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글 쓰는 게이"를 홍보하는 명함 크기의 홍보물이다. 한쪽엔 "글 쓰는 게이 @writinggay"라고 적혀 있고 다른 쪽엔 페이스북, 네이버 블로그, 이메일 주소와 함께 "당신이 누구라도, 언제 어디에 있더라도"라고 적혀 있다.
초호화 올스타 미소년 캐스팅의 숨 막히는 멜로를 꿈꾸어왔던 이들이라면 반드시 눈여겨보아야 할 작품. 만화의 사각 프레임 속에 정지한 채 머물러있던 미소년들의 사랑을 끔찍이도 사랑했던 열혈팬들의 필감작. 제트는 시쳇말로 홍콩의 잘 나가는 콜보이. 그는 어느 날 우연히…
2017 제1회 제주퀴어문화축제(2017.10.28. 제주신산공원) 행사 당일의 모습이다. 제주퀴어문화축제가 퍼레이드를 하는 도로 주변으로 반퀴어 집단이 피켓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제주동성애퀴어축제 찬성하는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민주노총은 제주도민들의 뜻과 제주정서를…
제 9회 퀴어문화축제 의 행사장용 배너이다.
공익인권법재단 공감과 성적지향성별정체성(SOGI)법정책연구회가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개최하면서 배포한 취재요청서다. 공익인권법재단 공감과 성적지향성별정체성(SOGI)법정책연구회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용역사업으로 2014년 성소수자 차별실태 조사를 진행했고 이미 완료하였음에도…
혐오표현을 분석하고 있는 책이다.
가족구성권 연구모임 자료집으로 1회 워크샵 "가족 패러다임의 변화와 동성결합의 의미"(2013.07.12), 2회 워크샵 "동성결합의 실천과 의 의미"(2013.09.04)의 발표문과 토론문이 실려있다.
"삶의 다양성을 사랑하고 LGBTQ+ 컬쳐를 지지하는 젊은 아티스트들의 매거진"란 목적으로 만든 매거진 [네온밀크]의 1-3호다. 1권은 총 3종으로 나왔고 1-3호는 Lindsay Ryklief(DJ 명은 Ligrye) 사진작가의 사진이 실려 있다.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의 퍼레이드 날(2014.06.07.), 퍼레이드가 끝나고 진행한 애프터 파티 [하악(惡), 하악(惡)]의 홍보 겸용 티켓이다.
반년지인 1999년 1호에 '페미니즘 사전'이란 코너로 수록된 글. 317p~327p
해외여행자를 위한 AIDS에 대한 지식과 예방법을 적은 안내 리플릿이다.
Camden and Islington NHS Foundation Trust에서 연구하고 집필한 내용을 밑절미 삼아 GMFA에서 제작한 세이프섹스와 HIV/AIDS 관련 자료집이다.
[일본문화연구]에 실린 논문이며, 일본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원체험 중 동성애 체험을 다루고 있다.
동성애 잡지 후원금 마련을 위해 7월 5일 이태원 지퍼와 아웃클래스에서 천리안 , 나우누리 , 하이텔 , 유니텔 등 4대 PC통신 동성애자 동호회가 연합하여 개최한 페스티벌 중 바자회의 모습이다.
여성신문의 김명순 기자가 끼리끼리에 보낸 메모다. 여성신문의 성과와 가능성을 설명하며, 레즈비언 언로가 전무한 상황에서 여성신문이 좋은 통로가 될 거라며, 끼리끼리가 여성신문에 연락을 달라는 내용이다. 이 메모의 작성 시기는 불명이며 1990년대 중반으로 추정된다.…
소개 엽서이다. 2003년 5월2일부터 5월7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진행되었다.
[음성과학]에 실린 논문이며 트랜스젠더와 비트랜스젠더의 모음 음향을 분석하였다. (20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