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미국 뉴욕에 위치한 The Center: The Lesbian, Gay, Bisexual & Transgender Community Center에서 제작한 홍보물이며 가족 내 아동의 성적지향이나 젠더정체성 관련 상담을 지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Your family…
"종로 일대에서 노인들을 상대하며 근근이 살아가는 65세의 ‘박카스 할머니’ 소영. 노인들 사이에서는 ‘죽여주게 잘 하는’ 여자로 입 소문을 얻으며 박카스들 중에서 가장 인기가 높다. 트랜스젠더인 집주인 티나, 장애를 가진 가난한 성인 피규어 작가 도훈, 성병 치료 차…
2008년에 시작한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의 기획프로젝트로 그동안 단절되었던 레즈비언 세대 간의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레즈비언 잡지 시즌3.
[대한에이즈예방협회]에 실린 글이며 항문외과에서 에이즈 감염 경로를 설명하는 내용이다.
언니네트워크와 가족구성권연구모임이 "비정상 가족들의 비범한 미래기획"이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세미나부터 '정상가족 관람불가전'이란 사진전시회 등을 진행했다. 이 자료집엔 전시회 사진과 프로젝트 과정에서 인터뷰한 10 집단의 인터뷰 내용이 실려있다.
남성과 섹스를 하는 남성들의 HIV/AIDS 감염역학과 위험행동들에 대한 보고서
보릿자루 20호로, 2000년 9월에 나왔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내 여동생은 이번 퍼레이드에 교복을 입고 참가하는 것을 허락받지 못했다. 그래서 내가 입고 나왔다" 라고 쓰인 피켓을 든 참가자의 모습이다.
캐나다 토론토 소재의 캐나다레즈비언게이아카이브(CLGA(Canadian Lesbian+Gay Archives))의 홍보물이다. 한쪽 면엔 "The Stories Project / follow our process of discovery / equality /…
김민중 전북대 법대 교수가 쓴 글로 덴마크, 노르웨이,스웨덴, 아이슬란드의 동성 결혼 법을 상세히 비교, 정리, 분석한 글
국가인원위원회 인권단체협력사업으로 추진된 2005 성적소수자 인권교육 프로그램과 매뉴얼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된 리플릿이다. "학교는 모든 사람이 존중받을 가치가 있음을 배우는 공간이어야 합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무지개농성단이 발표한 최종 입장서다. "당신의 인권이 여기에 있다 - 6일간의 서울시청 점거농성을 마무리하며"라는 제목의 입장서가 함께 있다. 입장서 전문은 http://lgbtact.org/?p=730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한동협) 대변인 박두성 씨가 와의 인터뷰 도중 환하게 웃고 있다. 당시 경실련, 전교조 등 인권 단체 30여개가 모인 에 도 참여하여 인권위원회법 차별금지조항에 성정체성이 포함되는 데 기여하였다.
2011년 한진중공업 85호 크레인 점거농성을 지지하는 희망의 무지개버스-퀴어버스 자보이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제10회 퀴어문화축제 의 애프터 파티 플라이어 카드이다. 6월 13일 토요일 이태원 펄스에서 오후 8시부터 진행되었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 송화로2번길에서 송화로의 굴다리를 지나 참외전로 옆 인도를 따라 동인천역3번 출구 쪽으로 걸어 동인천역3번 출구로 도착한 모습이다. 4시부터 시작한 퍼레이드는 9시가…
작가 허5파6이 네이버웹툰에 연재한 [여중생A]을 단행본으로 출판한 것이다. LGBT/퀴어를 직접 다루지는 않아도 사회적 소수자에게 가해지는 억압을 다루고 있어 함께 고민할 수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안녕하세요. 북아현 투쟁 때 결합했던 성소수자인 트렌스젠더 FTM 박성인이라고 합니다."라고 시작하는 긴 글이 적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