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ftm/트랜스남성이며 과학자인 벤 바레스의 자서전이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가한 도쿄 노헤이트 Tokyo No H8에서 배포한 스티커다. 원형 스티커로 상단엔 "NO HATE", 중간엔 "함께해요 무지개로" 하단엔 "YOU ARE NOT ALONE."이라고 적혀 있다.
KINO 1996년 6월호에 실린 기사로 크리스토퍼 햄튼 감독의 '캐링턴'에 대한 비평.
2012년 제 13회 퀴어문화축제를 맞이하여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에서 주최한 전시 에서 사용된 현수막이다. 전시 은 퀴어문화축제를 기념하여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와 후천석면역결핍증(AIDS)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레드 리본'은 에이즈…
Progay Philippines (프로게이 필리핀)의 팜플렛이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이 열리는 옥스퍼드 거리 풍경이다. 퍼레이드가 시작하기 전 옥스퍼드 거리로 모이는 관람객들의 모습이다.
1997년 9월 19일 제1회 서울 퀴어영화제 상영관인 연세대학교 동문회관은 전원을 차단했고 서대문구 구청에서는 불법행사로 간주한다는 통지서를 보냄으로써 제1회 영화제가 무산되자 이에 관련한 제1회 서울 퀴어영화제 준비위원회의 입장이 적힌 대자보다.
시드니의 한 게이바에서 열린 드랙퀸 쇼 중 한 장면이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마음 놓고 사랑만 해도 되는 서울의 겨울을 함께 꿈꿉니다. -연세대 무지개농성참여단 "이라고 적혀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현수막이다. "노동당"이라고 적혀 있는 깃발이다. '노동당 여성위원회, 성정치위원회'에서 제작했으며 "인권헌장 선포하라! 노동당은 성소수자에 대한 증오와 폭력에 함께 맞서겠습니다."라고…
대전 성소수자 인권모임 솔롱고스SOLONGOS의 홍보 팜플릿이다. 2015년과 2016년의 활동보고, 솔롱고스의 역할, 회원가입서 등이 있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퍼레이드에 참가한 홍석천이 취재에 응하고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대자보다. '멈출 수 없는 변혁의 심장 관악 제32대 인문대 학생회'에서 작성했으며 "박원순 시장님, 존재도 합의가 되나요?"란 제목으로 작성되었다.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커밍아웃 프로젝트팀의 기획 및 구성으로 진행한 가이드북이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 송화로2번길에서 송화로의 굴다리를 지나 참외전로 옆 인도를 따라 동인천역3번 출구 쪽으로 걸어 동인천역3번 출구로 도착한 모습이다. 4시부터 시작한 퍼레이드는 9시가…
2019년 5월 31일 제20회 서울퀴어문화축제 핑크닷 행사 모습이다. 서울퀴어문화축제 핑크닷 행사에 참여한 "No.3의 매직컬 존" 부스 입구 모습이다. 불, 바람, 땅, 물의 컨셉이 적혀 있다.
이 책은 성매매와 관련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1970년대 1980년대 트랜스젠더와 게이, 바이 관련 자료도 일부 담고 있어 당시 상황을 유추하는데 유용하다. 아울러 http://queerarchive.org/bbs/28892 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