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찾아보기

찾아보기

  • 사용언어  한국어
  • 입수경로(수집)  퀴어락
  • 주제  트랜스젠더퀴어
검색결과 : 5건 검색

제목| 규범적 슬픔, 젠더의 재생산: 장례식, 트랜스젠더, 그리고 감정의 정치

설명|장례식과 트랜스젠더퀴어의 애도, 감정의 퀴어 정치학, 젠더 규범 등을 다룬 글이다.

식별번호|DB-0001375

저자|루인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진보평론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 장례식과 트랜스젠더퀴어의 애도, 감정의 퀴어 정치학, 젠더 규범 등을 다룬 글이다.
  • 장례식과 트랜스젠더퀴어의 애도, 감정의 퀴어 정치학, 젠더 규범 등을 다룬 글이다.
  • 한국어
  • 트랜스젠더퀴어
  • 퀴어락

제목| 말과활 12: 이미와 아직 사이, 퀴어

설명|계간지 말과활에 퀴어 특집이 실린 2016 겨울호다. 박차민정의 "AIDS 패닉 혹은 괴담의 정치", 시우의 "서울, 2Q16 여름: 한국 퀴어 상황을 기록하는 두 번째 노트", 한우리의 "퀴어는 항상 급진적인가?: 퀴어리버럴리즘과 한국퀴어시민의 위치성", 크리스틴 쉴드, 로벨 웨스트브룩의 "전쟁터로서의 화장실과 페니스 패닉"(탁수연 옮김) 등이 실려…

식별번호|BO-0000859

저자|박차민정; 시우; 한우리; 크리스틴 쉴트; 로렐 웨스트브룩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일곱번째숲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HIV/AIDS

  • 말과활 12: 이미와 아직 사이, 퀴어
  • 계간지 말과활에 퀴어 특집이 실린 2016 겨울호다. 박차민정의 "AIDS 패닉 혹은 괴담의 정치", 시우의 "서울, 2Q16 여름: 한국 퀴어 상황을 기록하는 두 번째 노트", 한우리의 "퀴어는 항상 급진적인가?: 퀴어리버럴리즘과 한국퀴어시민의 위치성", 크리스틴 쉴드, 로벨 웨스트브룩의 "전쟁터로서의 화장실과 페니스 패닉"(탁수연 옮김) 등이 실려 있다. 에이즈, 퀴어문화축제, 기독교의 반동성애, 트랜스젠더퀴어와 화장실 이슈 등을 다루고 있다.
  • 계간지 말과활에 퀴어 특집이 실린 2016 겨울호다. 박차민정의 ""AIDS 패닉 혹은 괴담의 정치"", 시우의 ""서울, 2Q16 여름: 한국 퀴어 상황을 기록하는 두 번째 노트"", 한우리의 ""퀴어는 항상 급진적인가?: 퀴어리버럴리즘과 한국퀴어시민의 위치성"", 크리스틴 쉴드, 로벨 웨스트브룩의 ""전쟁터로서의 화장실과 페니스 패닉""(탁수연 옮김) 등이 실려 있다. 에이즈, 퀴어문화축제, 기독교의 반동성애, 트랜스젠더퀴어와 화장실 이슈 등을 다루고 있다.
  • 한국어
  • 트랜스젠더퀴어
  • 퀴어락

제목| 퀴어문화축제와 LGBT/퀴어를 향한 기독교 근본주의 집단의 언설을 다시 생각하기

설명|2015년 퀴어문화축제를 둘러싼 반LGBT/퀴어 집단의 발언, 정신병 혐오 발언 등을 트랜스젠더퀴어 맥락에서 쓴 글이다.

식별번호|DB-0001376

저자|루인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실천문학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 2015년 퀴어문화축제를 둘러싼 반LGBT/퀴어 집단의 발언, 정신병 혐오 발언 등을 트랜스젠더퀴어 맥락에서 쓴 글이다.
  • 2015년 퀴어문화축제를 둘러싼 반LGBT/퀴어 집단의 발언, 정신병 혐오 발언 등을 트랜스젠더퀴어 맥락에서 쓴 글이다.
  • 한국어
  • 트랜스젠더퀴어
  • 퀴어락
PH-0001212

제목| PH-0001212

설명|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양성애자 게이 무성애자 퀴어 범성애자 자유로운 삶 자유로운 사랑 모든 이들의 신나고 가치로운 삶을 위한 권리"라고 적혀있다.

