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2019년 5월 31일 제20회 서울퀴어문화축제 핑크닷 행사 모습이다. 에어비앤비 부스에 설치된 티셔츠로 "It's Me!!! 이게 나야!" "LOVE IS LOVE" "몰카근절" "더블어 살아가는 세상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등의 문구가 적혀 있다. 티셔츠 아래는…
한국 최초의 게이쇼 레스토랑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오픈한 '하하호호'의 모습이다.
차별금지법 3차 긴급번개에 부른 노래('자옥아' 개사)
[대한성학회지]에 실린 논문이며 트랜스젠더의 성전환수술을 다루고 있다.
에이즈와 게이 이슈를 다룬 산문집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동성애 잡지. 1998년 5월 26일 발간했다.
2015 제16회 퀴어문화축제의 퍼레이드 행사를 위해 축제 조직위원회는 남대문경찰서에 집회 신고를 하려 했다. 하지만 반LGBT/퀴어 집단 혹은 보수 기독교 세력은 이를 방해하기 위해 신청일 전부터 줄을 서기 시작했다. 이에 2015.05.21.부터 반LGBT/퀴어…
잡지 [인권운동] 창간호다. 나영정이 쓴 "정체성 정치, 교차성 정치, 인권의 정치", 대담문 "고통은 어떻게 이야기가 되는가" 등이 실려 있다.
변천이 그린 코믹툰을 모은 책이다.
한국 최초의 동성애 전문 대중잡지 버디의 창간 기념 고사에서 참석자들이 제를 올리고 있는 장면이다.
미투 정국을 분석하는 네 편의 글이 실려 있다. 안희정 재판 과정을 분석한 글, 춘향전을 통해 성적자기결정권을 분석한 글, 트랜스젠더퀴어의 맥락에서 젠더 폭력과 젠더 개념을 분석한 글 등이 실려 있다.
이우인 작가가 레진코믹스에 연재하고 출판한 게이 단편 만화 모음집이다.
2017 제1회 부산퀴어문화축제(2017.09.23.토, 부산시 해운대 구남로문화광장)의 부스 행사에 참가한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성소수자 동아리 오아시스(Oasis)에서 제작한 굿즈 모음이다. 오아시스를 홍보하는 스티커 세트와(OASIS QUEER IN) 라이터가 들어…
2001년 황해문화 겨울호 특집 [이 땅에서 버림받는 사람들] 기획글을 프린트해둔 자료. 목차는 다음과 같다: (1) 차별과 차이 (2) '커밍아웃'과 상징적 폭력 (3) 자기애의 배려 (4) 소수자되기. 출처는 "이동연, 동성애와 성적 소수자 되기, 황해문화 33호,…
캐나다 밴쿠버 프라이드 퍼레이드에 참여했던 분이 기증한 것으로, 당시 퍼레이드 참가자들에게 나누어주었던 기념 목걸이라고 한다.45번과 동일한 것으로 색깔만 다른 것이고, 45번에 있던 종이로 만든 표식이 떨어진 것이다.
서울 홍대앞의 게이바 '콘택트'의 내부 모습이다.
반년간 잡지 [여/성이론]에 실린 트랜스젠더퀴어 이론가이자 역사학자 수잔 스트라이커를 소개한 글이다. 트랜스젠더 페미니즘, 트랜스 역사, 동성애규범성을 다루고 있다.
7명의 이름(별명), 생년월일, 주소 및 연락처가 표 형태로 정리된 문서다. 문서의 제작년도는 불분명하다. 끼리끼리의 회장이었던 댕기동자가 포함된 것으로 보아 끼리끼리와 관련 있는 명단으로 추정된다. 서지류 DB-0002486과 비슷한 문서다. 끼리끼리 전해성의 기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