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미국 "혼혈 원주민 여성시인이자 화가, 인권 운동가"며 레즈비언인 크리스토스를 퀴어 에코페미니즘으로 읽는 작업이다.
철학과 정신분석에서 논하는 잉여 개념을 퀴어와 연결하는 논문이다. [한국여성철학]에 실렸다.
비온뒤무지개재단 부설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에서 발간한 두 번째 소식지다. (2016.06)
현대의 젠더 연구와 퀴어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세 이론가를 분석한 동성애론과 페미니즘의 전통 사이의 관계를 살피는 글이다.
허먼 멜빌의 작품을 퀴어 이론으로 분석한 글이다.
"이 논문은 변혁 감독의 영화 〈주홍글씨〉(2004)에 서사적 틀을 제공한 김영하의 〈사진관 살인사건〉〈거울에 대한 명상〉의 작품들의 퀴어적 서사내용이 영화 〈주홍글씨〉에서 어떻게 영상의 서사구조로 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성서의 아가를 퀴어 맥락에서 논한 글이다.
성서 에스겔과 아가를 페미니즘 관점과 퀴어 관점으로 분석한 글이다.
얀베 유우헤이가 쓰고, 장수희가 번역하고 다지마 테츠오가 감수한 글이다. 일본의 퀴어 이슈(혐오)를 다루고 있다.
애너매리 야고스의 논문을 변역한 글이다.
피스크의 대중 문화론을 통해 마돈나의 뮤직 비디오를 분석한 글이다
2011년 제12회 퀴어문화축제에 참가하고 쓴 글이다.
퀴어문화축제와 반LGBT/퀴어 집단(보수 기독교 집단)의 태도 등을 분석한 논문이다
퀴어 아동문학을 분석한 논문이다.
퀴어문화축제 참관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