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찾아보기

찾아보기

검색결과 : 732건 검색

제목| 기독 남성동성애자의 스트레스와 적응과정

설명|[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게재된 논문이며 "기독 남성동성애자가 성적 지향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삶의 적응과정을" 면접조사를 통해 연구한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2025

저자|백은정; 유영권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한국심리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설명|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진술들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로…

식별번호|TH-0000121

저자|허경운

발행년도|201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군대

  • 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진술들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 과정은 어떠한가? 라는 의문을 가지고 군에 입대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하여 그 심리적 본질을 연구하였다. 10명을 심층 면담하여 참여자 개인의 속성과 전체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22세에서 26세까지의 남성 군인들을 상대로, 연구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군 동성애자들을 면접한 내용에 대하여 현상학적 방법으로 도출된 140개의 구성 의미와 36개의 주제 그리고 10개의 주제군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근거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 적응에 대해 등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원하지 않는 입대를 하게 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며 성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재차 겪는 현실을 부정하면서도, 병영생활 적응을 위해 노력은 하였으나 군이라는 거대한 집단에서의 부적응으로 인해 자살 시도, 자해하는 등 지독한 외로움과 싸우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군은 내적으로 보직변경, 부대 이동, 비전 캠프, 그린 캠프 등의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였으며,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을 통한 상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바람은, 군 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상근으로 되거나,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에서의 생활환경 개선, 21개월의 기간 동안 소수의 무리가 할 수 있는 보직을 원했으나 부대 여건상 쉬운 일이 아니므로 더욱 적응에 어려움을 느꼈다. 또한, 그동안 게이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살아온 가족들에게 커밍아웃하거나, 상담을 통해 부대 전우들에게 아웃팅 당하게 되고, 성병 보유자라는 오명까지 떠안게 되는 고통에 시달려 군 생활을 포기한 채 부적합 제대를 하는 경우가 생겼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성애자 병영생활 적응 성공은, 심리적 현실적 어려움과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방황하고 좌절하는 가운데 자신의 의지와 군 관계자와 전우들의 격려, 가족들의 이해와 포용이 가장 큰 힘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동성애자들에 대한 편견을 갖지 않도록 가족과 전우들 혹은 주위 사람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진행하며, 동성애자들도 병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차원에서의 군사회복지적 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진술들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 과정은 어떠한가? 라는 의문을 가지고 군에 입대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하여 그 심리적 본질을 연구하였다. 10명을 심층 면담하여 참여자 개인의 속성과 전체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22세에서 26세까지의 남성 군인들을 상대로, 연구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군 동성애자들을 면접한 내용에 대하여 현상학적 방법으로 도출된 140개의 구성 의미와 36개의 주제 그리고 10개의 주제군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근거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 적응에 대해 등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원하지 않는 입대를 하게 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며 성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재차 겪는 현실을 부정하면서도, 병영생활 적응을 위해 노력은 하였으나 군이라는 거대한 집단에서의 부적응으로 인해 자살 시도, 자해하는 등 지독한 외로움과 싸우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군은 내적으로 보직변경, 부대 이동, 비전 캠프, 그린 캠프 등의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였으며,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을 통한 상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바람은, 군 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상근으로 되거나,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에서의 생활환경 개선, 21개월의 기간 동안 소수의 무리가 할 수 있는 보직을 원했으나 부대 여건상 쉬운 일이 아니므로 더욱 적응에 어려움을 느꼈다. 또한, 그동안 게이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살아온 가족들에게 커밍아웃하거나, 상담을 통해 부대 전우들에게 아웃팅 당하게 되고, 성병 보유자라는 오명까지 떠안게 되는 고통에 시달려 군 생활을 포기한 채 부적합 제대를 하는 경우가 생겼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성애자 병영생활 적응 성공은, 심리적 현실적 어려움과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방황하고 좌절하는 가운데 자신의 의지와 군 관계자와 전우들의 격려, 가족들의 이해와 포용이 가장 큰 힘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동성애자들에 대한 편견을 갖지 않도록 가족과 전우들 혹은 주위 사람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진행하며, 동성애자들도 병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차원에서의 군사회복지적 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제목| 한국 동성애자 인권운동의 현재와 방향성

설명|한동협 일주년 기념행사 발제문.

