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박원순시장! 친구사이 인터뷰 기억하나?"라고 적혀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시장님, 나와서 얘기 좀 합시다"라고 적혀있다.
2019년 5월 19일 제2회 전주퀴어문화축제(슬로건 "퀴어온고을", 장소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의 모습이다. 퍼레이드를 하고 있는 모습이며 비온뒤무지개재단, 부산퀴어문화축제 등의 깃발이 보인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 편의점 세븐일레븐 동인천다인점 앞 송화로2번길에서 송화로로 이어지는 곳까지 반퀴어 혐오 세력이 인천퀴어문화축제 참가자를 막아서서 행사를 방해하는 상황이다. 송화로2번길과…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가한 도쿄 노헤이트 Tokyo No H8에서 배포한 스티커다. 원형 스티커로 상단엔 "NO HATE", 중간엔 "함께해요 무지개로" 하단엔 "YOU ARE NOT ALONE."이라고 적혀 있다.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시민발언 녹음본의 녹취 문서다. 헌장에서 정체성 관련 조항을 삭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http://tv.seoul.go.kr/ls/index.asp?no=95798 에서 직접 들을 수 있다.
버디(BUDDY) 운영비 마련을 위해 제작한 열쇠고리이다.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KSCRC)가 아름다운재단의 기금을 받아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트랜스젠더 삶의 조각보 만들기에서 제작한 홍보 스티커다.
반년간 학술지 [안과밖]에 실린, 퀴어 이론가 게일 루빈을 소개한 논문이다.
파란색과 빨간색이 하나씩 있는 안경을 쓴 사람이 혀를 내밀고 있고, 혀에 "Take off your glass!"라고 적혀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박원순 사과해"라고 적혀있다.
2003년 10월13일부터 10월18일까지 그린포토갤러리에서 진행된 이혁발의 셀프사진퍼포먼스 : "섹시미미"의 리플릿이다. (이 셀프사진퍼포먼스는 내 몸과의 대화, 내밀한 내면과의 대화에 좋은 장이었다. -작가노트 중의 일부)
[한국언론학보]에 게재된 논문이며 십대 여성의 팬픽 문화와 정체성 구성을 다루고 있다.
여성성과 남성성이 생물학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탐문하는 책이다.
2011년 한국에서 개봉한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영화 의 홍보 전단지이다.
트랜스젠더인권활동단체 지렁이(성전환자인권연대 지렁이)의 초동모임인 성전환자인권연대 지렁이 5차 회의 자료다.
"본 연구는 ‘게이 남성의 가시성’이라는 게이 커뮤니티의 특징을 확인하고, 이것이 ‘익숙해짐을 통한 물들임’ 이라는 공간적 효과로 나타남을 밝히는 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