식별번호|PH-0001212

기록유형|사진류

기록형태|사진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양성애; 무성애

  •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양성애자 게이 무성애자 퀴어 범성애자 자유로운 삶 자유로운 사랑 모든 이들의 신나고 가치로운 삶을 위한 권리"라고 적혀있다.
  • 한국어
  • 트랜스젠더퀴어
  • 퀴어락

제목| 성소수자를 향한 한국 주류 미디어의 시선: 1990년대부터 2012년까지의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설명|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는 성적 소수자가 그려지는 모습과 방식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MBC, KBS, SBS, EBS의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이 텔레비전 매체를 통해 방영하는 프로그램들을 성적 소수자가 자발적으로 생산해내는 퀴어 미디어의 반대 개념인 주류 미디어로…

식별번호|TH-0000115

저자|이진

발행년도|201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양성애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는 성적 소수자가 그려지는 모습과 방식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MBC, KBS, SBS, EBS의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이 텔레비전 매체를 통해 방영하는 프로그램들을 성적 소수자가 자발적으로 생산해내는 퀴어 미디어의 반대 개념인 주류 미디어로 규정하고 2012년까지의 방영 프로그램들을 분석 텍스트로 선정해 성적 소수자가 묘사되는 바를 분석했다. 또한, 국내 성소수자를 대표하는 연예인 홍석천과 하리수가 상당 부분 주류 미디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해 이들이 출연한 프로그램들을 따로 분류하여 묘사 방식을 분석했다. 게이 홍석천과 트랜스젠더 하리수가 2000년대 초반 커밍아웃하면서 성소수자에 대한 프로그램이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서 보여지는 성소수자 역시 변태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성정체성으로 고민과 차별을 안고 살아가는 인간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양, 시사, 드라마 쇼?오락의 장르에서 등장하는 성소수자의 성 정체성은 장애로 규정되고 있었다. 그에 따라 이들의 존재는 가족과 사회에 짐을 주는 죄인이라는 사실이 전제된 채, 동정의 대상으로 그려지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성소수자의 차별적 현황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들의 인권 보장 방안을 촉구하고 다양성을 이야기하는 긍정적인 재현의 모습이 있다손 치더라도 이는 일부 프로그램에 국한되고 있었다. 오히려 여타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변태적 이상성과 같이 고정적 이미지에만 성소수자를 국한시켜 바라보는 관행이 발견되었다. 홍석천과 하리수가 등장하는 프로그램에서도 이들이 게이, 트랜스젠더라는 명명으로만 등장함에 따라 성소수자의 다양한 측면이 부각되기 보다 오히려 호기심의 대상, 여성성이 다분한 이들과 같이 성소수자에 대한 특정 이미지만이 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 불식되고 있다기 보다 오히려 이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여전히 이성애중심적 사고에 기반해 있음을 의미한다. 남/녀로 성을 구분하고 이를 올바른 성적 가치관으로 여기는 이성애규범성이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시선에 전제됨에 따라, 주류 미디어의 성소수자의 재현은 오히려 성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오히려 강화할 위험이 있다.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는 성적 소수자가 그려지는 모습과 방식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MBC, KBS, SBS, EBS의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이 텔레비전 매체를 통해 방영하는 프로그램들을 성적 소수자가 자발적으로 생산해내는 퀴어 미디어의 반대 개념인 주류 미디어로 규정하고 2012년까지의 방영 프로그램들을 분석 텍스트로 선정해 성적 소수자가 묘사되는 바를 분석했다. 또한, 국내 성소수자를 대표하는 연예인 홍석천과 하리수가 상당 부분 주류 미디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해 이들이 출연한 프로그램들을 따로 분류하여 묘사 방식을 분석했다. 게이 홍석천과 트랜스젠더 하리수가 2000년대 초반 커밍아웃하면서 성소수자에 대한 프로그램이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서 보여지는 성소수자 역시 변태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성정체성으로 고민과 차별을 안고 살아가는 인간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양, 시사, 드라마 쇼?오락의 장르에서 등장하는 성소수자의 성 정체성은 장애로 규정되고 있었다. 그에 따라 이들의 존재는 가족과 사회에 짐을 주는 죄인이라는 사실이 전제된 채, 동정의 대상으로 그려지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성소수자의 차별적 현황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들의 인권 보장 방안을 촉구하고 다양성을 이야기하는 긍정적인 재현의 모습이 있다손 치더라도 이는 일부 프로그램에 국한되고 있었다. 오히려 여타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변태적 이상성과 같이 고정적 이미지에만 성소수자를 국한시켜 바라보는 관행이 발견되었다. 홍석천과 하리수가 등장하는 프로그램에서도 이들이 게이, 트랜스젠더라는 명명으로만 등장함에 따라 성소수자의 다양한 측면이 부각되기 보다 오히려 호기심의 대상, 여성성이 다분한 이들과 같이 성소수자에 대한 특정 이미지만이 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 불식되고 있다기 보다 오히려 이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여전히 이성애중심적 사고에 기반해 있음을 의미한다. 남/녀로 성을 구분하고 이를 올바른 성적 가치관으로 여기는 이성애규범성이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시선에 전제됨에 따라, 주류 미디어의 성소수자의 재현은 오히려 성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오히려 강화할 위험이 있다.
  • 한국어
  • 트랜스젠더퀴어
  • 퀴어락
  • 사용언어  한국어
  • 입수경로(수집)  퀴어락
  • 주제  트랜스젠더퀴어
검색결과 : 5건 출력

