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09년 시작했다. 영어 약자로 DQCF를 사용한다.
수원에 위치한 게이바 '친구사이'의 사장 사진이다. '친구사이'는 30대 중반의 두 분의 게이가 의기투합해서 운영했는데 두 분이 업소를 운영하게 된데는 특이한 사연이 있다. 원래 '친구사이' 자리는 94년도부터 '이반'이라는 게이바가 있었다고 한다. 그 당시에 오히려…
미국의 대표적인 동성애 잡지. 2002년 10월 29일 발간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적 젠더 가치관이 담고 있는 본질성(보편성), 섹스와 젠더의 구분, 이성애, 주체에 대한 강제성과 허구성을 기존의 가치관에 부합하지 않는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을 통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 있다. 전통적 젠더 가치관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본질을…
한국에서 무성애의 가시화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 모임, 무:대에서 만든 무성애자 관련 스티커 모음이다. "로맨틱 에이섹슈얼", "회색무성애자", "ASEXUALITY"등의 문구와 내용을 담은 다섯 장의 스티커가 있다. https://tumblbug.com/acetage
1999년 7월 17일 대전 유성 유스호스텔에서 열린 한동협 대표자 LT의 한 장면이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wonsoonpark 우리는 원한다!! 권리를! 사랑을! 변화를! 야!"라고 적혀있다.
1997년 9월 19일 제1회 서울 퀴어영화제 개막일 연세대학교 동문회관에서 제1회 서울 퀴어영화제 집행위원 겸 프로그래머 서동진이 발표를 하고 있다. 상영관인 연세대학교 동문회관은 전원을 차단했고 서대문구 구청에서는 불법행사로 간주한다는 통지서를 보냄으로써 제1회…
2015년 제15회 퀴어영화제에서 제작한 홍보물이다. 한면에는 영화제 일정, 장소 등을 소개하고 있고 다른 면엔 개막작, 폐막작, 후원안내를 소개하고 있다.
동성애자 자긍심 배지로 보이나 더 이상의 자세한 정보를 알지 못함 (아시는 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의 소수자성매매연구팀 후후가 게이 혹은 남성 간 성매매, 레즈비언 혹은 여성 간 성매매, 그리고 트랜스젠더 성매매 이슈를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한 발표문이다. 말미에 한채윤, 이하영, 루인의 토론문이 실려있다.
2017 제1회 부산퀴어문화축제 행사장 주변 모습이다. 파란색 종이 모자에 "No"라고 적힌 손부채를 들고 있는 일군의 무리가 행사장의 일차선 도로 건너편에서 둘러싸고 있으며 그 중 한 명은 "동성애 NO OUT OUT"이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부스행사에 참여한 '연세대학교 성소수자 인권행동 Queer We Are'에서 제작한 자료다. 연세대학교 성소수자 인권행동 Queer We Are의 심볼과 "Queer We Are"라고 적혀 있는…
이태원 게이바 골목 근처의 버거킹 사진이다.
2017년 6월 3일 서울역광장에서 진행한 "생명 가정 효 2017 세계가정축제"(한국교회동성애대책협의회 주최, 전체 행사는 2017.06.02.~2017.06.04.)의 행사 현장 모습이다. 서울역광장에서 행진(퍼레이드)를 앞둔 차량의 모습이다. 분홍색 풍선이 있고…
아하!청소년성문화센터에서 진행한 '제6회 아하! 성상담 실무자 워크숍 2009'의 자료집이다. 워크숍은 2009년 6월 15-17일, 아하!청소년성문화센터 3층 알자방에서 진행했다. 이 자료집엔 16일 13:00-15:30에 강의를 진행한 한채윤의 "성적소수자에 대한…
동성애규범성, 신자유주의와 퀴어 정치 등을 다룬 리사 두건의 책이다.
2006년 iSHAP 사업 경과보고 자료(인력 현황, 예산 현황, 예방홍보교육사업, 상담검진 사업, 2007 사업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