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동성애 잡지 후원금 마련을 위해 7월 5일 이태원 지퍼와 아웃클래스에서 천리안 , 나우누리 , 하이텔 , 유니텔 등 4대 PC통신 동성애자 동호회가 연합하여 개최한 페스티벌의 모습이다. 빨간머리 가발과 가슴에 고무풍선, 그물스타킹으로 미녀 변장을 한 두 시삽이…
토니 레인즈의 비평에 대한 반론들을 소개한 기사. 김영진 기자가 논쟁에 대한 소개글을 썼다.
청소년동성애자문화집단 달팽이가 발간한 '청소년동성애인권문화지 달팽이' 첫 번째 호다. 발간사엔 격월호를 의도했다. 학교이야기, 인터뷰 등이 실려있다. 전화는 부산지역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16주년 기념 후원의 밤 의 입장 티켓이다. 본 행사는 2010년 2월 27일에 5번 출구에서 개최되었다.
[日本語敎育일어교육]에 게재된 논문이며 한국과 일본 신여성의 연애, 섹슈얼리티, 동성애 관계 등을 다루고 있다.
끼리끼리 소식지로 2002년 12월 19일에 나왔다.
87년 HIV 오판 사건으로 97년 2월 국가배상을 청구했던 정민숙 씨의 인터뷰 사진이다.
박용옥 교수의 정년퇴임을 기념하는 학술논문집 [여성: 역사와 현재]에 실린 강숙자의 논문이다. 서지류 문서B-1312에 등록한 강숙자의 한국여성학발표 논문의 이전 판본이기도 하다. 이 책에 먼저 글을 출판하였고, 한국여성학회 학술대회에선 축약한 판본을 발표하였다.…
시간, 신분, 성의 개념을 융합하여 사이버 공간의 시학을 추구하는 독특한 러브스토리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 기념스티커 시민공모작 모음이다. 이진혁, Jieun Seo, snakelet2, 강보라, MINJUNG 님이 디자인한 스티커 6종이 실려있다.
계간지 [문학과사회] 116호(2016년 겨울호)의 별책처럼 엮은 "문학과사회 하이픈"이다. 혐오, 페미니즘, 퀴어, 문단내 성폭력 특집으로, 재스비어 푸아(자스비어 푸아르)의 "퀴어한 시간들, 퀴어한 배치들", 마야 믹다시와 재스비어 푸아의 "퀴어 이론과 영구적인…
몽환, 명월관, 마녀, 레스보스에서 공동 주최한 퀴어 나잇의 홍보 인쇄물이다. 2007년 11월 17일에 진행되었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질병관리본부가 '2016년 HIV/AIDS 환자 장기요양 지원사업'을 민간에 위탁한 것 자체가 법적 근거가 없고 위탁민간업체가 수동요양병원을 사실상 조사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버디 창간호며 1998년 2월 20일에 나왔다.
2000년 9월8,9일 연세대에서 개최된 퀴어문화축제-무지개2000 행사 중 인권운동사랑방의 최은아 간사가 '성적소수자 인권 연대의 가능성 모색'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마치고 토론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