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찾아보기

찾아보기

  • 축제지역  서울시
  • 기록형태  문서
  • 사용언어  한국어
검색결과 : 350건 검색

제목| 교회와 동성애: 호모포비아 극복하기 -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초청 강연

설명|2010 퀴어문화축제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한,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강연회 자료집이다.

식별번호|DA-0000261

저자|테드 제닝스; 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10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기획단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프로젝트 그날들: 2014 놓치지 말아야 할 인권의 기록, 기억의 사전

설명|재단법인 인권재단 사람의 후원을 받아, 여러 단체와 모임이 함께 2014년의 인권 이슈, 인권과 관련해서 기억해야 할 사건을 기록한 자료집이다.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발표회', '최이우 목사,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대구퀴어문화축제', '퀴어문화축제 신촌 퍼레이드',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서울시청 점거 농성' 등이 실려 있다.

식별번호|DA-0000254

저자|프로젝트 그날들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프로젝트 그날들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퀴어문화축제&인디)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우리들의 차이에 직면하다: 교회 그리고 게이, 레즈비언 교인들

설명|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서 번역한 책이다. 2015년 12월 17일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와 성소수자의 동등한 인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에서 주최한 행사 "사랑으로 혐오를 갚으리라~ 108명의 의인을 기다립니다"에서도 배포되었다.

식별번호|DA-0000250

저자|알렌 브레쉬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인디, 캔디)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안서

제목| 제안서

설명|친구사이가 한동협 내 모든 단체에 돌린 제안서로 2회 청소년 동성애 학교와 퀴어 페스티벌 혹은 성정치 문화제 공동 개최를 제안하는 내용. 2000년 제 1회 퀴어문화축제 이전의 아이디어가 어땠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에이즈와 노동조합 운동과의 연대 모색도 엿볼 수 있다.

식별번호|DB-0000133

저자|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발행년도|1999

출판사/발행처|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BUDDY)

주제|HIV/AIDS; 청소년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제5기 여성장애인 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설명|한국여성장애인연합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가 '서울특별시 2005년도 여성발전기금 지원 사업'의 지원으로 진행한 제5기 여성장애인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이다. 교육은 2005년 6월 7일부터 7월 23일까지(화(18:30-21:00), 토(14:00-20:00)) 서울여성프라자 2층 NGO 센터에서 진행했다. 이 자료집엔 7월 9일 17:00부터…

식별번호|DA-0000074

저자|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발행년도|2005

출판사/발행처|사단법인 한국여성장애인연합 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반차별운동공동행동, 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옥외 집회 금지통고 이의에 관한 건

설명|서울시지방경찰청에 보내는 공문

식별번호|DB-0000482

저자|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후원비 문제제기 사과문]

식별번호|DB-0000456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착복 의혹 관련 문서]

식별번호|DB-0000455

저자|이송희일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퀴어문화축제 착복 의혹 관련 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의 상업주의와 후원금 전용에 관한 성명서

식별번호|DB-0000453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동성애자인권연대의 퀴어문화축제에 대한 비방 관련문서]

식별번호|DB-0000452

저자|퀴어문화축제 무지개2002 집행위원회와 참가단체들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2002의 공익성 확보를 위한 요구서

식별번호|DB-0000451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Intersex의 치험례

설명|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 의사가 쓴 글. 1960년대의 글로 주목해볼만 하다. 직접 만난 6명의 사례를 분석 보고하고 있다.

식별번호|DB-0000426

저자|안웅준

발행년도|1967

출판사/발행처|대한비뇨기과학회잡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한채윤)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교과서 수정신청서 제출을 앞두고 참여단체를 대상으로 설명회 개최

설명|1998년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이 발간한 윤리, 교련, 성과행복 등의 교과서에 실린 동성애 관련 내용 수정신청서에 참여의사를 표명한 단체에 수정신청서 설명회가 있음을 알리는 공문. 행사는 1999년 7월 26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사무실에서 진행.

