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커밍아웃한 정치인인 오츠지 카나코씨의 자서전.
제2회 서울퀴어영화제 기간 중 2000. 9. 4. 웨인 융(왼쪽) 감독이 관객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지고 있는 모습이다.
2012년에 열린 제 13회 퀴어문화축제의 촬영허가ID카드이다. 뒷면에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가이드라인이 기재되어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성소수자 인권을 보장하라! 모두의 인권을 보장하라!"라고 적혀있다.
한국 최초의 동성애 전문 대중잡지 버디의 창간 기념 고사에서 천리안 풍물패가 앞풀이 공연을 하고 있다.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기초교육 자료집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ODMCC에서 배포한 홍보물이다. 성경구절을 설명하고 있다.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박원순 시장이 12월 10일 세계인권선언의 날에도 결국 헌장을 발표하지 않자 이에 대한 입장 및 향후 계획을 발표하겠다며 취재를 요청하는 문서다.
가족구성권 연구모임(다양한 가족형태에 따른 차별 해소와 가족구성권 보장을 위한 연구모임)이 민주노동당 여성정치발전비를 후원 받아 제작한 자료집이다. 인터뷰 분석, 기본 논의와 제도 분석, 해외사례 등을 담고 있다.
"백합꽃이 피었습니다"란 부제를 통해 여성간 관계에 집중했다.
2012년 11월 10일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린, 제 7회 게이코러스 지_보이스 정기공연 홍보 엽서이다.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에서 주최하고, 게이코러스 지_보이스에서 주관하였으며, 언니네트워크와 이반시티의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대만 국제퀴어영화제(台灣國際酷兒影展) 기간에 나눠준 다양한 형태의 가족 구성권에 관한 엽서다. 뒷면에 택애성가(擇愛成家)라고 적혀있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연세대학교 총여학생회 구성원이 2011년 선거에서 낙선한 후 퀘스쳐닝이란 모임을 만들었다. 바로 그 퀘스쳐닝에서 제작한 잡지다. "공간"이란 특집으로 여러 편의 글이 실려있다.
2007년 4월 20일, '성전환자의 성별변경 등에 관한 특별법'이 발의되었지만 계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이어서 법안 상정 및 제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다.
"본 연구는 사랑의 종교라는 기독교가 타인을 사랑했다는 이유로 동성애자들 을 박해해온 현실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출발하여 기독교가 동성애에 대하여 어 떤 입장을 취해야할 것인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일본 도쿄 신주쿠 2번가의 업소들을 소개하는 전단지이다. 약도와 위치표시 및 업소 소개와 홈페이지 주소, 전화번호 등이 기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