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이태원 "지퍼"에서 열렸던 (천리안 동성애자 동호회)정기모임 공연 사진이다. 분홍색 투피스를 입은 드랙퀸이 쇼를 보여주고 있다.
[피해자학연구]에 실린 논문으로 트랜스젠더퀴어의 강간죄 객최 이슈를 다루고 있다. (2010.04)
2000년 한국 최초로 열린 퀴어문화축제(무지개2000)을 이어 받아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 2003년 제4회부터 조직위원회 형태로 운영했다. 2018년 제19회부터 한국퀴어문화축제에서 서울퀴어문화축제로 단체 이름을 변경했다. 영어 약자로 KQCF를 사용했다.
퀴어시네마 논쟁 관련 기사로 안토니아 버드 감독의 프리스트에 대해 다루고 있다.
2017년 6월 3일 서울역광장에서 진행한 "생명 가정 효 2017 세계가정축제"(한국교회동성애대책협의회 주최, 전체 행사는 2017.06.02.~2017.06.04.)의 행사 현장 모습이다. 사람들이 행진을 하고 있는 모습이며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생명-가정-효(孝)…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아이샵 iShap에서 제작한 자료다. 한쪽면엔 포스터 디자인을 사용했고 다른 쪽면엔 6색 무지개에 "Use Condom & Take an HIV Test"라고 적혀 있는 부채다.
2005년 대한에이즈예방협회 워크숍 자료집이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야오이 만화
제임스 밀러의 '미셀푸코의 수난' 이란 책의 내용을 seinpower가 옮겨서 올려놓은 글. 출처는 2000년 당시 seinpower이 운영하던 동성애자 웹사이트일 것으로 추정됨.
영상 커밍아웃 프로젝트의 홍보 엽서이다. 2011년 11월 한 달 동안 퀴어락에서, 12월 6일부터 14일까지 서교예술실험센터에서 열렸으며, 퀴어락과 서교예술실험센터에서 후원을 받았다.
한국 최초의 동성애/성소수자 인권 운동 단체다. 1993년 12월 결성되었으며 단체 이름 초동회는 '초록은 동색이다'를 줄인 것이다. 1994년 1월 25일 초동회 소식지를 발간하기도 했다. 하지만 게이와 레즈비언의 정치적 지향, 의제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퀴어이론 입문서다. 동성애란 용어의 발달, 동성애운동의 역사, 정체성의 정치학, 퀴어이론의 등장 등을 다루고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 이념을 받아들이고 보장해야 민주주의다. 박원순 저 '국가보안법3' 中"라고 적혀있다.
[한국여성학]에 실린 논문이다. "본 연구는 ‘이성애 결혼/가족’ 중심의 친밀성 논의가 비정상화하며 배제하는 ‘동성애 친밀성(same-sex intimacy)’의 의미와 실천을 한국적 맥락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성애 친밀성의 실제적인 실천과 의미화 과정을…
이 논문은 성소수자라는 소수자 지위에 대한 사회적 낙인에서 비롯되는 소수자 스트레스가 한국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있다.
[대한산부회지]에 실린 인터섹스 관련 의료 논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