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퀴어영화 관계자들이 영화제가 열리는 서울 선재아트센터의 출입구 한쪽에 부스를 마련하고 후원인을 모집하고 있다.
미국 뉴욕시에 위치한 곳에서 진행하는 Project Achieve의 홍보물이다. HIV/AIDS(에이즈) 치료 간련 주사형 PrEP를 위한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있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서울시가 퀴어문화축제를 서울광장에서 열도록 허가한 것을 비난하는 내용이다.
[젠더 무법자]를 쓴 트랜스젠더퀴어 작가이자 이론가인 케이트 본스타인의 책이다. 10대 퀴어 청소년이 자살이 아닌 다른 방식의 삶을 모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안을 하는 책이다.
보릿자루 37호로, 2002년 1월에 나왔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보도자료며, 바른성문화를위한국민연합(바성연)의 정기 총회가 4월 4일 광림교회에서 열렸음을 알리고 있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예수재단 임요한 목소가 서울시청 앞에서 동성애를 지지하는 박원순 서울시장에 대한 발언을 하는 중에 공격을 당했다며 이것은 테러고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 최초의 동성애 전문 대중잡지 버디의 창간 기념 고사에서 참석자들이 제를 올리고 있는 장면이다.
2019년 5월 19일 제2회 전주퀴어문화축제(슬로건 "퀴어온고을", 장소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의 모습이다. 퍼레이드를 진행하는 모습이다.
제 9회 퀴어문화축제 의 스탭 명찰이다.
한국 기독 청년 학생 연합회가 기독교에서의 동성애, 기독교와 동성애를 얘기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한 행사 자료집이다. 행사는 2004년 6월 18일(금) 오후 6시-8시30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교육관 LG컨벤션 홀에서 진행했다. 시낭송, 영상인터뷰, 노래, 발제 및 토론…
LGBT/퀴어가 살고 싶은 마을을 그린 것으로, 내 집과 친구집, Pink광장, LGBT Fitness 등이 그려져 있다.
성소수자가 함께 사는 주택 무지개하우스가 텀블벅에서 모금을 하고 있으며, 이를 홍보하기 위해 제작한 인쇄물이다. 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에서 마련한 무지개하우스 부스에서 나눠줬다.
미국의 동성애 잡지. 2003년 12월호다.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낸 자료집이다. 2014년에 낸 여성주의 자기방어훈련 매뉴얼을 개정한 판본이다. 책의 전반부에는 성폭력상담소가 몇 년 전부터 진행한 사업인 길거리괴롭힘 관련 연구 내용이 실려 있다.
제 13회 서울LGBT영화제의 홍보인쇄물이다. 뒷면에 영화제의 개막작인 와 특별전인 장국영 추모 특별전을 소개하고 있다.
펑크광인 17살 테리의 삶은 정서적인 공황상태. 갑작스런 양아버지의 죽음과 어렸을 때 자신을 버렸다고 생각하는 생부에 대한 기억, 권태로운 학교 생활, 마약중독에 피폐해져 가는 친구, 과거의 고통스러운 체험이 만들어낸 섹스와 관계에 대한 공포. 이모든 것들은 그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