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뉴스위크 한국판, 멜린다 게이츠가 에이즈 예방 활동을 하면서 생각한 것들을 쓴 글. 임상실험에 더 많은 예산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시민교육연구]에 실린 초등학교 교사의 소수자 인식 관련 연구다.
[피해자학연구]에 실린 논문이다.
서울 홍대앞의 게이바 '콘택트'의 내부 모습이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 송화로2번길에서 송화로의 굴다리를 지나 참외전로 옆 인도를 따라 동인천역3번 출구 쪽으로 걸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인도에는 주로 인천퀴어문화축제 참가자가 있고 차도에는…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부스행사에 참여한 아이즈IZE에서 제작한 자료다."2016 퀴어문화축제 공식 미디어스폰서"라 참가 부스 소개, 퀴어문화축제 참가자의 이야기 등이 실려 있는 팜플릿이다. 표지는 영어 QUEER를 길게…
57호(2012년 7.8월), 9-15쪽에 실렸으며, "세상을 두드리는 사람" 홈페이지(http://www.hrcenter.or.kr/)에서 전문( http://goo.gl/Y9jbt5 )을 확인할 수 있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2017년 6월 3일 서울역광장에서 진행한 "생명 가정 효 2017 세계가정축제"(한국교회동성애대책협의회 주최, 전체 행사는 2017.06.02.~2017.06.04.)의 행사 현장 모습이다. 사람들이 행진을 하고 있는 모습이며 서울역 지하철역 5번 출구 즈음에서…
방콕의 동성애 잡지. 2006년 12월호다.
서울시의 에이즈 현황, 사회복지 등을 다룬 자료집이다.
의 홍보 엽서이다. (홈페이지: www.kqcf.org)
2017 제1회 부산퀴어문화축제(2017.09.23.토, 부산시 해운대 구남로문화광장)의 부스행사에 참가한 정의당의 홍보물이다. "정의당의 서포터즈가 되어주세요! 2017년 9월 정의당 후원회가 시작됩니다"라는 문고가 적혀 있다.
하이텔 동성애자인권운동모임 의 알아가기 게시판에 올려진 글을 갈무리한 것. 글쓴이는 홍민우씨이며 하이텔아이디는 최준철이었다. 한 회원의 질문에 차분하게 상세하게 설명을 하는 답글이다.
한국 트랜스젠더의 의료접근성을 제도적 측면과 의료공급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외국의 현황과 그 동안 진행된 논의를 소개하는 논문으로 [보건사회연구]에 실렸다.
이 책은 영화 등을 통해 인권 이슈를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2장 "왜 이렇게 불편할까? - 성소수자 인권"은 동성애 이슈를 다룬다.
1997년 친구사이와 일본 단체 OCCUR의 세미나 자료다. 친구사이가 1997년 5월과 6월에 OCCUR와 관련한 행사를 진행했기에 이 자료 역시 1997년에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날짜 미상에 일요일 오후 4시에서 7시 사이, 연세대학교 앞 베이직 온 스테이지에서…
2015년 7월 5일 진행한 제7회 대구퀴어문화축제의 부스 운영 계획 및 부스 신청서가 담긴 문서다. 이 문서가 제작될 때만 해도 행사는 6월 27일에 진행할 계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