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2년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KSCRC) 10주년 기념 행사 때 와인을 판매하였는데, 그 와인에 붙인 라벨이다. 당시 공연을 한 이반지하의 사진과 함께 "KSCRC 10주년 기념 와인", "이미 변태인 당신에게 추천합니다"라고 적혀 있다.
한국 최초의 레즈비언 미술 전시회인 을 기념하는 배지.
장애여성공감에서 발간하는 반년간 소식지 [공감]에 실린 글이다. 트랜스젠더 영화며 2013년 제7회 여성인권영화제 상영작인 [돌아보는 사람들](Regretters)을 보고 쓴 문화비평이다. 원문은 http://wde.or.kr/magazine/11 에서도 확인할 수…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에 실린 논문이며 청소년의 성태도 등을 분석하며 동성애 요인을 다루고 있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 송화로2번길에서 송화로의 굴다리를 지나 참외전로 옆 인도를 따라 동인천역3번 출구 쪽으로 걸어 동인천역3번 출구로 도착한 모습이다. 4시부터 시작한 퍼레이드는 9시가…
2019년 5월 31일 제20회 서울퀴어문화축제 핑크닷 행사 모습이다. 행사장 메인 부스를 준비하는 모습이다. 핑크닷 캐릭터와 함께 SEOUL PINK DOT이 대형 스크린이 나오고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성소수자 공감하는 따뜻한 서울을 원해요"라고 적혀있다.
10회 퀴어문화축제 당시 차세기연(차별없는 세상을 위한 기독인 연대)에서 배포한 배지이다. "God made Queer"라는 문구가 적혀 있으며, 2종 세트 중 하나이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송화로와 송화로2번길, 화평로가 교차하는 곳에 위치한 굴다리에 반퀴어 혐오 세력을 경찰이 막고 있는 모습이다. 반퀴어 혐오 세력은 "양성평등 YES 성평등 NO" "NAP 차별금지법 반대"와…
2015 제16회 퀴어문화축제의 퍼레이드 행사를 위해 축제 조직위원회는 남대문경찰서에 집회 신고를 하려 했다. 하지만 반LGBT/퀴어 집단 혹은 보수 기독교 세력은 이를 방해하기 위해 신청일 전부터 줄을 서기 시작했다. 이에 2015.05.21.부터 반LGBT/퀴어…
경희대학교 교지 [고황]의 2014년 겨울 88호에 실린 글이다. '고황에 온 한 통의 편지'란 기획으로 실린 성소수자/LGBT/퀴어 특집의 두 번째 글이다. 또한 이 글은 교지 [관악] 43호에 실린 글을 발췌한 것이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한국여성의전화에서 배포한 홍보물이다. "세상을 바꾸는 한국여성의전화와 만나다"란 제목으로 단체 소개와 후원 안내를 담고 있다.
부산여성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에서 1년에 한번 정도 발행한 것으로 추측되는 단체 소식지다. 아무런 표기가 없어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2004년도 활동소식과 안내, 회원수기, 만화 등이 있다.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게이 대학생 아키바 다이수케. 그는 카메라로 하루하루의 생활을 좆으며 자신의 성을 조금씩 펼쳐 보인다. 졸업반이 되어 맞은 첫학기. 그 역시 다른 친구들처럼 여러가지 문제로 노심초사한다. 미국에 사는 애인과의 관계, 직장 구하기, 그리고 부모님들에게 자신의 삶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