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초등학생 mtf와 ftm 트랜스젠더가 주인공인 이 만화는 둘의 성장과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성별이분법에 저항하는 사람들의 모임 여행자가 2017년에 제작한 홍보물이다. 트랜스젠더퀴어를 위한 여행자의 활동 및 활동 연혁이 적혀 있고 여행을 떠날 수단인 비행기, 배, 자동차의 종이모형이 그려져 있어 이 팜플릿으로 종이모형을 세 가지 만들 수 있다.…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교육 및 에이즈 예방 교육을 하는 강사를 위한 자료집이다.
2015 제16회 퀴어문화축제의 퍼레이드 행사를 위해 축제 조직위원회는 남대문경찰서에 집회 신고를 하려 했다. 하지만 반LGBT/퀴어 집단 혹은 보수 기독교 세력은 이를 방해하기 위해 신청일 전부터 줄을 서기 시작했다. 이에 2015.05.21.부터 반LGBT/퀴어…
청소년 성소수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생활과 생각을 들어본다.
트랜스젠더/성전환자 성별변경 관련 법 제정을 위한 법제팀 2차 회의 자료다. 수정했거나 추가한 내용을 적은 안건지와 1차 회의 이후 수정한 법초안이 있다.
2015 제16회 퀴어문화축제 때 사용한 현수막 중 하나다. "KQCF KOREA QUEER FESTIVAL 2015 / 2015.6.9-21, Seoul"이라고 적혀있다.
스리랑카 출신으로 캐나다에서 창작활동을 하고 있는 시암 셀바두라이(Shyam Selvadurai)를 분석한 논문이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충청남도의회에서 재의안에 붙여진 충남인권조례폐지안을 결국 통과시킨 것과 관련하여 연합뉴스가 자유한국당 등 야당도의원이 표심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했다고 분석하자 이를 비난하고 있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퀴어인문잡지 삐라에서 배포한 리플렛이다. [삐라]에 실린 원고의 구절을 뽑아서 작성했으며 'Let's Make a Revolution for Fun!'이라는 구절이 적혀 있다.
2004 여름동성애자인권캠프 공동준비단'이 준비하고 진행한 2004년 여름동성애자인권캠프 자료집이다. 2004년 8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강원도 간현에서 진행했다(출처: http://bit.ly/8LicYH ). 성소수자의 권리, 인권감수성 프로그램,…
[한국언론학보]에 게재된 논문이며 십대 여성의 팬픽 문화와 정체성 구성을 다루고 있다.
X-KAPE 쇼의 두 번째 순서였던 흑인 드랙쇼의 한 장면. 드랙퀸이 매혹적인 차림으로 걸어나오고 있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비온뒤무지개재단과 법무부 사이의 소송에서 대법원이 비온뒤무지개재단의 손을 들어주는 판결이 "어이없는 사건"이라고 논평하는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