|2001년 미지로 아카데미에서 개설되었던 동성애강좌(기획:한채윤)에서 음악 강의를 했던 한채윤이 인터넷에서 관련 글을 모아 편집한 강의 자료.

식별번호|DB-0000193

저자|인화

발행년도|2001

출판사/발행처|인화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제목| 동성애자 인권연대 연혁

설명|1997년부터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시절부터 2000년 동성애자인권연대까지 활동을 정리한 연대기. BUDDY에서 동성애자인권연대 홈페이지 올려져있던 것을 출력한 것으로 보임

식별번호|DB-0000294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00-2001]

출판사/발행처|동성애자인권연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BUDDY)

제목|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설명|1997년 9월 9일 가칭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건설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1997년 11월 2일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약칭 대동인) 으로 정식 출범하였다. "왜곡된 언론보도와 에이즈정책에 대항하는 범동성애자 비상대책위원회"를 발족하며 HIV/AIDS 관련 활동을 했고, 노동자와 연대 활동을 했다. 1998년 3월 소식지 다이크Dyke를…

식별번호|OG-0006

제목| 한국동성애자단체협의회

설명|1998년 6월 29일에 공식 출범한 전국 성소수자 단체간의 협의체이다. 1998년 봄, 잡지 [버디BUDDY] 편집팀이 전국의 단체에 공식 제안을 하였고 1998년 5월 30일, 세종대의 한 강의실에서 '전국 동성애자 단체 대표자 연석회의'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서 1995년에 결성된 최초의 협의체인 [한국동성애자인권운동협의회(동인협)]의 실체가…

식별번호|OG-0005

제목| 동성애자의 2예 同性愛者의 2例

설명|[신경정신의학]에 실린 글이다.

식별번호|DB-0001793

저자|염우권; 孫容鎬; 金聖會; 崔興洙; 周鐘球; 金承八; 李竹內

발행년도|1967

출판사/발행처|대한신경정신의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한국 동성애자의 인권 현실

설명|시민과변호사 2000년 12월호에 마련된 '동성애, 성전환 그리고 성 정체성'이란 특집에 함께 실린 최이연씨의 글.

식별번호|DB-0000438

저자|최이연

발행년도|2000

출판사/발행처|시민과변호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익명)

주제|트랜스젠더퀴어

  • 시민과변호사 2000년 12월호에 마련된 '동성애, 성전환 그리고 성 정체성'이란 특집에 함께 실린 최이연씨의 글.
  • 시민과변호사 2000년 12월호에 마련된 '동성애, 성전환 그리고 성 정체성'이란 특집에 함께 실린 최이연씨의 글.

제목| 일본이 동성애자 천국이라구요?

설명|사회평론 길에 실린 기사. 한국에 사는 일본인 게이의 편지를 받고 친구사이 사무실을 찾아가 나눈 인터뷰를 정리한 기사.

식별번호|DB-0000436

저자|양난주

발행년도|1995

출판사/발행처|월간 사회평론 길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익명)

제목| 동성애자의 결혼과 가정은 어떻게 보호되어야 하나?

설명|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이은우 변호사가 결혼과 가족제도에 대한 법적 보호와 성적 지향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할 권리와 가정을 가질 권리의 보호, 성적소수자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결혼과 가족을 보호받을 것인가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0324

저자|이은우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한채윤)

주제|가족구성권

  • 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이은우 변호사가 결혼과 가족제도에 대한 법적 보호와 성적 지향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할 권리와 가정을 가질 권리의 보호, 성적소수자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결혼과 가족을 보호받을 것인가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 2004년 퀴어문화축제 토론회 ' 한국에서 동성 결혼은 가능한가'의 발제문. 이은우 변호사가 결혼과 가족제도에 대한 법적 보호와 성적 지향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할 권리와 가정을 가질 권리의 보호, 성적소수자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결혼과 가족을 보호받을 것인가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