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지금 여기서 인권이 자란다!"라고 적혀있다. 일부가 찢어졌다.
뉴스위크 한국판, 아프리카의 심각한 에이즈 피해 상황을 취재한 기사.
CLAGS(Center for Lesbian and Gay Studies/홈페이지: www.clags.org)에서 제작한 IRN(International Resource Network/홈페이지: www.irnweb.org)의 소개 브로셔이다. 표지에는…
리카르드 라게르베리, 엠마 란데케르, 그리고 스웨덴 대외홍보처가 스웨덴을 홍보하기 위해 제작한 자료집이다. 2016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 때 주한스웨덴대사관에서 배포하였다.
특집_ 우리 시대의 소수자 문학에 윤수종의 "성소수자 문학의 동향"이 실려있다.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린 1998 서울 퀴어영화제 개막식 모습이다.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린 1998 서울 퀴어영화제 개막식에서 개막식 축사를 하는 한동협 대변인 박두성이다. 그는 "지금 누가 조금이라도 감동적인 말을 하면 울어버릴 것 같은 기분"이라는 말로 퀴어영화제 개막의 감격을 표현했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에 위치한 송화로2번길에서 송화로의 굴다리 아래, 그리고 송화로와 참외전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반퀴어 혐오 세력이 퀴어문화축제 참가자의 행사를 방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천…
제 10회 퀴어문화축제의 "십년감수"의 1차 홍보용 포스터이다. 축제는 2009년 5월 30일에서 6월 7일까지 진행되었다.
게이 잡지. 2002년 11월호다.
끼리끼리 소식지로 2001년 9-10월에 나왔다.
콘돔으로 에이즈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정우씨의 글과 키스로도 에이즈 감염될 수 있다는 동아일보 기사, 한국일보 기사를 홍민우씨가 옮겨놓은 게시물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Support Love 연세대학교 무지개농성참여단 사랑이닮"이라고 적혀있다.
"마성의 다정촌"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가 주관하는 행사로, 2015년 1~2월에 진행한 퀴어시민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사업이다. 이 사업은 '내 삶의 장면들, 기억드로잉'과 '즉흥연극 워크숍, 꿈꾸는 레인보우 씨어터' 두…
레주파(Lezpa) 10주년 기념 공개방송 행사 때 나눠준 기념엽서다. 총 8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7년 9월 19일 제1회 서울 퀴어영화제 개막일 연세대학교 동문회관에서 제1회 서울 퀴어영화제 집행위원 겸 프로그래머 서동진이 발표를 하고 있다. 상영관인 연세대학교 동문회관은 전원을 차단했고 서대문구 구청에서는 불법행사로 간주한다는 통지서를 보냄으로써 제1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