식별번호|DB-0000694

저자|이희일; 여 신; 임태훈

발행년도|1999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제목| 2013년 동성애자에이즈예방센터 최종실적보고

설명|아이샵(iSHAP)의 2013년 동성애자에이즈예방센터 최종실적보고 PPT를 인쇄한 것이다.

식별번호|DB-0000673

저자|김현구; iSHAP(아이샵)

발행년도|201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KSCRC))

주제|HIV/AIDS

제목| 친구사이 주최 3~40대 동성애자모임

설명|나우누리 동성애자모임 '레인보우'에 서동진씨가 올린 글. 친구사이에서 주최하는 제1회 3~40대 남성동성애자모임 공지하는 내용. 같이 있는 다른 글은 B-355로 등록되었음.

식별번호|DB-0000377

저자|서동진

발행년도|1996

출판사/발행처|나우누리 동성애자모임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제목| 왜 동성애자가 박해받아야 하나? : 한 지성적 게이의 항변

설명|1995년 3월 27일 '연세춘추'에 게이/레즈비언 학우는 연락하라는 광고를 내서 한국 사회에 파문을 던진 서동진과 박종영 기자의 대담을 실은 글

식별번호|DB-0000378

저자|서동진; 박종영

발행년도|1995

출판사/발행처|샘이 깊은물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제목| 동성애자의 성적자기결정권과 가족형성의 권리

설명|시민과변호사 2002년 1월에 섹슈얼리티 법률학 코너에 실린 글. 박선영 법학박사가 쓴 글로 동성결혼에 대해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0366

저자|박선영

발행년도|2002

출판사/발행처|시민과변호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가족구성권

제목| 영화와 이단적 섹슈얼리티: 은막 안의 동성애자들

설명|2001년 미지로 아카데미에서 개설되었던 '문화읽기-동성애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성, 사랑, 섹스 그리고 예술' 중 4강의 강의자료. 블랙위도우, 아메리칸 지골로 등을 중심으로 할리우드 영화에서 동성애 재현의 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식별번호|DB-0000021

저자|주유신

발행년도|200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 2001년 미지로 아카데미에서 개설되었던 '문화읽기-동성애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성, 사랑, 섹스 그리고 예술' 중 4강의 강의자료. 블랙위도우, 아메리칸 지골로 등을 중심으로 할리우드 영화에서 동성애 재현의 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 2001년 미지로 아카데미에서 개설되었던 '문화읽기-동성애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성, 사랑, 섹스 그리고 예술' 중 4강의 강의자료. 블랙위도우, 아메리칸 지골로 등을 중심으로 할리우드 영화에서 동성애 재현의 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제목| 메사추세츠주 대법원, 동성결혼 금지는 위헌 판결

설명|2003년 11월 18일 매사추세츠주 대법원의 동성 결혼 금지가 위헌이라는 판결에 대한 상세한 기사와 로버트 원트민트와 마주 안네나에스가 쓴 "동성커플의 법적 인식" 에 대한 두 개의 서평을 모아놓은 것.어떻게 해서 자료를 찾았고 함께 출력했는지는 모른다.

식별번호|DB-0000332

저자|[미상]

발행년도|2003

출판사/발행처|AP통신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가족구성권

  • 2003년 11월 18일 매사추세츠주 대법원의 동성 결혼 금지가 위헌이라는 판결에 대한 상세한 기사와 로버트 원트민트와 마주 안네나에스가 쓴 "동성커플의 법적 인식" 에 대한 두 개의 서평을 모아놓은 것.어떻게 해서 자료를 찾았고 함께 출력했는지는 모른다.
  • 2003년 11월 18일 매사추세츠주 대법원의 동성 결혼 금지가 위헌이라는 판결에 대한 상세한 기사와 로버트 원트민트와 마주 안네나에스가 쓴 ""동성커플의 법적 인식"" 에 대한 두 개의 서평을 모아놓은 것.어떻게 해서 자료를 찾았고 함께 출력했는지는 모른다.

