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로마 가톨릭의 세계주교대의원회의(시노드)에서 동성애 포용을 언급했음을 지적하며 이것은 종교의 이름으로 교인을 타락시키는 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2019년 5월 19일 제2회 전주퀴어문화축제(슬로건 "퀴어온고을", 장소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의 모습이다. 퍼레이드를 진행하는 모습이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시드니 게이바 '시저스'에서 있었던 '엉덩이 까기 쇼'의 한 장면이다.
마음006에서 주최한 '문학의밤' 행사의 자료집. 이주란씨는 왜 동성애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해 썼고, 소설가 송경아씨는 '여성의 동성애: 그 아름다움과 힘'을, 마음006 회원 두 사람은 기형도와 최승자 시인의 시를 동성애자의 입장에서 분석하는 글을 썼다.
하하호호'에서 공연자들이 드랙 쇼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부스행사에 참여한 '416 기억과 행동 청소년 실천단(움직이는 청소년센터 EXIT & 청소년 자립팸 이상한나라)'에서 배포한 자료다. 세월호 노란 리본이다.
이 책은 인터뷰와 기록물을 이용하여, 트랜스젠더 및 의사들의 관점에서 두 집단의 경험을 조사한다. 그리하여 어떻게 트랜스젠더 정체성이 출현하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2011년 12월 10일 세계인권선언일에 맞추어, 차별 없는 서울학생인권조례 제정을 촉구하며 서울 대한문 앞에서 실행된 국제공동행동 현수막이다. 성소수자 차별 반대 혐오 조장 중단! 2011.12.10 Occupy-Seoul 국제공동행동 학생인권조례 성소수자…
http://www.ho-tam.com/
ftm/트랜스남성과 그 가족을 다룬 영화 [어바웃 레이]를 홍보하기 위해 만든 홍보물이다. 세 장의 엽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레이, 어머니, 할머니의 모습을 담고 있다.
퀴어문화축제 "마성의 다정촌" 오픈테이블 행사 현수막이다.
2000년 9월8,9일 연세대에서 개최된 퀴어문화축제-무지개2000 행사를 마치고 참석자들이 연세대 정문까지 촛불행진을 하는 모습이다.
2011년 6월 개봉한 이혁상 감독의 다큐멘터리 티저 홍보물이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헌법재판소가 군형법 제92조의6에 대해 합헌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 "동성애는 개인적 성적취향일지는 몰라고 국가가 나서서 보호"할 대상이 아니기에 당연한 결정이라고 논하고 있다.
영화로 처음 제작되고 이후 뮤지컬로 제작된 [프리실라]를 분석한 논문이다. [현대영미드라마]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