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이태원 '스파르타쿠스'에서 진행된 마초맨 드랙쇼의 한 장면. 두 명의 마초맨이 나와서 서로 다른 포즈를 취하고 있다.
게이 청년이 성장하며 마주하는 질문을 탐문하는 소설이다.
2018년 6월 13일에 진행한 지방선거 경기도의회 의원선거 비례대표의 노동당 신지혜 후보의 홍보물이다. 공약 6번에 "장애인 성소수자 외국인 ... 성소수자 차별 금지 인권 조례를 제정하고.."가 있고 "장애, 성정체성 등의 이유로 차별을 경험하는 모든 사회적…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나쁜 선례를 남기지 마요. 인권은 삶의 문제이자 생존의 문제입니다. 노동당 성정치위 종이봉투"라고 적혀있다.
혐오표현, 동성결혼 등의 인권 의제를 다루고 있다.
1998년에 전국 대학가에 '동성애 바로보기'에 대한 움직임이 활발해었다. 그 흐름중의 하나로 인권단체인 '인권운동사랑방' 그리고 대학교 학생회, 동성애자단체 등이 연합하여 행사를 주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이 행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4호 77페이지에…
2019년 5월 19일 제2회 전주퀴어문화축제(슬로건 "퀴어온고을", 장소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의 모습이다. 노송광장 근처에 붙어 있는 "일터에도 성소수자가 있다! 노동당 전북도당" 현수막이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역 새동인천지하쇼핑센터입구 앞에서 깃발을 들고 모여 있는 인천퀴어문화축제 참가자를 반퀴어 혐오 세력이 둘러싸고는 갇힌 사람이 밖으로 나가지도, 늦게 온 사람이 안으로 들어가지도 못…
"마성의 다정촌"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가 주관하는 행사로, 2015년 1~2월에 진행한 퀴어시민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사업이다. 이 사업은 '내 삶의 장면들, 기억드로잉'과 '즉흥연극 워크숍, 꿈꾸는 레인보우 씨어터' 두…
[한국청소년연구]에 실린 논문이며 고프만의 스티그마 개념을 이용하고 있다.
제 9회 퀴어문화축제 의 자원활동가용 티셔츠이다.(반팔)
"정다슬, 무엇이 우리를 죄인으로 만들었나, 연세 74호, (2007): 79-94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이쪽사람들에서 제작한 홍보 엽서다. 2015년에 진행한 'It's OK 괜찮아' 프로젝트에 참가한 작품을 엽서 형식으로 만든 것으로 총 6종이 한 세트다.
이태원에 위치한 게이바 '후시기'의 내부 모습이다. 정갈하고 우아한 인테리어가 특징이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우리 사랑하는데 남들 합의가 왜 필요한 거죠? RE:서울은 그렇답니다. 글 내려주세요."라고 적혀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시장님!! 제발 기말고사 준비하게, 좀 나타나주세요!"라고 적혀있다.
이화레즈비언인권운동모임 변태소녀하늘을날다'와 '레즈비언인권연구소' 공동주최 "레즈비언 공동체의 새로운 가능성 모색을 위한 정기토론회: 레즈비언, 그녀들의 다름과 같음의 목소리들" 자료집이다. 토론회는 2004년 8월 14일 토요일 오후 3시부터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2017 제1회 부산퀴어문화축제 행사장 모습이다. 한 부스에서 전시하고 있는 퀴어그림엽서로, "I'm here, I'm Queer. Get used to it. / @G96_doodle"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법학논총]에 실린 논문이며 젠더 본질주의를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