제목| 동성애자, 이성애자, 레즈비언, 이런 단어가 없어지면 좋겠어요

설명|버디 편집장 한채윤과의 인터뷰 기사

식별번호|DB-0000234

저자|고나리

발행년도|2000

출판사/발행처|나이고싶은나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BUDDY)

제목| 청소년 동성애자의 오늘­-담론,정책,기획

설명|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가 '국가인권위원회 2005년도 인권증진을 위한 시민실천 프로그램개발 용역사업'으로 지원 받아 진행한 행사 자료집이다. 2005년 10월 29일 오후 4시에 인권실천시민연대 교육장에서 행사를 진행했으며, 사회는 신윤, 토론자는 겸, 현아, 최준원이다. 발표자 정욜은 "청소년 성소수자들에게 희망은 있는가?", 곽이경은…

식별번호|DA-0000018

저자|정욜; 곽이경; 한채윤

발행년도|2005

출판사/발행처|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청소년

제목| [문서-805]에이즈 : 동성애자의 결혼

식별번호|DX-0000805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가족구성권; HIV/AIDS

제목| [문서-804]남성 동성애자와 에이즈

식별번호|DX-0000804

출판사/발행처|한채윤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HIV/AIDS

제목| 정정숙 교수의 지상상담 : 동성애자의 고민

설명|[상담과 선교]에 실린 동성애 관련 글이며, 기독교 상담으로 쓴 내용이다.

식별번호|DB-0001819

저자|정정숙

발행년도|2000

출판사/발행처|한국상담선교연구원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상담과 선교]에 실린 동성애 관련 글이며, 기독교 상담으로 쓴 내용이다.
  • [상담과 선교]에 실린 동성애 관련 글이며, 기독교 상담으로 쓴 내용이다.

제목| 동성애자의 인물화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설명|[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에 실린 인물화검사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1629

저자|김경희; 최은영; 전종국

발행년도|2007

출판사/발행처|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국내 여성 동성애자의 장소 형성과 문화 실태

설명|[여성연구논총]에 실린 논문이며 레즈비언의 시기별 지역별 문화 형성을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1721

저자|윤아영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동성애자의 성역할 정체성과 인물화 특성 연구

식별번호|TH-0000093

저자|김경희

발행년도|2006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KSCRC)

제목| 에이즈 최대의 피해자 그룹 중 하나. 남성 동성애자

설명|동성애자와 에이즈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동성애자들의 에이즈 예방 및 동성애자 감염인 인권 보호를 위한 활동을 함께 해야 한다는 글. 2005년 11월 6일(토) 친구사이 토론회 발표문.

식별번호|DB-0000509

저자|김현구

발행년도|2005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HIV/AIDS

제목| 동성애자 커플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

설명|B-340,341과 연결. 문화연대에서 나오는 월간 잡지 '문화연대'에 실린 특집 기사 중의 하나. 게이 커플이 겪는 불이익과 차별사례에 대해 정리하고 소수자에게도 법적, 제도적 평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글.

식별번호|DB-0000342

저자|여인하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문화연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동성애자 사목을 위하여 카톨릭 주교들에게 보내는 서한

제목| 동성애자 사목을 위하여 카톨릭 주교들에게 보내는 서한

설명|1986년10월1일 신앙 교리성성의 정기회의에서 교황이 주교들에게 보내는 서한 중에서 동성애에 관한 부분만을 발췌한 것. 그리고 그 뒤로 동성애가 종교적 관점에서 잘못된 것임에 대해 9가지로 설명하는 글이 함께 있다. 이 자료는 한채윤이 인터넷 검색을 통해 본 글을 출력해 놓은 것으로 정확한 출처는 현재 알 수 없다.

식별번호|DB-0000299

저자|[미상]

발행년도|[2000년대 초반]

출판사/발행처|[미상]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한채윤)

검색결과 : 732건 출력

기독 남성동성애자의 스트레스와 적응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게재된 논문이며 "기독 남성동성애자가 성적 지향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삶의 적응과정을" 면접조사를 통해 연구한 논문이다.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한국 동성애자 인권운동의 현재와 방향성

한동협 일주년 기념행사 발제문.

