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이경과 욜이 책임 집필하고, '올바른 성정체성 교육 실현과 성정체성 인식전환을 위한 활동기획단'이 만든 인권지침서다. 기본용어 설명과 사회적인 편견, 커밍아웃에 대처하는 자세 등을 다루고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종이배 그림에 "분노하고 바꿔낼 권리", "추모할 권리" 등이 적혀있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오후 풍경이다. 여러 개의 다양한 퀴어 프라이드 깃발이 날리고 있는 모습이지만 반퀴어 혐오 세력에게 둘러 싸여 갇혀 있는 모습이다. 사진에 나온 사람 상당수는 반퀴어 혐오 세력이거나 지나가는 행인이다.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에 실린 트랜스젠더퀴어의 음성 관련 논문이다.
2016 대구 퀴어문화축제를 앞두고 축제 조직위원회에서 소셜펀치를 통해 후원을 받았고, 후원 금액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했다. 이 배지는 그 리워드 중 하나로 2016년도 슬로건 "불어라 변화의 바람"에 맞춰 바람개비를 형상한 6색 무지개 배지다.
제8회 퀴어문화축제 의 3종 기념 버튼 중 하나이다.
2000년 2월 19일 4주년 기념행사에서 이정현의 '바꿔'로 축하 공연을 하고 있다.
그리스도교에서 죄와 은혜 개념을 새롭게 해석하며 이를 퀴어와 함께 하고자 한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인권은 안건이 아니며 미움은 믿음이 아닙니다. [알바노조 여성주의모임 '비정']"이라고 적혀있다.
로뎀나무그늘에서 1998년 7월 17일에 '이반들을 위한 바자회 겸 일일찻집'을 열면서 이에 협조를 요청하며 한국동성애자단체협의회에 돌린 공문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 편의점 세븐일레븐 동인천다인점 앞 송화로2번길에서 인천퀴어문화축제 참가자의 퍼레이드 행진을 반퀴어 혐오 세력이 막아서고 있는 모습이다. 노란 조끼를 입은 사람은 큰 소리로…
서울퀴어영화제에서 주최한 2000 서울 퀴어 영화제 후원기금 마련 이벤트 "Disco"의 홍보 포스터이다. 행사는 2000년 7월 8일에 명동 밀리오레 스카이돔에서 진행되었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 당일 사용한 프레스 카드다. 축제 프레스 부스에서 촬영 신청을 하면 이 카드가 든 명찰을 발급하고 부스행사 및 퍼레이드에서 촬영을 할 수 있다. "2016년 제17회 퀴어문화축제 PRESS 촬영허가 퀴어문화축제"라고 적혀 있다.
GALA의 HIV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일부로 제작한 만화다.
[말소리와 음성과학]에 실린 트랜스젠더퀴어의 음성 관련 논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