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무지개농성단이 발표한 최종 입장서 영문판이다. http://lgbtact.org/?p=737 에서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회개하십시오. 차별과 혐오는 죄악입니다. 아멘. 알바노조 여성주의 모임 비정"이라고 적혀있다.
(트랜스젠더)성전환자 성별변경 관련 법 제정을 위한 공동연대 3차 운영위원회 회의 자료다. 법 초안 논의, 홍보 활동 등을 논하고 있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이 열리는 옥스퍼드 거리 풍경이다. 퍼레이드 시작 전 사람들의 모습이다.
부산여성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에서 1년에 한번 정도 발행한 것으로 추측되는 단체 소식지다. 아무런 표기가 없어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2004년도 활동소식과 안내, 회원수기, 만화 등이 있다.
[한국불교학]에 게재된 논문으로 트랜스젠더와 불교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이 글은 트랜스젠더(transgender)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성찰해 보기 위한 것이다. 논문은 트랜스젠더의 의미구명에서 시작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트랜스젠더 이슈에 대한 불교적 응답을…
부산·경남 여성 이반 인권 모임에서 발간했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오스카 와일드가 1897년 레딩 감옥에서 출소한 뒤 파리로 건너가 쓴 장시 '레딩 감옥의 노래' 및 퀴어와 관련한 다른 와일드의 시를 엮은 시집이다.
보수적인 기독교 가족 안에 동성애자 자녀가 있다면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질까. 베테랑 퀴어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굳힌 아서 덩 감독은 디지털 카메라를 들고 미국의 보수적인 보통 가족 속으로 뛰어든다. 그리고 자신들의 자녀들이 동성애자임에도 동성애에 대하여…
[아세아여성법학]에 실린 논문이며 트랜스젠더의 호적상 성별 정정 이슈를 다루고 있다.
[인문과학논총]에 실린 글이며 히브리 성경에 나타난 성을 다루고 있다.
주간지 [시사인]의 특집 기사 중 하나다. 미국 연방대법원이 동성결혼 합헌 판결을 내린 사건을 분석하였다. 특집기사며 또한 표지 기사기도 하다. 전문은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813 에서…
[대한산부회지]에 실린 인터섹스 관련 의료 논문이다.
1998년 5월 24일에 SBS 에 나온 BUDDY를 시청한 한 트렌스젠더(MTF)가 BUDDY 사무실로 직접 방문하여 기증하고 간 개인 일기장 및 원고지이다. 1995년부터 쓰여진 일기와 낙서들이 있으며 표지는 기증 당시부터 훼손되어 있었다.
262호(2012년 8월) 80-86쪽에 실린 글이다. 전환치료 이슈를 다루고 있다.
세계 에이즈의 날 기념으로 열린 감염인 인권회복을 위한 음악회 포스터이다. 2009년 12월18일 정동 성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진행되었으며 나무자전거, 쿠키M, 지현, 감염인 가수가 함께 하였다.
2017학년도 연대 총여학생회 선거운동 후보의 선거공약 자료집이다. LGBT/퀴어 관련 내용이 실려 있으며, 총여 회장은 컴투게더에서 활동했으며 비이성애자로 커밍아웃하여 화제가 되었다(총여 정부 후보 중 최초의 비이성애자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