2013년 동성애자에이즈예방센터 최종실적보고

아이샵(iSHAP)의 2013년 동성애자에이즈예방센터 최종실적보고 PPT를 인쇄한 것이다.

친구사이 주최 3~40대 동성애자모임

나우누리 동성애자모임 '레인보우'에 서동진씨가 올린 글. 친구사이에서 주최하는 제1회 3~40대 남성동성애자모임 공지하는 내용. 같이 있는 다른 글은 B-355로 등록되었음.

왜 동성애자가 박해받아야 하나? : 한 지성적 게이의 항변

1995년 3월 27일 '연세춘추'에 게이/레즈비언 학우는 연락하라는 광고를 내서 한국 사회에 파문을 던진 서동진과 박종영 기자의 대담을 실은 글

동성애자의 성적자기결정권과 가족형성의 권리

시민과변호사 2002년 1월에 섹슈얼리티 법률학 코너에 실린 글. 박선영 법학박사가 쓴 글로 동성결혼에 대해 다루고 있다.

영화와 이단적 섹슈얼리티: 은막 안의 동성애자들

2001년 미지로 아카데미에서 개설되었던 '문화읽기-동성애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성, 사랑, 섹스 그리고 예술' 중 4강의 강의자료. 블랙위도우, 아메리칸 지골로 등을 중심으로 할리우드 영화에서 동성애 재현의 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메사추세츠주 대법원, 동성결혼 금지는 위헌 판결

2003년 11월 18일 매사추세츠주 대법원의 동성 결혼 금지가 위헌이라는 판결에 대한 상세한 기사와 로버트 원트민트와 마주 안네나에스가 쓴 "동성커플의 법적 인식" 에 대한 두 개의 서평을 모아놓은 것.어떻게 해서 자료를 찾았고…

동성애자, 이성애자, 레즈비언, 이런 단어가 없어지면 좋겠어요

버디 편집장 한채윤과의 인터뷰 기사

청소년 동성애자의 오늘­-담론,정책,기획

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가 '국가인권위원회 2005년도 인권증진을 위한 시민실천 프로그램개발 용역사업'으로 지원 받아 진행한 행사 자료집이다. 2005년 10월 29일 오후 4시에 인권실천시민연대 교육장에서 행사를…

[문서-805]에이즈 : 동성애자의 결혼

[문서-804]남성 동성애자와 에이즈

정정숙 교수의 지상상담 : 동성애자의 고민

[상담과 선교]에 실린 동성애 관련 글이며, 기독교 상담으로 쓴 내용이다.

동성애자의 인물화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에 실린 인물화검사 논문이다.

국내 여성 동성애자의 장소 형성과 문화 실태

[여성연구논총]에 실린 논문이며 레즈비언의 시기별 지역별 문화 형성을 다루고 있다.

동성애자의 성역할 정체성과 인물화 특성 연구

에이즈 최대의 피해자 그룹 중 하나. 남성 동성애자

동성애자와 에이즈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동성애자들의 에이즈 예방 및 동성애자 감염인 인권 보호를 위한 활동을 함께 해야 한다는 글. 2005년 11월 6일(토) 친구사이 토론회 발표문.

동성애자 커플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

B-340,341과 연결. 문화연대에서 나오는 월간 잡지 '문화연대'에 실린 특집 기사 중의 하나. 게이 커플이 겪는 불이익과 차별사례에 대해 정리하고 소수자에게도 법적, 제도적 평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글.
동성애자 사목을 위하여 카톨릭 주교들에게 보내는 서한

동성애자 사목을 위하여 카톨릭 주교들에게 보내는 서한

1986년10월1일 신앙 교리성성의 정기회의에서 교황이 주교들에게 보내는 서한 중에서 동성애에 관한 부분만을 발췌한 것. 그리고 그 뒤로 동성애가 종교적 관점에서 잘못된 것임에 대해 9가지로 설명하는 글이 함께 있다. 이 자료는…
검색결과 : 732건 출력
검색결과 : 732건 출력