규범적 슬픔, 젠더의 재생산: 장례식, 트랜스젠더, 그리고 감정의 정치

장례식과 트랜스젠더퀴어의 애도, 감정의 퀴어 정치학, 젠더 규범 등을 다룬 글이다.

말과활 12: 이미와 아직 사이, 퀴어

계간지 말과활에 퀴어 특집이 실린 2016 겨울호다. 박차민정의 "AIDS 패닉 혹은 괴담의 정치", 시우의 "서울, 2Q16 여름: 한국 퀴어 상황을 기록하는 두 번째 노트", 한우리의 "퀴어는 항상 급진적인가?: 퀴어리버럴리즘과…

퀴어문화축제와 LGBT/퀴어를 향한 기독교 근본주의 집단의 언설을 다시 생각하기

2015년 퀴어문화축제를 둘러싼 반LGBT/퀴어 집단의 발언, 정신병 혐오 발언 등을 트랜스젠더퀴어 맥락에서 쓴 글이다.
PH-0001212

PH-0001212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양성애자 게이 무성애자 퀴어 범성애자 자유로운 삶 자유로운 사랑 모든 이들의 신나고 가치로운 삶을 위한 권리"라고…

성소수자를 향한 한국 주류 미디어의 시선: 1990년대부터 2012년까지의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는 성적 소수자가 그려지는 모습과 방식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MBC, KBS, SBS, EBS의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 사용언어  한국어
  • 입수경로(수집)  퀴어락
  • 주제  트랜스젠더퀴어
검색결과 : 5건 출력
  • 사용언어  한국어
  • 입수경로(수집)  퀴어락
  • 주제  트랜스젠더퀴어
검색결과 : 5건 출력

제목| 규범적 슬픔, 젠더의 재생산: 장례식, 트랜스젠더, 그리고 감정의 정치

설명|장례식과 트랜스젠더퀴어의 애도, 감정의 퀴어 정치학, 젠더 규범 등을 다룬 글이다.

식별번호|DB-0001375

저자|루인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진보평론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 장례식과 트랜스젠더퀴어의 애도, 감정의 퀴어 정치학, 젠더 규범 등을 다룬 글이다.
  • 장례식과 트랜스젠더퀴어의 애도, 감정의 퀴어 정치학, 젠더 규범 등을 다룬 글이다.
  • 한국어
  • 트랜스젠더퀴어
  • 퀴어락

제목| 말과활 12: 이미와 아직 사이, 퀴어

설명|계간지 말과활에 퀴어 특집이 실린 2016 겨울호다. 박차민정의 "AIDS 패닉 혹은 괴담의 정치", 시우의 "서울, 2Q16 여름: 한국 퀴어 상황을 기록하는 두 번째 노트", 한우리의 "퀴어는 항상 급진적인가?: 퀴어리버럴리즘과 한국퀴어시민의 위치성", 크리스틴 쉴드, 로벨 웨스트브룩의 "전쟁터로서의 화장실과 페니스 패닉"(탁수연 옮김) 등이 실려…

