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성소수자 부모모임이 제작한 6쪽으로 구성된 홍보물이다. 첫 면에 "성소수자 부모모임 성소수자 자녀를 둔 부모, 가족, 그리고 당사자들의 모임 Parents and Families of LGBTAIQ People in Korea"라고 적혀 있고 모임 소개와 활동 등을…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에 위치한 송화로2번길에서 송화로의 굴다리 아래에서(참외전로와 닿아 있는 지점) 반퀴어 혐오 세력이 퀴어문화축제 참가자의 행사를 방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천 동구…
한국 최초의 동성애/성소수자 인권 운동 단체다. 1993년 12월 결성되었으며 단체 이름 초동회는 '초록은 동색이다'를 줄인 것이다. 1994년 1월 25일 초동회 소식지를 발간하기도 했다. 하지만 게이와 레즈비언의 정치적 지향, 의제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계간 60호의 기획특집 '에로티시즘 시선'에 실린 글이다
보릿자루 26호로, 2001년 4월에 나왔다.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강남권역 토론회의 결과 정리 문서다. 총 10개 조가 토론을 했고(문서B-782부터 문서B-791까지) 이것은 5조의 토론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토론은 2014.09.30.에 진행했고 결과파일은 2014.10.14.에 공개되었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부스행사에 참여한 트랜스젠더 인권단체 조각보에서 제작한 자료다. 뇌를 형상한 이미지와 함께 "GENDER IS HERE | NOT THERE"이라고 적혀 있는 스티커다.
1953년의 부룩클린. 남자 이름을 가명으로 사용하면서, 오펠리아란 이름의 매혹적 흑인 여성과 살고 있는 펄프 픽션 작가인, 터크하딩. 그녀는 어느 날 거리를 걷다 자신의 옛 친구 아이작을 발견한다. 길 모퉁이로 사라진 아이작을 쫓아가던 터크는 불현듯 이상한 기분을…
학생인권조례 성소수자 공동행동에서 성소수자가 차별받지 않는 학생인권조례 제정 촉구를 위해 마련한 프로젝트 엽서이다.
2019년 5월 19일 제2회 전주퀴어문화축제(슬로건 "퀴어온고을", 장소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의 모습이다. 노송광장에 모여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며 페미당 당원 모집 깃발이 보인다.
2005년 대한에이즈예방협회 워크숍 자료집이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이쪽사람들에서 제작한 홍보 엽서다. 2015년에 진행한 'It's OK 괜찮아' 프로젝트에 참가한 작품을 엽서 형식으로 만든 것으로 총 6종이 한 세트다.
소개 엽서이다. 2003년 5월2일부터 5월7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진행되었다.
2019년 5월 31일 제20회 서울퀴어문화축제 핑크닷 행사 모습이다. 핑크닷 메인 무대에서 11개 대사관의 사람들이 나와 대사관 연대발언을 하는 모습이다. 주한멕시코대사관 문화담당관인 라올 멘도사가 발언하고 있다.
미국에서 경찰이 LGBT 등을 괴롭히는 등 경찰폭력 문제를 환기시키고 제보를 요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총 6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화전문월간지 KINO 1996년 11월호에 실린 퀴어시네마 논쟁 관련 기사로 영화 레드 소냐를 소재로 레즈비언 캠프에 대해 다루고 있다.
2017년 6월 3일 서울역광장에서 진행한 "생명 가정 효 2017 세계가정축제"(한국교회동성애대책협의회 주최, 전체 행사는 2017.06.02.~2017.06.04.)의 행사 현장 모습이다. 사람들이 행진을 하고 있는 모습이며 "LIFE FAMILY HONN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