제목| 기독 남성동성애자의 스트레스와 적응과정

설명|[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게재된 논문이며 "기독 남성동성애자가 성적 지향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삶의 적응과정을" 면접조사를 통해 연구한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2025

저자|백은정; 유영권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한국심리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설명|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진술들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로…

식별번호|TH-0000121

저자|허경운

발행년도|201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군대

  • 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진술들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 과정은 어떠한가? 라는 의문을 가지고 군에 입대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하여 그 심리적 본질을 연구하였다. 10명을 심층 면담하여 참여자 개인의 속성과 전체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22세에서 26세까지의 남성 군인들을 상대로, 연구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군 동성애자들을 면접한 내용에 대하여 현상학적 방법으로 도출된 140개의 구성 의미와 36개의 주제 그리고 10개의 주제군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근거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 적응에 대해 등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원하지 않는 입대를 하게 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며 성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재차 겪는 현실을 부정하면서도, 병영생활 적응을 위해 노력은 하였으나 군이라는 거대한 집단에서의 부적응으로 인해 자살 시도, 자해하는 등 지독한 외로움과 싸우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군은 내적으로 보직변경, 부대 이동, 비전 캠프, 그린 캠프 등의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였으며,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을 통한 상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바람은, 군 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상근으로 되거나,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에서의 생활환경 개선, 21개월의 기간 동안 소수의 무리가 할 수 있는 보직을 원했으나 부대 여건상 쉬운 일이 아니므로 더욱 적응에 어려움을 느꼈다. 또한, 그동안 게이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살아온 가족들에게 커밍아웃하거나, 상담을 통해 부대 전우들에게 아웃팅 당하게 되고, 성병 보유자라는 오명까지 떠안게 되는 고통에 시달려 군 생활을 포기한 채 부적합 제대를 하는 경우가 생겼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성애자 병영생활 적응 성공은, 심리적 현실적 어려움과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방황하고 좌절하는 가운데 자신의 의지와 군 관계자와 전우들의 격려, 가족들의 이해와 포용이 가장 큰 힘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동성애자들에 대한 편견을 갖지 않도록 가족과 전우들 혹은 주위 사람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진행하며, 동성애자들도 병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차원에서의 군사회복지적 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동성애자로서 군에 입대한 후 병영생활에 적응하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입대 전에 겪은 좌절과 고통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적응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자살 시도하기까지의 심리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진술들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 과정은 어떠한가? 라는 의문을 가지고 군에 입대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에 관하여 그 심리적 본질을 연구하였다. 10명을 심층 면담하여 참여자 개인의 속성과 전체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22세에서 26세까지의 남성 군인들을 상대로, 연구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군 동성애자들을 면접한 내용에 대하여 현상학적 방법으로 도출된 140개의 구성 의미와 36개의 주제 그리고 10개의 주제군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근거로 동성애자들의 병영생활 적응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 적응에 대해 등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원하지 않는 입대를 하게 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며 성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재차 겪는 현실을 부정하면서도, 병영생활 적응을 위해 노력은 하였으나 군이라는 거대한 집단에서의 부적응으로 인해 자살 시도, 자해하는 등 지독한 외로움과 싸우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군은 내적으로 보직변경, 부대 이동, 비전 캠프, 그린 캠프 등의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였으며,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을 통한 상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바람은, 군 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상근으로 되거나,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에서의 생활환경 개선, 21개월의 기간 동안 소수의 무리가 할 수 있는 보직을 원했으나 부대 여건상 쉬운 일이 아니므로 더욱 적응에 어려움을 느꼈다. 또한, 그동안 게이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살아온 가족들에게 커밍아웃하거나, 상담을 통해 부대 전우들에게 아웃팅 당하게 되고, 성병 보유자라는 오명까지 떠안게 되는 고통에 시달려 군 생활을 포기한 채 부적합 제대를 하는 경우가 생겼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성애자 병영생활 적응 성공은, 심리적 현실적 어려움과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방황하고 좌절하는 가운데 자신의 의지와 군 관계자와 전우들의 격려, 가족들의 이해와 포용이 가장 큰 힘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동성애자들에 대한 편견을 갖지 않도록 가족과 전우들 혹은 주위 사람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진행하며, 동성애자들도 병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차원에서의 군사회복지적 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제목| 한국 동성애자 인권운동의 현재와 방향성

설명|한동협 일주년 기념행사 발제문.