식별번호|DB-0000529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1999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에이즈와 함께 살다 - 행복하다, 내 삶과 육체를 깨달았으므로

설명|2001년 8월 서울퀴어아카이브 월례 영화제 안내문. 영화 , , , . 뒷면에는 영화 에 대한 안내가 간략하게 되어있다.

식별번호|DB-0000515

저자|서울퀴어아카이브

발행년도|200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HIV/AIDS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Living with RedRibbon

설명|서울 합정동에 위치한 갤러리"요기가 표현"에서 2012.5.22에서 2012.5.28까지 열린 전시회"Living With RedRibbon"와 6인의 HIV/AIDS활동가와의 인터뷰를 소개한다.

식별번호|DA-0000293

저자|칼로

발행년도|2012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이벤트 기획단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주제|HIV/AIDS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LGBT 인권 : UN과 아이사국가 법정에서의 투쟁

설명|2006년 퀴어문화축제 초청 강연 자료. LGBT 인권보장을 위한 UN 인권이사회의 노력과 LGBT와 관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판례를 한국의 상황과 연관지어 살펴보는 글이다. 한채윤이 쓴 '강연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가 첨부되어 있다. 2006년 6월 2일 iSHAP 세미나실에서 진행.

식별번호|DB-0000533

저자|더글라스 샌더스

발행년도|2006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국제법에 의거한 인권과 성정체성

설명|2002년 퀴어문화축제 초청 강연 자료. 동성애자 인권보장을 위한 법적 조치들과 동성애를 둘러싼 사회적 논쟁을 유럽과 국제연합의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2002년 6월 7일 흥국생명 14층 세미나실에서 진행.

식별번호|DB-0000532

저자|더글라스 샌더스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2

설명|목차: 1. 무지개 2002 기획취지 2. 무지개 2002 조직도 3. 무지개 2002 행사개요 4. 프로그램 5. 예산 및 재정계획 6. 홍보전략 7. 후원 및 협찬사의 광고기대효과 8. 퀴어문화축제 연혁 9. 보도자료 10. 물품요구서

식별번호|DA-0000094

저자|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2(불명)

발행년도|2002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2(불명)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1

설명|목차: 1. 무지개 2001-퀴어문화축제 기획취지 2. 무지개 2002- 퀴어문화축제 조직도 3. 행사개요 4. 프로그램 5. 예산 및 재정 계획 6. 홍보계획 7. 매체홍보전략 8. 행사 후원 및 협찬사의 광고기대 효과 9. 퀴어문화축제 연혁 10. 물품요구서

식별번호|DA-0000092

저자|퀴어문화축제(불명)

발행년도|2001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불명)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세상 사람 다 알아도 엄마 아빠도 안돼: 성소수자가 지각하는 부모 지지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설명|제18회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전공 학술심포지엄 발표 자료집이다.

식별번호|DA-0000085

저자|조남석; 김보미; 김아영; 김아영; 박해인; 염아영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전공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보비)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 축제지역  서울시
  • 기록형태  문서
  • 사용언어  한국어
검색결과 : 350건 출력

교회와 동성애: 호모포비아 극복하기 -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초청 강연

2010 퀴어문화축제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한,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강연회 자료집이다.

프로젝트 그날들: 2014 놓치지 말아야 할 인권의 기록, 기억의 사전

재단법인 인권재단 사람의 후원을 받아, 여러 단체와 모임이 함께 2014년의 인권 이슈, 인권과 관련해서 기억해야 할 사건을 기록한 자료집이다.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발표회', '최이우 목사, 국가인권위원회…

우리들의 차이에 직면하다: 교회 그리고 게이, 레즈비언 교인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서 번역한 책이다. 2015년 12월 17일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와 성소수자의 동등한 인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에서 주최한 행사 "사랑으로 혐오를 갚으리라~ 108명의 의인을 기다립니다"에서도 배포되었다.
제안서

