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IGLYO(International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Queer Youth and Student Organisation)의 11번째 소식지이다. 제목은 "Best Practice"로 주제에…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고려대학교 사람과사람에서 제작한 기념품이다. 헌혈 형식으로 보드카와 젤리를 섞은 음료를 판매하는 행사를 진행했고 이것은 그 행사에서 사용한 비닐팩이다.
동성애 관련 교과서 수정 신청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이석태 변호사의 모습이다.
게이와 레즈비언이 공존했던 바 '쇼너'의 외부 전경이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서울시장은 인권헌장 선포하고 성소수자 인권증진 계획 발표하라!"라고 적혀있다.
"몬트리올에서 소설을 쓰는 청년 로렌스와 그의 정열적인 피앙세 프레드는 미래를 약속한 사이. 서른 번째 생일을 맞이한 어느 날, 로렌스는 사랑하는 프레드에게 그 동안 숨겨왔던 비밀을 고백한다. 남은 일생을 여자로 살고 싶다고… 절망의 끝에서도 차마 ‘이 사랑’을…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이화 성소수자 인권운동모임 변태소녀 하늘을 날다(변날)에서 제작, 배포한 모임 홍보 리플렛이다. 축제 행사에서만 사용할 리플렛은 아니지만 그날 함께 배포하였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난 "괴물"이 아니야. 박원순 씨도 알길 바래. ITW & 종로의 정기를 받은 GAY시민 曰 "원순씨 사랑해""라고 적혀있다.
[레드리본]에 실린 글이며 연극 [뷰티플 선데이]를 리뷰했으며 동성애 이슈와 에이즈 이슈를 다루고 있다.
동성애자 차별법 철폐와 인터넷 내용등급제 폐지를 위한 행정소송 및 헌법 소원에 임하는 성명서와 경과보고 등을 1장으로 정리한 것.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KSCRC)에서 제작한 판섹슈얼/범성애 깃발 배지다. 2016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 때 판매했다.
2017년 6월 3일 서울역광장에서 진행한 "생명 가정 효 2017 세계가정축제"(한국교회동성애대책협의회 주최, 전체 행사는 2017.06.02.~2017.06.04.)의 행사 현장 모습이다. 사람들이 행진을 하고 있는 모습이며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생명-가정-효(孝)…
한국에서는 라고 번역되어 나온 일본 원작
이라는 도서에 포함된 글. 뱀파이어를 다룬 영화속에서 동성애 코드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작은 소제목으로 '잘 포장된 동성애 코드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외에도 '레즈비언 흡혈귀 영화의 흐름'/ 여성 흡혈귀의 사랑 레즈비언 뱀파이어/ 애정에 목말라하는 흡혈귀의 비애…
The 519 Space for Change, Rainbow Health Ontario 그리고 Hear It! Stop It! #NOBYSTANDERS에서 제작한 포스터다. "TRANS INCLUSION MATTERS #TRANSINCLUSION"이라고 적혀 있다.…
2012년 11월 10일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린 제 7회 게이코러스 지_보이스 정기공연 리플렛이다. 한국게이인권단체 친구사이에서 주최하고, 게이코러스 지_보이스에서 주관하였으며, 언니네트워크와 이반시티의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공연 프로그램과 단원 소개, 곡 해설 등이…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2000년 한국 최초로 열린 퀴어문화축제(무지개2000)을 이어 받아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 2003년 제4회부터 조직위원회 형태로 운영했다. 2018년 제19회부터 한국퀴어문화축제에서 서울퀴어문화축제로 단체 이름을 변경했다. 영어 약자로 SQCF를 사용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