식별번호|DB-0000694

저자|이희일; 여 신; 임태훈

발행년도|1999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제목| 2013년 동성애자에이즈예방센터 최종실적보고

설명|아이샵(iSHAP)의 2013년 동성애자에이즈예방센터 최종실적보고 PPT를 인쇄한 것이다.

식별번호|DB-0000673

저자|김현구; iSHAP(아이샵)

발행년도|201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KSCRC))

주제|HIV/AIDS

제목| 친구사이 주최 3~40대 동성애자모임

설명|나우누리 동성애자모임 '레인보우'에 서동진씨가 올린 글. 친구사이에서 주최하는 제1회 3~40대 남성동성애자모임 공지하는 내용. 같이 있는 다른 글은 B-355로 등록되었음.

식별번호|DB-0000377

저자|서동진

발행년도|1996

출판사/발행처|나우누리 동성애자모임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제목| 왜 동성애자가 박해받아야 하나? : 한 지성적 게이의 항변

설명|1995년 3월 27일 '연세춘추'에 게이/레즈비언 학우는 연락하라는 광고를 내서 한국 사회에 파문을 던진 서동진과 박종영 기자의 대담을 실은 글

식별번호|DB-0000378

저자|서동진; 박종영

발행년도|1995

출판사/발행처|샘이 깊은물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제목| 동성애자의 성적자기결정권과 가족형성의 권리

설명|시민과변호사 2002년 1월에 섹슈얼리티 법률학 코너에 실린 글. 박선영 법학박사가 쓴 글로 동성결혼에 대해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0366

저자|박선영

발행년도|2002

출판사/발행처|시민과변호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가족구성권

제목| 영화와 이단적 섹슈얼리티: 은막 안의 동성애자들

설명|2001년 미지로 아카데미에서 개설되었던 '문화읽기-동성애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성, 사랑, 섹스 그리고 예술' 중 4강의 강의자료. 블랙위도우, 아메리칸 지골로 등을 중심으로 할리우드 영화에서 동성애 재현의 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식별번호|DB-0000021

저자|주유신

발행년도|2001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 2001년 미지로 아카데미에서 개설되었던 '문화읽기-동성애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성, 사랑, 섹스 그리고 예술' 중 4강의 강의자료. 블랙위도우, 아메리칸 지골로 등을 중심으로 할리우드 영화에서 동성애 재현의 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 2001년 미지로 아카데미에서 개설되었던 '문화읽기-동성애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성, 사랑, 섹스 그리고 예술' 중 4강의 강의자료. 블랙위도우, 아메리칸 지골로 등을 중심으로 할리우드 영화에서 동성애 재현의 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제목| 메사추세츠주 대법원, 동성결혼 금지는 위헌 판결

설명|2003년 11월 18일 매사추세츠주 대법원의 동성 결혼 금지가 위헌이라는 판결에 대한 상세한 기사와 로버트 원트민트와 마주 안네나에스가 쓴 "동성커플의 법적 인식" 에 대한 두 개의 서평을 모아놓은 것.어떻게 해서 자료를 찾았고 함께 출력했는지는 모른다.

식별번호|DB-0000332

저자|[미상]

발행년도|2003

출판사/발행처|AP통신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가족구성권

  • 2003년 11월 18일 매사추세츠주 대법원의 동성 결혼 금지가 위헌이라는 판결에 대한 상세한 기사와 로버트 원트민트와 마주 안네나에스가 쓴 "동성커플의 법적 인식" 에 대한 두 개의 서평을 모아놓은 것.어떻게 해서 자료를 찾았고 함께 출력했는지는 모른다.
  • 2003년 11월 18일 매사추세츠주 대법원의 동성 결혼 금지가 위헌이라는 판결에 대한 상세한 기사와 로버트 원트민트와 마주 안네나에스가 쓴 ""동성커플의 법적 인식"" 에 대한 두 개의 서평을 모아놓은 것.어떻게 해서 자료를 찾았고 함께 출력했는지는 모른다.

