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인권은 불화다. 만장일치 요구는 폭력이다. 성소수자를 지지하라."라고 적혀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박원순 시장은 시민인권헌장 존중하고 선포하라! 인권은 협상과 타협이 아니다!"라고 적혀있다.
미국의 동성애 잡지. 2003년 12월호다.
2000년 9월8,9일 연세대에서 개최된 퀴어문화축제-무지개2000 행사에서 전교조 노래패가 공연하는 모습이다.
1960년대 이후, 성인 초기부터 결혼 이전까지 부모에게서 독립하여 생활하는 자립기가 등장하면서 이인종 결합과 동성 결합이 확대되고 있다는 주장을 담은 책이다
87년 HIV 오판 사건으로 97년 2월 국가배상을 청구했던 정민숙 씨의 인터뷰 사진이다.
백합물이며, 신무월의 무녀 2권의 일어판본이다
2007년 국회 국정감사 때 대법원을 대상으로 한 국감질의서 중 트랜스젠더 관련 부분이다.
2006년 6월 22일 대법원이 트랜스젠더의 호적상 성별변경을 허가한 뒤, 공동연대가 발표한 성명서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 전시된 모습이다. 일부분이 찢어진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법학]에 실린 논문으로 트랜스젠더의 호적 상 성별변경에 있어 가능한 헌법 쟁점을 논하고 있다.
서울 신촌에 위치한 게이바 '데이브'의 내부 모습이다. 뚱전문 게이바 '데이브'는 신촌로터리에서 서강대로 가는 길목에 위치했다. 이반 업소 사상 최초로 인터넷 홈페이지를 운영해 온라인상으로 친목을 다지고 번개 모임도 여는 등 새로운 게이바의 문화를 창출했다.
[새가정(Christian home)]에 실린 글이다.
레주파 10주년 기념 공개방송 가면무도회 때 기념품을 담은 비닐봉투다. 행사와 관련한 간단한 정도가 적혀있다.
샌프란시스코의 동성애 잡지. 1995년 여름호다.
동성애자인권연대의 성명서와 명동성당에서 단식농성 돌입 등을 알리는 투쟁 속보가 양면으로 담겨져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사랑에도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가요? 박원순씨 밥 먹을 때마다 저희랑 합의 한 번 볼테요?"라고 적혀있다.
HIV/AIDS 인권모임 나누리+와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를 위한 모임 세울터가 함께하고 엄기호가 책임집필한 HIV/AIDS 감염인 인권을 위한 자료집이다. '2004년도 인권증진을 위한 시민실천 프로그램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