식별번호|BO-0000859

저자|박차민정; 시우; 한우리; 크리스틴 쉴트; 로렐 웨스트브룩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일곱번째숲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HIV/AIDS

  • 말과활 12: 이미와 아직 사이, 퀴어
  • 계간지 말과활에 퀴어 특집이 실린 2016 겨울호다. 박차민정의 "AIDS 패닉 혹은 괴담의 정치", 시우의 "서울, 2Q16 여름: 한국 퀴어 상황을 기록하는 두 번째 노트", 한우리의 "퀴어는 항상 급진적인가?: 퀴어리버럴리즘과 한국퀴어시민의 위치성", 크리스틴 쉴드, 로벨 웨스트브룩의 "전쟁터로서의 화장실과 페니스 패닉"(탁수연 옮김) 등이 실려 있다. 에이즈, 퀴어문화축제, 기독교의 반동성애, 트랜스젠더퀴어와 화장실 이슈 등을 다루고 있다.
  • 계간지 말과활에 퀴어 특집이 실린 2016 겨울호다. 박차민정의 ""AIDS 패닉 혹은 괴담의 정치"", 시우의 ""서울, 2Q16 여름: 한국 퀴어 상황을 기록하는 두 번째 노트"", 한우리의 ""퀴어는 항상 급진적인가?: 퀴어리버럴리즘과 한국퀴어시민의 위치성"", 크리스틴 쉴드, 로벨 웨스트브룩의 ""전쟁터로서의 화장실과 페니스 패닉""(탁수연 옮김) 등이 실려 있다. 에이즈, 퀴어문화축제, 기독교의 반동성애, 트랜스젠더퀴어와 화장실 이슈 등을 다루고 있다.
  • 한국어
  • 트랜스젠더퀴어
  • 퀴어락

제목| 퀴어문화축제와 LGBT/퀴어를 향한 기독교 근본주의 집단의 언설을 다시 생각하기

설명|2015년 퀴어문화축제를 둘러싼 반LGBT/퀴어 집단의 발언, 정신병 혐오 발언 등을 트랜스젠더퀴어 맥락에서 쓴 글이다.

식별번호|DB-0001376

저자|루인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실천문학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 2015년 퀴어문화축제를 둘러싼 반LGBT/퀴어 집단의 발언, 정신병 혐오 발언 등을 트랜스젠더퀴어 맥락에서 쓴 글이다.
  • 2015년 퀴어문화축제를 둘러싼 반LGBT/퀴어 집단의 발언, 정신병 혐오 발언 등을 트랜스젠더퀴어 맥락에서 쓴 글이다.
  • 한국어
  • 트랜스젠더퀴어
  • 퀴어락

제목| PH-0001212

설명|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양성애자 게이 무성애자 퀴어 범성애자 자유로운 삶 자유로운 사랑 모든 이들의 신나고 가치로운 삶을 위한 권리"라고 적혀있다.

식별번호|PH-0001212

기록유형|사진류

기록형태|사진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양성애; 무성애

  •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양성애자 게이 무성애자 퀴어 범성애자 자유로운 삶 자유로운 사랑 모든 이들의 신나고 가치로운 삶을 위한 권리"라고 적혀있다.
  • 한국어
  • 트랜스젠더퀴어
  • 퀴어락

제목| 성소수자를 향한 한국 주류 미디어의 시선: 1990년대부터 2012년까지의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설명|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는 성적 소수자가 그려지는 모습과 방식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MBC, KBS, SBS, EBS의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이 텔레비전 매체를 통해 방영하는 프로그램들을 성적 소수자가 자발적으로 생산해내는 퀴어 미디어의 반대 개념인 주류 미디어로…