제목| 동성애자, 이성애자, 레즈비언, 이런 단어가 없어지면 좋겠어요

설명|버디 편집장 한채윤과의 인터뷰 기사

식별번호|DB-0000234

저자|고나리

발행년도|2000

출판사/발행처|나이고싶은나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BUDDY)

제목| 청소년 동성애자의 오늘­-담론,정책,기획

설명|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가 '국가인권위원회 2005년도 인권증진을 위한 시민실천 프로그램개발 용역사업'으로 지원 받아 진행한 행사 자료집이다. 2005년 10월 29일 오후 4시에 인권실천시민연대 교육장에서 행사를 진행했으며, 사회는 신윤, 토론자는 겸, 현아, 최준원이다. 발표자 정욜은 "청소년 성소수자들에게 희망은 있는가?", 곽이경은…

식별번호|DA-0000018

저자|정욜; 곽이경; 한채윤

발행년도|2005

출판사/발행처|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주제|청소년

제목| [문서-805]에이즈 : 동성애자의 결혼

식별번호|DX-0000805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가족구성권; HIV/AIDS

제목| [문서-804]남성 동성애자와 에이즈

식별번호|DX-0000804

출판사/발행처|한채윤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HIV/AIDS

제목| 정정숙 교수의 지상상담 : 동성애자의 고민

설명|[상담과 선교]에 실린 동성애 관련 글이며, 기독교 상담으로 쓴 내용이다.

식별번호|DB-0001819

저자|정정숙

발행년도|2000

출판사/발행처|한국상담선교연구원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상담과 선교]에 실린 동성애 관련 글이며, 기독교 상담으로 쓴 내용이다.
  • [상담과 선교]에 실린 동성애 관련 글이며, 기독교 상담으로 쓴 내용이다.

제목| 동성애자의 인물화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설명|[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에 실린 인물화검사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1629

저자|김경희; 최은영; 전종국

발행년도|2007

출판사/발행처|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국내 여성 동성애자의 장소 형성과 문화 실태

설명|[여성연구논총]에 실린 논문이며 레즈비언의 시기별 지역별 문화 형성을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1721

저자|윤아영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동성애자의 성역할 정체성과 인물화 특성 연구

식별번호|TH-0000093

저자|김경희

발행년도|2006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수집(KSCRC)

제목| 에이즈 최대의 피해자 그룹 중 하나. 남성 동성애자

설명|동성애자와 에이즈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동성애자들의 에이즈 예방 및 동성애자 감염인 인권 보호를 위한 활동을 함께 해야 한다는 글. 2005년 11월 6일(토) 친구사이 토론회 발표문.

식별번호|DB-0000509

저자|김현구

발행년도|2005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주제|HIV/AIDS

제목| 동성애자 커플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

설명|B-340,341과 연결. 문화연대에서 나오는 월간 잡지 '문화연대'에 실린 특집 기사 중의 하나. 게이 커플이 겪는 불이익과 차별사례에 대해 정리하고 소수자에게도 법적, 제도적 평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글.

식별번호|DB-0000342

저자|여인하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문화연대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제목| 동성애자 사목을 위하여 카톨릭 주교들에게 보내는 서한

설명|1986년10월1일 신앙 교리성성의 정기회의에서 교황이 주교들에게 보내는 서한 중에서 동성애에 관한 부분만을 발췌한 것. 그리고 그 뒤로 동성애가 종교적 관점에서 잘못된 것임에 대해 9가지로 설명하는 글이 함께 있다. 이 자료는 한채윤이 인터넷 검색을 통해 본 글을 출력해 놓은 것으로 정확한 출처는 현재 알 수 없다.

식별번호|DB-0000299

저자|[미상]

발행년도|[2000년대 초반]

출판사/발행처|[미상]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한채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