제안서

친구사이가 한동협 내 모든 단체에 돌린 제안서로 2회 청소년 동성애 학교와 퀴어 페스티벌 혹은 성정치 문화제 공동 개최를 제안하는 내용. 2000년 제 1회 퀴어문화축제 이전의 아이디어가 어땠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에이즈와…

제5기 여성장애인 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한국여성장애인연합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가 '서울특별시 2005년도 여성발전기금 지원 사업'의 지원으로 진행한 제5기 여성장애인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이다. 교육은 2005년 6월 7일부터 7월…

반차별운동공동행동, 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옥외 집회 금지통고 이의에 관한 건

서울시지방경찰청에 보내는 공문

[퀴어문화축제 후원비 문제제기 사과문]

[퀴어문화축제 착복 의혹 관련 문서]

퀴어문화축제의 상업주의와 후원금 전용에 관한 성명서

[동성애자인권연대의 퀴어문화축제에 대한 비방 관련문서]

퀴어문화축제2002의 공익성 확보를 위한 요구서

Intersex의 치험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 의사가 쓴 글. 1960년대의 글로 주목해볼만 하다. 직접 만난 6명의 사례를 분석 보고하고 있다.

교과서 수정신청서 제출을 앞두고 참여단체를 대상으로 설명회 개최

1998년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이 발간한 윤리, 교련, 성과행복 등의 교과서에 실린 동성애 관련 내용 수정신청서에 참여의사를 표명한 단체에 수정신청서 설명회가 있음을 알리는 공문. 행사는 1999년 7월 26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에이즈와 함께 살다 - 행복하다, 내 삶과 육체를 깨달았으므로

2001년 8월 서울퀴어아카이브 월례 영화제 안내문. 영화 , , , . 뒷면에는 영화 에 대한 안내가 간략하게 되어있다.

Living with RedRibbon

서울 합정동에 위치한 갤러리"요기가 표현"에서 2012.5.22에서 2012.5.28까지 열린 전시회"Living With RedRibbon"와 6인의 HIV/AIDS활동가와의 인터뷰를 소개한다.

LGBT 인권 : UN과 아이사국가 법정에서의 투쟁

2006년 퀴어문화축제 초청 강연 자료. LGBT 인권보장을 위한 UN 인권이사회의 노력과 LGBT와 관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판례를 한국의 상황과 연관지어 살펴보는 글이다. 한채윤이 쓴 '강연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가…

국제법에 의거한 인권과 성정체성

2002년 퀴어문화축제 초청 강연 자료. 동성애자 인권보장을 위한 법적 조치들과 동성애를 둘러싼 사회적 논쟁을 유럽과 국제연합의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2002년 6월 7일 흥국생명 14층 세미나실에서 진행.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2

목차: 1. 무지개 2002 기획취지 2. 무지개 2002 조직도 3. 무지개 2002 행사개요 4. 프로그램 5. 예산 및 재정계획 6. 홍보전략 7. 후원 및 협찬사의 광고기대효과 8. 퀴어문화축제 연혁 9. 보도자료 10.…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1

목차: 1. 무지개 2001-퀴어문화축제 기획취지 2. 무지개 2002- 퀴어문화축제 조직도 3. 행사개요 4. 프로그램 5. 예산 및 재정 계획 6. 홍보계획 7. 매체홍보전략 8. 행사 후원 및 협찬사의 광고기대 효과 9.…

세상 사람 다 알아도 엄마 아빠도 안돼: 성소수자가 지각하는 부모 지지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제18회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전공 학술심포지엄 발표 자료집이다.
  • 축제지역  서울시
  • 기록형태  문서
  • 사용언어  한국어
검색결과 : 350건 출력

DA-0000261

교회와 동성애: 호모포비아 극복하기 -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초청 강연

DA-0000254

프로젝트 그날들: 2014 놓치지 말아야 할 인권의 기록, 기억의 사전

DA-0000250

우리들의 차이에 직면하다: 교회 그리고 게이, 레즈비언 교인들

DB-0000133

제안서

DA-0000074

제5기 여성장애인 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DB-0000482

반차별운동공동행동, 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옥외 집회 금지통고 이의에 관한 건