식별번호|TH-0000115

저자|이진

발행년도|201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양성애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는 성적 소수자가 그려지는 모습과 방식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MBC, KBS, SBS, EBS의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이 텔레비전 매체를 통해 방영하는 프로그램들을 성적 소수자가 자발적으로 생산해내는 퀴어 미디어의 반대 개념인 주류 미디어로 규정하고 2012년까지의 방영 프로그램들을 분석 텍스트로 선정해 성적 소수자가 묘사되는 바를 분석했다. 또한, 국내 성소수자를 대표하는 연예인 홍석천과 하리수가 상당 부분 주류 미디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해 이들이 출연한 프로그램들을 따로 분류하여 묘사 방식을 분석했다. 게이 홍석천과 트랜스젠더 하리수가 2000년대 초반 커밍아웃하면서 성소수자에 대한 프로그램이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서 보여지는 성소수자 역시 변태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성정체성으로 고민과 차별을 안고 살아가는 인간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양, 시사, 드라마 쇼?오락의 장르에서 등장하는 성소수자의 성 정체성은 장애로 규정되고 있었다. 그에 따라 이들의 존재는 가족과 사회에 짐을 주는 죄인이라는 사실이 전제된 채, 동정의 대상으로 그려지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성소수자의 차별적 현황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들의 인권 보장 방안을 촉구하고 다양성을 이야기하는 긍정적인 재현의 모습이 있다손 치더라도 이는 일부 프로그램에 국한되고 있었다. 오히려 여타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변태적 이상성과 같이 고정적 이미지에만 성소수자를 국한시켜 바라보는 관행이 발견되었다. 홍석천과 하리수가 등장하는 프로그램에서도 이들이 게이, 트랜스젠더라는 명명으로만 등장함에 따라 성소수자의 다양한 측면이 부각되기 보다 오히려 호기심의 대상, 여성성이 다분한 이들과 같이 성소수자에 대한 특정 이미지만이 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 불식되고 있다기 보다 오히려 이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여전히 이성애중심적 사고에 기반해 있음을 의미한다. 남/녀로 성을 구분하고 이를 올바른 성적 가치관으로 여기는 이성애규범성이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시선에 전제됨에 따라, 주류 미디어의 성소수자의 재현은 오히려 성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오히려 강화할 위험이 있다.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를 지칭하는 성적 소수자가 그려지는 모습과 방식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MBC, KBS, SBS, EBS의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이 텔레비전 매체를 통해 방영하는 프로그램들을 성적 소수자가 자발적으로 생산해내는 퀴어 미디어의 반대 개념인 주류 미디어로 규정하고 2012년까지의 방영 프로그램들을 분석 텍스트로 선정해 성적 소수자가 묘사되는 바를 분석했다. 또한, 국내 성소수자를 대표하는 연예인 홍석천과 하리수가 상당 부분 주류 미디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해 이들이 출연한 프로그램들을 따로 분류하여 묘사 방식을 분석했다. 게이 홍석천과 트랜스젠더 하리수가 2000년대 초반 커밍아웃하면서 성소수자에 대한 프로그램이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서 보여지는 성소수자 역시 변태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성정체성으로 고민과 차별을 안고 살아가는 인간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양, 시사, 드라마 쇼?오락의 장르에서 등장하는 성소수자의 성 정체성은 장애로 규정되고 있었다. 그에 따라 이들의 존재는 가족과 사회에 짐을 주는 죄인이라는 사실이 전제된 채, 동정의 대상으로 그려지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성소수자의 차별적 현황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들의 인권 보장 방안을 촉구하고 다양성을 이야기하는 긍정적인 재현의 모습이 있다손 치더라도 이는 일부 프로그램에 국한되고 있었다. 오히려 여타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변태적 이상성과 같이 고정적 이미지에만 성소수자를 국한시켜 바라보는 관행이 발견되었다. 홍석천과 하리수가 등장하는 프로그램에서도 이들이 게이, 트랜스젠더라는 명명으로만 등장함에 따라 성소수자의 다양한 측면이 부각되기 보다 오히려 호기심의 대상, 여성성이 다분한 이들과 같이 성소수자에 대한 특정 이미지만이 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 불식되고 있다기 보다 오히려 이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여전히 이성애중심적 사고에 기반해 있음을 의미한다. 남/녀로 성을 구분하고 이를 올바른 성적 가치관으로 여기는 이성애규범성이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시선에 전제됨에 따라, 주류 미디어의 성소수자의 재현은 오히려 성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오히려 강화할 위험이 있다.
  • 한국어
  • 트랜스젠더퀴어
  • 퀴어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