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BDSM 페미니즘을 논하는 책이다.
"종로 일대에서 노인들을 상대하며 근근이 살아가는 65세의 ‘박카스 할머니’ 소영. 노인들 사이에서는 ‘죽여주게 잘 하는’ 여자로 입 소문을 얻으며 박카스들 중에서 가장 인기가 높다. 트랜스젠더인 집주인 티나, 장애를 가진 가난한 성인 피규어 작가 도훈, 성병 치료 차…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2008년에 시작한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의 기획프로젝트로 10대부터 60대까지 레즈비언 세대간 교류를 위해 제작된 레즈비언 잡지.
트랜스젠더인권활동단체 지렁이(성전환자인권연대 지렁이)가 발족을 한 이후 진행한 정기 운영회의 1차 회의록이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녹색당이 2016년 총선을 맞아 발간하는 총선공약집에 실린 성소수자 부분이다. 기본적인 인권보호 방향과 함께 트랜스젠더 및 인터섹스의 의료 접근권을 다루고 있다. 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부스에서 나눠줬다.
[실천문학]에 실린 글로,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를 다루고 있다. (2010.가을)
1999년 5월 27일 신촌의 레즈비언바 레스보스에서 있었던 이○○, 이○○ 커플의 결혼식 후 피로연을 하는 모습이다.
로드무비'에 대한 기사. 권영민씨의 게이, 로드무비를 보다 라는 자유기고글/ 한채윤과의 인터뷰/ 게이들이 바라본 퀴어시네마 등의 기사가 실려있다.
병무청의 잡지 [병무51호 여름호]에 실린 글이다. 트랜스젠더의 '성주체성장애'를 애착 등의 문제로 설명하고 있다. 저자 박홍석은 징병전담의사다. 2002년 여름호다.
2005년 6월 19일부터 6월 24일까지 서강대학교에서 열린 '페미니즘 비디오 액티비스트 2005'에 참여한 활동가 데즈리 림, 앨런 포, 이리의 인터뷰 글이다. 아시아라는 지역적 배경과의 관계 속에서 페미니스트, 레즈비언, 비디오 액티비스트라는 공동의 정체성을 갖고…
미국의 학교 교장들, 교육자들, 그리고 학교 관계자들을 위해 마련된 성 정체성과 청소년에 대한 안내 문서
2011년 학생인권조례 성소수자 공동행동이 주관하여 서울시 의회 교육위원회에 차별 없는 학생인권조례를 촉구하기 위해 제작한 엽서이다. 뒷면에 성소수자가 차별받지 않고, 인권이 존중되는 학교가 될 수 있는 학생인권 조례를 요구하는 메세지가 삽입되어 있으며, 보내는 사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