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박원순 시장-! 한 입으로 두 말하긴가! 한입 → 찬성/반대?"라고 적혀있다.
래리(성전환 이후에는 '라나'라는 이름으로 불림, 2012년으로 추정) 워쇼스키와 앤디 워쇼스키 감독의 영화 에 대한 평론글이다.
2019년 5월 31일 제20회 서울퀴어문화축제 핑크닷 행사 모습이다. 핑크닷 행사를 구경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1999년 6월 26일 이태원에서 열린 한국동성애자단체협의회 1주년 기념행사에서 광주, 전주, 청주, 대구 대표가 축하케익을 자르고 있다.
애인이 곁을 떠난 후, 회환에 빠진 한 젊은이가 정처없이 방황한다. 그리고 마치 저주로 인해 지상에 머물게 된 미치광이 천사처럼 그의 곁을 떠나지 않고, 그를 슬픔의 늪에서 건져내려 하는 거리의 소년. 이 두 사람의 흔들리는 감정의 표정들이 화면을 잇는다.
개척자 라는 잡지에 실린 글로 동성애에 대해 이론적으로 소개하면서 편견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는 글
저 먼 영국에서 살아가는 두 명의 성소수자들의 이야기. 레즈비언이며 부치인 로자와 트랜스 젠더인 잭슨은 카메라에 덤덤히 자신들의 이야기를 한다. 그저 단편적으로 삶의 한 부분만을 이야기 하지만 어느새 그이야기 속에 우리들의 모습이 겹쳐진다.
2017 제1회 부산퀴어문화축제 행사장 주변의 모습이다. 해운대 구남로의 문화광장 주변으로 반퀴어 세력의 일부가 결집했고 다양한 피켓을 들고 나왔는데, 이 피켓은 청년에게 성경의 말씀,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라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청년이여! 네 어린 때를 즐거워하며…
[한국논단]에 실린 글이며 미국 사례를 소개하고 질병은 아니라고 말하는 내용이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부스행사에 참여한 성평등프로젝트팀 꼬막에서 제작한 자료다. 네 종류의 사람 형상 아래 "ALL GENDER RESTROOM"(젠더중립화장실) 이라고 적힌 스티커다.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에서 배포하였다.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동성애와 관련해서 국내 언론이 어떠한 보도 양상을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성애와 관련된 국민일보, 한겨레, 조선일보의 신문 보도를 대상으로 시기, 기사유형, 기사논조, 1차 프레임, 2차 프레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육색 무지개 뱃지이다.
대구퀴어문화축제 자료집이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시작 전의 풍경이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