DB-0000456

[퀴어문화축제 후원비 문제제기 사과문]

DB-0000455

[퀴어문화축제 착복 의혹 관련 문서]

DB-0000453

퀴어문화축제의 상업주의와 후원금 전용에 관한 성명서

DB-0000452

[동성애자인권연대의 퀴어문화축제에 대한 비방 관련문서]

DB-0000451

퀴어문화축제2002의 공익성 확보를 위한 요구서

DB-0000426

Intersex의 치험례

DB-0000529

교과서 수정신청서 제출을 앞두고 참여단체를 대상으로 설명회 개최

DB-0000515

에이즈와 함께 살다 - 행복하다, 내 삶과 육체를 깨달았으므로

DA-0000293

Living with RedRibbon

DB-0000533

LGBT 인권 : UN과 아이사국가 법정에서의 투쟁

DB-0000532

국제법에 의거한 인권과 성정체성

DA-0000094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2

DA-0000092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1

DA-0000085

세상 사람 다 알아도 엄마 아빠도 안돼: 성소수자가 지각하는 부모 지지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축제지역  서울시
  • 기록형태  문서
  • 사용언어  한국어
검색결과 : 350건 출력

제목| 교회와 동성애: 호모포비아 극복하기 -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초청 강연

설명|2010 퀴어문화축제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한,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강연회 자료집이다.

식별번호|DA-0000261

저자|테드 제닝스; 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10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기획단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프로젝트 그날들: 2014 놓치지 말아야 할 인권의 기록, 기억의 사전

설명|재단법인 인권재단 사람의 후원을 받아, 여러 단체와 모임이 함께 2014년의 인권 이슈, 인권과 관련해서 기억해야 할 사건을 기록한 자료집이다.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발표회', '최이우 목사,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대구퀴어문화축제', '퀴어문화축제 신촌 퍼레이드',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서울시청 점거 농성' 등이 실려 있다.

식별번호|DA-0000254

저자|프로젝트 그날들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프로젝트 그날들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퀴어문화축제&인디)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우리들의 차이에 직면하다: 교회 그리고 게이, 레즈비언 교인들

설명|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서 번역한 책이다. 2015년 12월 17일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와 성소수자의 동등한 인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에서 주최한 행사 "사랑으로 혐오를 갚으리라~ 108명의 의인을 기다립니다"에서도 배포되었다.

식별번호|DA-0000250

저자|알렌 브레쉬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인디, 캔디)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제안서

설명|친구사이가 한동협 내 모든 단체에 돌린 제안서로 2회 청소년 동성애 학교와 퀴어 페스티벌 혹은 성정치 문화제 공동 개최를 제안하는 내용. 2000년 제 1회 퀴어문화축제 이전의 아이디어가 어땠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에이즈와 노동조합 운동과의 연대 모색도 엿볼 수 있다.

식별번호|DB-0000133

저자|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발행년도|1999

출판사/발행처|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BUDDY)

주제|HIV/AIDS; 청소년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제5기 여성장애인 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설명|한국여성장애인연합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가 '서울특별시 2005년도 여성발전기금 지원 사업'의 지원으로 진행한 제5기 여성장애인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이다. 교육은 2005년 6월 7일부터 7월 23일까지(화(18:30-21:00), 토(14:00-20:00)) 서울여성프라자 2층 NGO 센터에서 진행했다. 이 자료집엔 7월 9일 17:00부터…

식별번호|DA-0000074

저자|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발행년도|2005

출판사/발행처|사단법인 한국여성장애인연합 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반차별운동공동행동, 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옥외 집회 금지통고 이의에 관한 건

설명|서울시지방경찰청에 보내는 공문

식별번호|DB-0000482

저자|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후원비 문제제기 사과문]

식별번호|DB-0000456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착복 의혹 관련 문서]

식별번호|DB-0000455

저자|이송희일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퀴어문화축제 착복 의혹 관련 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의 상업주의와 후원금 전용에 관한 성명서

식별번호|DB-0000453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2002의 공익성 확보를 위한 요구서

식별번호|DB-0000451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Intersex의 치험례

설명|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 의사가 쓴 글. 1960년대의 글로 주목해볼만 하다. 직접 만난 6명의 사례를 분석 보고하고 있다.

