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미용실-미친 언니들의 용감한 실험실에서 제작한 기념품이다. 나무 재질에 단청 무늬를 그린 배지를 여럿 판매했으며 이것은 그 중 하나다.
한국여성민우회의 퀴어소모임 일이삼반이 만든 정기소식지 [퀴어의 맛 - 퀴맛!]이다. "이성애자의 20가지 그림자", "소수자를 혐오하는 소수자에게", "이류시연 인터뷰" 등이 실려 있다. 2016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에서 배포하였다. (2016.06)
1998년 서울퀴어영화제에 참석한 배우 이혜은씨를 BUDDY 편집장 한채윤씨가 인터뷰하고 있는 모습이다.
인터섹스(간성)의 성장을 다룬 만화다. 관련해서 퀴어락의 "주목 이 자료!!"에 실린 글http://goo.gl/4Bg3S을 함께 읽어도 좋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한국여성민우회의 '일이삼반' 스티커와 함께 "부끄러운 서울시민말고 자랑스러운 서울시민이고 싶어요"라고 적혀있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영화 [마이페어웨딩]이 12세 이상 관람가로 결정되었는데, 선전성/폭력성 등을 담고 있는 제한상영가로 등급을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농성 5일차"라고 적혀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힘들게 만든 인권헌장이 _人人人人_ > 돌연사 <  ̄Y^Y^Y^Y ̄ 사인: [박원순 시장 보수세력에 무릎꿇] @pp_bag"라고 적혀있다.
홍석천씨가 2001. 1. 13. 자서전 출간기념 팬사인회에서 사인을 받으러 온 팬과 악수를 하는 모습이다.
The Harvard Gay & Lesbian Review에서 The Gay & Lesbian Review로 이름 변경. 2001년 1-2월호다.
2005년 5월27일부터 6월10일까지 진행된 제6회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5 의 기념 스티커이다. 판매용 기념품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생명과 말씀]에 실린 글이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발표한 논평이며, 국립국어원이 사랑, 연인, 연애, 애인, 애정 등을 이성이 아니라 사람이나 상대로 표현한 것에 문제제기하는 내용이다.
[피해자학연구]에 실린 논문으로 트랜스젠더퀴어의 강간죄 객최 이슈를 다루고 있다. (2010.04)
시인, 페미니스트 이론가, 레즈비언, 정치운동가, 대중 연설가였던 에이드리엔 리치의 시학과 페미니스트 비평을 다룬 글이다. 출처는 "최재헌, 에이드리엔 리치의 레즈비언/페미니스트 시와 시학, 신영어영문학 제21집, (2002): 105-127".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대자보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여성공감, 노들장애인야학, 광진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 은평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장애인배움터너른마당, 장애인문화공간,…
게이이자 HIV/AIDS(에이즈) 감염인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헌법재판관 에드윈 캐머런이 쓴 글이다. 게이법조회가 감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