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6색 무지개 원형으로 디자인된 원형 고리다.
[오늘의 문예비평]에 실린 글이며 트랜스젠더를 잠깐 언급하고 있다.
성소수자를 해시태그 삼아 다섯 편의 글을 엮은 책이다. 강병철은 "성소수자에 대해 의학이 알고 잇는 것들", 백조연은 "'동성애 찬성, 반대'에 관하여", 이주원은 "고독의 반대말", 오승재는 "국가는 청소년 성소수자를 보호하는가", 효록 스님은 "성소수자를 수용했던…
2012 남성동성애자 집단 내 HIV/AIDS에 대한 인식 및 HIV/AIDS 감염인에 대한 차별의식 설문조사 : 조사기간 2012.5.22-2012.6.2
1999년 5월 27일 신촌의 레즈비언바 레스보스에서 있었던 이○○, 이○○ 커플의 결혼식에서 반지를 주고 받는 사진이다.
1997년 대통령선거 당시 한겨레에서 4명이 대통령 후보에게 질의서를 보내고 그 답변을 요약한 기사. 질문중에는 동성애를 다룬 책,영화,연극을 본 적이 있는지와 그들의 운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2017년 6월 3일 서울역광장에서 진행한 "생명 가정 효 2017 세계가정축제"(한국교회동성애대책협의회 주최, 전체 행사는 2017.06.02.~2017.06.04.)의 행사 현장 모습이다. 사람들이 행진을 하고 있는 모습이며 "LIFE FAMILY HONOR /…
초동회 문서 중 하나다. 초동회가 해산한 이후 작성하였다. 작성자는 장진석, 작성날짜는 1994년 2월 15일이다. 초동회 해산 이후 동성애 운동을 어떻게 진행하고, 서로 친교모임을 어떤 식으로 진행할지를 논하고 있다. 흔히 초동회가 1994년 1월 말, 2월 초 즈음…
한국 최초의 동성애 전문 대중잡지 버디의 창간 기념 고사에서 참석자들이 제를 올리고 있는 장면이다.
웹툰 이태원 클라쓰의 단행본이며 박스세트 판본이다. 마현이라는 트랜스젠더 캐릭터가 의미 있는 비중으로 등장하며 "네가 너인 것에 다른 사람을 납득 시킬 필요는 없어"라는 대사로 유명하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발표한 논평이며, 미국의 결혼보호법(DOMA)가 위헌이라고 결정난 것에 유감을 표하고 있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부스행사에 참여한 신나는센터에서 제작한 자료다. 2016 서울프라이드영화제를 홍보하는 엽서다.
대구퀴어문화축제 자료집이다.
[페미니즘연구]에 실린 논문이며 레스보스섬의 사포를 다루고 있다. (2006.10)
게이 메카인 이태원의 유일한 레즈비언 바였던 '라펠'의 내부 모습이다.
제10회 퀴어문화축제 의 기념품, 무지개 목걸이이다.
박민선의 "한국 레즈비언의 성과 삶"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