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한채윤을 인터뷰한 "금기 넘어 연대 꿈꾸는 왼손잡이"가 실려있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에서 배포한 인쇄물이다. '회원 가입 및 기부 약정 신청서'다.
[대한성형외과학회지]에 실린 논문이며 트랜스젠더의 성전환 수술 기술을 다루고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곰돌이 포스트잇을 이용해서 "우리는 사랑의 파수꾼"이라고 적혀있다.
2018년 9월 29일 제2회 제주퀴어문화축제(제주 신산공원)의 모습이다. 축제 행사장에서 퍼레이드를 진행하려고 출발하려고 했지만 100여 명의 반퀴어 혐오 세력이 길목을 가로막고 자리에 앉아 퍼레이드를 방해했지만 경찰의 전략으로 방해를 무산시키고 퍼레이드를 진행했다.…
2010 제11회 퀴어문화축제 "OUTING: 지금, 나가는 중입니다"의 홍보 팜플릿이다. 축제의 각종 행사 및 2010 제10회 서울LGBT필름페스티벌(SeLFF)의 상영작을 소개하고 있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 새동인천지하쇼핑센터 입구에 머물던 인천퀴어문화축제 참가자는 4시 즈음 송화로2번길을 통해 퍼레이드를 진행하려고 했지만 반퀴어 혐오 세력이 도로를 무단 불법 점거하면서…
뉴스위크 한국판, 부모의 죽음으로 거리로 내몰리는 아이들 굶주리거나 치료를 못받고 방치되고 있다. 자칫하면 한 세대가 사라져 버릴 위험도 있음을 다루고 있다.
조춘희의 "'여장남자'의 퀴어 욕망"이 실려있다
HIV/AIDS 인권모임 나누리+와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를 위한 모임 세울터가 함께하고 엄기호가 책임집필한 HIV/AIDS 감염인 인권을 위한 자료집이다. '2004년도 인권증진을 위한 시민실천 프로그램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했다.
ftm/트랜스남성의 삶을 다룬 영화 [어바웃레이]를 홍보하기 위해 만든 홍보물 중 하나다. 레이의 모습을 형상한 배지와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네 편이야"라고 적힌 배지, 두 개가 한 세트로 있다.
병무청의 잡지 [병무51호 여름호]에 실린 글이다. 트랜스젠더의 '성주체성장애'를 애착 등의 문제로 설명하고 있다. 저자 박홍석은 징병전담의사다. 2002년 여름호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부스행사에 참여한 엘 살롱에서 제작한 자료다. 육색 역삼각형 무지개 스티커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서울시 인권헌장 즉각 제정하라! 평등.생태.평화 노동당"라고 적혀있다.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의 바른정보연구소에서 제작한 자료집 [우리가 알아야 할 올바른 진실들]의 홍보물이다.
(트랜스젠더)성전환자 성별변경 관련 법 제정을 위한 공동연대가 2006.08.21.에 법안 관련 공청회(문서A-13)를 진행했다. 공청회서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법제국 회의를 진행한 후 추가의 의견을 요청했고(문서B-887), 이것은 윤현식의 의견이다.
[제임스 조이스 저널]에 실린 논문으로 버지니아 울프 소설 [올란도]의 성전환과 양성성을 들뢰즈 가타리의 '여성되기' 개념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2003.12)
는 여전사 제나(Xena)의 열혈 다이크 팬들에겐 더 없는 선물이 될 것이다. 한 마오리 족 출신 레즈비언이 거친 욕망의 탐험 속에서 우리의 제나가 또 다른 얼굴로 태어난다.
끼리끼리 홈페이지에 올려져있는 1994년부터 2000년까지의 연혁을 BUDDY에서 출력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