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인권변호사라더니ㅋ... 인권은 무슨ㅋ"라고 적혀있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법정책연구회에서 100부 한정으로 판매한 연간보고서의 영문판이다. 2014년부터 연간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으며 2014년 한국 LGBTI 인권현황 개관, 무지개 지수, 영역별 현황,…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부스행사에 참여한 이반드림 IBAN DREAM에서 제작한 자료다. 이반드림의 활동을 소개하고 있는 팜플릿이다.
2002년 9월 7-8일, 일본 도쿄ㆍ시부야 요요기공원에서 열린 도쿄 레즈비언ㆍ게이 퍼레이드 가이드북이다. 전야 파티와 퍼레이드, 포럼등의 일정과 퍼레이드의 역사 등이 소개되어 있다.
2019년 5월 31일 제20회 서울퀴어문화축제 핑크닷 행사 모습이다. 핑크닷 메인 무대에서 11개 대사관의 사람들이 나와 대사관 연대발언을 하는 모습이다. 주한캐나다대사관 대사 마이클 대나허가 발언하는 모습이다.
2019년 5월 19일 제2회 전주퀴어문화축제(슬로건 "퀴어온고을", 장소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의 모습이다. 퍼레이드를 진행하는 모습이며 전주한옥마을로 들어선 모습이다. 주변에 전주한옥마을이 보인다.
미국 뉴욕에 위치한 The Center: The Lesbian, Gay, Bisexual & Transgender Community Center의 사업인 Families, Recovery, Wellness, Youth 활동을 소개하는 홍보물이다.
BUDDY 창간 2주년 기념특집호(17호 봄) 표지모델들이 촬영 후 뒤풀이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 송화로2번길에서 송화로의 굴다리를 지나 참외전로 옆 인도를 따라 동인천역3번 출구 쪽으로 걸어 동인천역3번 출구로 도착한 모습이다. 4시부터 시작한 퍼레이드는 9시가…
청소년 성소수자 위기지원센터 띵동에서 LUSH(러쉬) 채러티 팟 프로그램 지원으로 제작한 프라이드 패스포트(Pride Passport)다. 분홍색 바탕에 띵동의 로고인 ㄸㄷ이 적혀 있다. "이 여권을 소지한 사람은 성별정체성, 성적지향, 인종, 출신국가, 장애유무,…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에서 진행한 십대부터 육십대까지 만나 함께 만들어간 캠프, 멘토링 등을 담은 에세이집이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보도자료며, 12개 언론사가 동성애와 관련하여 사실보도, 지지보도, 반대보도를 얼마나 기사화했는지를 분석한 내용이다.
잡지 '또하나의사랑'의 전신. 하이텔 동성애자인권운동모임 "또하나의사랑"이 개설되기전에 만들어낸 소식지로, 이후 정식모임이 만들어지면서 모임명과 동일한 소식지로 바뀌었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부스행사에 참여한 트랜스젠더 인권단체 조각보에서 제작한 자료다. 뇌를 형상한 이미지와 함께 "GENDER IS HERE | NOT THERE"이라고 적혀 있는 스티커다.
이반지하가 그린 그림이며 다양한 사람과 얼굴을 형상하고 "what's the difference?"라고 적혀 있다.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후원의 밤 "남성성과 젠더" 북 콘서트의 입장 티켓이다. 본 행사는 3월 17일 사운드홀릭시티에서 열렸다.
1999년 8월 3일에서 10일까지 열린 제2회 청소년 동성애 학교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