식별번호|DB-0000426

저자|안웅준

발행년도|1967

출판사/발행처|대한비뇨기과학회잡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한채윤)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교과서 수정신청서 제출을 앞두고 참여단체를 대상으로 설명회 개최

설명|1998년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이 발간한 윤리, 교련, 성과행복 등의 교과서에 실린 동성애 관련 내용 수정신청서에 참여의사를 표명한 단체에 수정신청서 설명회가 있음을 알리는 공문. 행사는 1999년 7월 26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사무실에서 진행.

식별번호|DB-0000529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1999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에이즈와 함께 살다 - 행복하다, 내 삶과 육체를 깨달았으므로

설명|2001년 8월 서울퀴어아카이브 월례 영화제 안내문. 영화 , , , . 뒷면에는 영화 에 대한 안내가 간략하게 되어있다.

식별번호|DB-0000515

저자|서울퀴어아카이브

발행년도|200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HIV/AIDS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Living with RedRibbon

설명|서울 합정동에 위치한 갤러리"요기가 표현"에서 2012.5.22에서 2012.5.28까지 열린 전시회"Living With RedRibbon"와 6인의 HIV/AIDS활동가와의 인터뷰를 소개한다.

식별번호|DA-0000293

저자|칼로

발행년도|2012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이벤트 기획단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주제|HIV/AIDS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LGBT 인권 : UN과 아이사국가 법정에서의 투쟁

설명|2006년 퀴어문화축제 초청 강연 자료. LGBT 인권보장을 위한 UN 인권이사회의 노력과 LGBT와 관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판례를 한국의 상황과 연관지어 살펴보는 글이다. 한채윤이 쓴 '강연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가 첨부되어 있다. 2006년 6월 2일 iSHAP 세미나실에서 진행.

식별번호|DB-0000533

저자|더글라스 샌더스

발행년도|2006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국제법에 의거한 인권과 성정체성

설명|2002년 퀴어문화축제 초청 강연 자료. 동성애자 인권보장을 위한 법적 조치들과 동성애를 둘러싼 사회적 논쟁을 유럽과 국제연합의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2002년 6월 7일 흥국생명 14층 세미나실에서 진행.

식별번호|DB-0000532

저자|더글라스 샌더스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2

설명|목차: 1. 무지개 2002 기획취지 2. 무지개 2002 조직도 3. 무지개 2002 행사개요 4. 프로그램 5. 예산 및 재정계획 6. 홍보전략 7. 후원 및 협찬사의 광고기대효과 8. 퀴어문화축제 연혁 9. 보도자료 10. 물품요구서

식별번호|DA-0000094

저자|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2(불명)

발행년도|2002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2(불명)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무지개 2001

설명|목차: 1. 무지개 2001-퀴어문화축제 기획취지 2. 무지개 2002- 퀴어문화축제 조직도 3. 행사개요 4. 프로그램 5. 예산 및 재정 계획 6. 홍보계획 7. 매체홍보전략 8. 행사 후원 및 협찬사의 광고기대 효과 9. 퀴어문화축제 연혁 10. 물품요구서

식별번호|DA-0000092

저자|퀴어문화축제(불명)

발행년도|2001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불명)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

제목| 세상 사람 다 알아도 엄마 아빠도 안돼: 성소수자가 지각하는 부모 지지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설명|제18회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전공 학술심포지엄 발표 자료집이다.

식별번호|DA-0000085

저자|조남석; 김보미; 김아영; 김아영; 박해인; 염아영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전공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보비)

  • 문서
  • 한국어
  • 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