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미국의 동성애 잡지. 2003년 5월 발간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우리 존재 화이팅! 모든 존재 화이팅! 무지개 승리!"라고 적혀있다.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기간 중의 시드니 거리 모습이다.
마음005 홈페이지에 올려진 연혁을 BUDDY에서 출력한 것
2017 제1회 부산퀴어문화축제(2017.09.23.토, 부산시 해운대 구남로문화광장) 행사장 주변에 반퀴어-보수기독교 세력이 모여 반대 집회를 진행했다. 이 기록물은 '동성애 동성혼 개헌 반대 국민연합' 명의로 제작한 것이며 한쪽에는 "헌법에 동성애 동성혼이…
정희진이 쓴 "양성평등에 반대한다"(인터섹스 이슈를 다루고 있다), 루인이 쓴 "음란과 폭력을 다시 생각한다: 000 지검장 사건과 퀴어 범죄학"과 한채윤이 쓴 "왜 한국 개신교는 '동성애 혐오'를 필요로 하는가?"가 실려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서울시는 조속히 인권헌장 제정하라!"라고 적혀있다.
[청소년 문화포럼]에 실린 논문이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미국의 운동단체인 액트 업 (act up), 퀴어네이션(queer nation), 레즈비언 어벤져(lesbian avenger)등의 활동에 대한 글. 기증자의 설명으론 당시 버디 기사를 쓰기위해 외국 잡지에 실린 글을 번역 부탁해서 받은 것이라고 함.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한국 최초의 게이쇼 레스토랑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오픈한 '하하호호'의 모습이다. 한복을 차려입은 10여명의 무희가 나와 부채춤을 선보였다.
1997년6월28일에 있었던 차별적 교과서 개정을 촉구하는 집회에 쓰인 비용을 보고하는 기록물. 7월초에 열린 한국동성애자인권운동협의회 회의 자료.
2019년 5월 19일 제2회 전주퀴어문화축제(슬로건 "퀴어온고을", 장소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의 모습이다. 전주시청과 전주퀴어문화축제 공식 무대 모습이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한국여성민우회의 '일이삼반' 스티커와 함께 "'밥'도 안 하는 차별을 '서울시장'이 왜 하냐! -여백 꺄르르르"라고 적혀있다.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에서 주최한 레즈비언 적시 프로젝트 "작전L" 홍보 포스터이다. 2005년 6월14일부터 21일까지 갤러리 스케이프, 갤러리 크세쥬에서 진행되었다. (홈페이지 www.kscrc.org/projectl)
핑크 영화(ぴんく 映畵)로 불리는 이른바 일본 특유의 소프트코어 포르노그라피의 계보 안에는 적지 않은 게이 포르노그라피가 포진하고 있다. 사토 히사야스나 나카무라 겐지의 작품들은 파졸리니와 오시마 유키오로부터 상상력을 끌어온다. 따라서 그들의 악명 높은 게이 핑크…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군인권센터에서 배포한 홍보물이다. 총 8쪽에 걸쳐 군인권 길라잡이에 해당하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계간 60호의 기획특집 '에로티시즘 시선'에 실린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