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1998년 잡지 '버디' 기사 작성을 위해 모은 시중에 떠도는 동성애 테스트 2개의 자료를 출력한 것이다. 기증자의 기억으로는 당시의 10대 후반과 20대 초반 여성을 위한 잡지에 실린 것이었다고 한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인권이 존중되는 세상을 향하여!"라고 적혀있다.
2008년에 시작한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의 기획프로젝트로 그동안 단절되었던 레즈비언 세대 간의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레즈비언 잡지 시즌3.
박차민정이 근대 한국 사회의 퀴어 역사를 정리한 책이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아시아여성쉼터(Asian Women's Shelter, AWS)가 1990년 처음 시작한 사업, Queer Asian Women & Transgender Support(QAWTS)를 홍보하는 팜플릿이다. QAWTS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으며,…
또다른세상 6호며, 1998년 10월 7일에 나왔다.
찰스 허먼-움펠드 감독의 영화 의 홍보 책자이다.
비온뒤무지개재단은 2018년 3월 24일, 재단 설립 이후 처음으로 후원주점을 진행했다. 이 행사는 법무부가 끊임없이 재단을 법인으로 승인하지 않고 있음에 항의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본 기록물은 "BOARDING PASS 사단법인 설립으로 가는 후원주점 티켓"이며…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한국여성민우회에서 제작한 '일이삼반' 스티커와 함께 "일반 사람도 이반도 삼반도 모두모두 함께 사는 서울시민입니다."라고 적혀있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가한 도쿄 노헤이트 Tokyo No H8에서 배포한 스티커다. 원형 스티커로 상단엔 "NO HATE", 중간엔 "함께해요 무지개로" 하단엔 "YOU ARE NOT ALONE."이라고 적혀 있다.
1999년 6월 26일 이태원에서 열린 한국동성애자단체협의회 1주년 기념행사에서 사회자가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풀 그림과 함께 "부들(1)/풀 "박시장이 이럴 줄이야(부들부들)""이라고 적혀있다.
2006.03.27. 저녁, 최현숙과 한무지가 '성전환자의 성별변경 및 개명에 관한 특례법안'의 내용과 관련해서 동아대 김석권 교수와 만나 나눈 얘기를 간략하게 정리한 문서다.
[문화와 사회]에 실린 논문이다.
2015 제16회 퀴어문화축제의 퍼레이드 행사를 위해 축제 조직위원회는 남대문경찰서에 집회 신고를 하려 했다. 하지만 반LGBT/퀴어 집단 혹은 보수 기독교 세력은 이를 방해하기 위해 신청일 전부터 줄을 서기 시작했다. 이에 2015.05.21.부터 반LGBT/퀴어…
2017 제1회 제주퀴어문화축제(2017.10.28. 제주신산공원) 행사 당일의 모습이다. 행사장인 신산공원 산책로 입구쪽(신산로와 삼성로 교차점)에 반퀴어 집단이 결집해 있었고 삼성로 부근에 반퀴어 집단이 피켓을 들고 서 있었다. 이 피켓은 "동성간 성행위는…
여성 이반 커뮤니티와 개인 참가자들이 모여 만든 반성폭력네트워크는 여성 이반 커뮤니티 내 성폭력 근절을 위한 모임이다. 이 기록물은 상담사례집으로서, 여성들 간에 발생하는 성폭력 사례들을 정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