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트랜스젠더의 호적 상 성별변경을 위해 '성전환자 성별변경 관련 법 제정을 위한 공동연대'에서 작업한 법안을 노회찬 의원이 2006년 10월 12일에 발의하였다. 이렇게 발의한 법안을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논의한 회의록이다. 어떤 안건이 오갔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러브포원 소식지로 2002년 7월 8일에 나왔다.
다비타공동체의 홍포 팜플릿이다. 전화번호 지역번호의 특성상 2000년 7월 이전, 1990년대 자료로 추정된다. 다비타공동체는 매매춘여성, 기지촌 여성, 이중문화자녀들을 위한 쉼터인 다비타의 집과 에이즈 감염자들을 위한 쉼터 희망나눔터를 운영하고 있다. 다비타공동체는…
이화레즈비언 인권운동 모임 에서 주최한 일곱번째 문화제 "소통"의 홍보용 포스터이다. 문화제는 2009년 9월 21~25일까지 진행되었다.
퀴어문화축제(무지개2000) 퍼레이드를 구경하는 시민들의 모습이다.
국립특수교육원에서 발행하는 [직무연수]에 실린 강의안이며 장애인의 성을 다루며 "장애인 특히 정신지체인은 동성애가 많다"라는 "장애인 성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같이 언급하고 있다.
버디 11호로, 1998년 12월 25일에 나왔다.
홍보 엽서이다. 파티는 2006년 6월10일 오후 8시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홍대, 이태원, 종로에서 진행되었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 새동인천지하쇼핑센터 입구에 머물던 인천퀴어문화축제 참가자는 4시 즈음 송화로2번길을 통해 퍼레이드를 진행하려고 했지만 반퀴어 혐오 세력이 도로를 무단 불법 점거하면서…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에서 2007년부터 5년 간 진행한 십대 성적 소수자를 위한 거리이동사업을 진행했고 이 사업의 노하우와 배움을 밑절미 삼아 제작한 가이드북이다. (2013.01.30)
대구경북성소수자인권모임(대소인)에서 2012년 초, 대구ㆍ경북지역 도서관에 소장된 성소수자 관련 도서에 성소수자들에게 남기는 메세지를 적어 꽂았던 글들이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박원순 시장은 시민들의 민주적 합의에 의해 제정된 인권헌장을 선포하라!"라고 적혀있다.
비온뒤무지개재단 부설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에서 발간한 두 번째 소식지다. (2016.06)
2019년 5월 19일 제2회 전주퀴어문화축제(슬로건 "퀴어온고을", 장소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의 모습이다. 노송광장에서 퍼레이드를 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모습이며 입구에서 공연을 하고 있다. 경찰들이 퍼레이드 출발을 용이하기 위해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경찰 뒤로…
The Equality Project에서 제작한 동성결혼 합법화 요구에 대한 리플릿이다. 표지에는 "Same Sex Marriage, Anything Less is not Equal" 이라 적혀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동성애 잡지. 2002년 10월 1일 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