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본 논문은 비이성애자와 트랜스젠더를 비롯한 성소수자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퀴어성과 종교적 신앙을 조응시키고 통합적인 퀴어 기독교인 시민권 모델을 구축하는지를 서울의 성소수자 지지 교회 한 곳의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지금까지 비규범적 젠더 및 섹슈얼리티에 대한 대중적…
2016년 제8회 LGBTI 인권포럼 자료집이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진행했다. 사전연구포럼이 따로 진행되었으며(이는 자료집에 수록되지 않았으며 퀴어락에 별도로 등록되었다), 여성혐오, 종교, 레즈비언, 트랜스젠더퀴어, 제도, 부치, 유권자운동, 에이즈,…
2013 LGBT 인권포럼 자료집이다. 서강대 장하상관에서 진행했다. 커뮤니티 내부의 성폭력, 운동의 경계, 에이즈, 트랜스젠더, 종교, 청소년, 양성애/바이섹슈얼, 법 등의 주제를 다뤘다. (2013.02.16)
2010~2011년 LGBT 인권포럼 자료집이다. 차별금지법, 일터와 가족 구성, 종교, HIV/AIDS(에이즈), 인권조례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2011.11.05)
스웨덴 작가들이 10대 청소년의 섹슈얼리티와 사랑을 주제로 쓴 단편 소설 모음이다. 동성애와 양성애 이슈도 나온다.
[젠더 무법자]를 쓴 트랜스젠더퀴어 작가이자 이론가인 케이트 본스타인의 책이다. 10대 퀴어 청소년이 자살이 아닌 다른 방식의 삶을 모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안을 하는 책이다.
일본의 LGBT/퀴어 단체인 "샐러드 - 섹슈얼마이너리티와 인권을 생각하는 모임"에서 발간한 정기간행물이다. (2013.08)
트랜스젠더인권단체 조각보가 단체 아이콘 및 로고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온 시안 중 하나다. 2016년 1월 13일 회의에서 사용한 자료인데, 이 결과물은 기본적으로 비공식자료며 다른 곳에선 공개되지 않은 것인데 회의용으로 잘못된 시안을 회의자료용으로 출력했기 때문이다.…
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 학과 콜로키움에서 발표한 트랜스젠더퀴어 관련 발표문이다. 케이틀린 제너(Caitlyn Jenner)의 사례를 중심으로 새로운 트랜스규범성을 논하고 있다. 총 10쪽이다. (2019.01.19)
퀴어문화축제는 2014년에 이어 2015년에도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마성의 다정촌을 진행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드로잉, 연극 교육 등의 행사를 진행하며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이 스토리북은 마성의 다정촌 행사를 기록한 자료집이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5…
알렌 브레쉬의 책 [우리들의 차이에 직면하다: 교회 그리고 게이, 레즈비언 교인들]을 번역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서 배포한 보도자료다. 발간배경, 기대효과, 단체 소개 등을 싣고 있다. (2015.12.17)
게이 매거진 [DUIRO 뒤로]의 창간호를 출판하며 그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다. (2016.01.05)
[DUIRO 뒤로]는 게이 매거진이며, 창간호에선 군대 이슈를 다루고 있다. (2016.01.06)
2014년 대구 퀴어문화축제 개최를 앞두고 대구시 공원녹지과에서 해당 행사 개최 배경을 설명하는 공문이다. (2014.06.23)
영화 [두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을 바탕으로 한 박희정의 만화다.
영화 [두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을 바탕으로 한 박희정의 만화다.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을 연구한 기록학 논문이다. (2016.02)
한국 게이 커뮤니티 내에서 혹은 그 주변에서 활동하는 남성 성노동자를 심층 인터뷰하고, 남성 성노동자를 통해 커뮤니티의 구성과 친밀성의 성격을 논한 논문이다. (20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