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7 제1회 부산퀴어문화축제(2017.09.23.토, 부산시 해운대 구남로문화광장)의 부스행사에 참가한 페미니스트 예술-실천 페미광선(Feminist Artist in Action Femi-beam)의 홍보물이다. 페미광선을 소개하는 문서와 스티커, "주체…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무지개색 현수막에 "성소수자에게 인권은 목숨이다"라고 적혀있다.
서울 신촌에 위치한 게이바 '데이브'의 내부 모습이다. 뚱전문 게이바 '데이브'는 신촌로터리에서 서강대로 가는 길목에 위치했다. 이반 업소 사상 최초로 인터넷 홈페이지를 운영해 온라인상으로 친목을 다지고 번개 모임도 여는 등 새로운 게이바의 문화를 창출했다.
2015 제15회 퀴어영화제에서 상영하는 영화 중 "국내단편1: 관계에서", "국내단편2: 나를 찾는 욕망" 세션에서 상영한 영화의 스틸컷으로 만든 스티커다. 두 종의 스티커를 한 세트로 판매했다.
30살의 나이로 자살한 화가 미나 타넨바움(Mina Tannenbaum: 로만네 보링거 분)의 그림들이 파리에서 고가에 팔려나가고 있다. 그녀와 가장 가까이, 그리고 가장 멀리 남겨진 그녀의 친구 에델(Ethel Benegui: 엘자 질베르스타인 분)은 그들의 오랜…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보도자료며, 국가인권위원회와 불교단체인 종교자유정책연구원이 함께 종교차별 개선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용역 체결을 맺었다며 이에 항의하는 기자회견문 전문이다.
2019년 5월 31일 제20회 서울퀴어문화축제 핑크닷 행사 모습이다. 핑크닷 행사장 입구이자, 시청광장 입구에 설치된 "I.SEOUL.YOU 너와 나의 서울" 조형 모습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동성애 잡지. 2003년 11월 11일 발간했다.
[대한산부회지]에 실린 인터섹스 관련 의료 논문이다.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서울시청 로비 점거를 알리는 문서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에 위치한 송화로2번길에서 발생한 장면이다. 송화로2번길 중간 즈음을 점거한 반퀴어 혐오 세력이 끌려나간 뒤 축제는 퍼레이드를 재개했다. 하지만 곧 송화로와 송화로2번길이…
[대한성학회지]에 실린 글이며 트랜스젠더의 법적 쟁점을 다루고 있다.
서울퀴어영화제에서 주최한 2000 서울 퀴어 영화제 후원기금 마련 이벤트 "Disco"의 홍보용 스티커이다. 행사는 2000년 7월 8일에 명동 밀리오레 스카이돔에서 진행되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당연한 것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서울시 연세대학교 무지개농성참여단 사랑이닮"이라고 적혀있다.
인권재단 사람에서 제작한 스티커 모음이다. '반차별데이데이기금 후원하기'로 제작한 것으로 총 12개의 인권 관련 행사/날을 기념하고 있는데 5월 17일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 날, 12월 1일 세계에이즈의날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프랑스학논집]에 실린 글이며 장 주네 소설에 나타나는 동성애, 사도마조히즘(BDSM) 등을 다루고 있다.
1996년 10월 15일 이00이 전해성에게 보낸 청첩장이다. 끼리끼리 전해성의 기증 자료다. [전해성 컬렉션에 포함된 기록물에는 모두 실명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이 온라인 상으로 유포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기록물의 형태는 보이지만 내용은 보이지 않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