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일본비평]에 실린 일본 LGBT 문학을 살펴본 논문이다.
최근 30년 동안 중국에서 동성애라는 이슈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를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호모섹슈얼리티에 대한 관점과 생활양식의 변화를 겪어온 LGBT 단체의 유력인사 30인의 인터뷰가 수록되어 있다.
차별금지법의 올바른 제정을 위한 반차별 공동행동(준)'이 기획한 법안 공청회 자료집이다. 공청회는 2008년 1월 4일 금요일 오후 2시부터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2(11층)에서 진행했다. 사회는 한채윤, 발제는 권문영, 장서연, 토론은 김태욱, 배융호, 염형국이다.…
가족과 친구의 인터뷰를 통해 퀴어 혐오로 살해된 이들의 삶을 엮은 책
의 편집위원을 지낸 바 있는 국제적 명성의 영국출신 영화평론가 토니 레인즈의 모습이다.
대만의 인터섹스 활동가 하이커가 트랜스젠더 인권단체 조각보에 준 인터섹스 관련 스티커다. "FREE HUGs with INTERSEX 擁抱陰陽人 Show your love to Intersex people by free hugs"라고 적혀 있다.
김훈수 사무국장과의 인터뷰 장면이다. 그는 인터뷰에서 "순수하게 에이즈 예방운동을 위해서라면" 동성애자 인권 단체와 연대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즈에에 실린 팍스법을 둘러싼 프랑스내부의 갈등에 대한 기사. 기록물에는 ABC 뉴스에 난 '이성커플이 동성애자 위한 프랑스 민간결합법을 이용'한다는 내용의 기사가 함께 출력되어 있다. 뉴욕타임즈 본문과는 상관없어 보이며 출력자가 함께 편집해 출력한 듯 하다.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2014년 12월 6일부터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및 무지개농성단이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하고 농성을 진행하자 서울시에서 발송한 퇴거 및 대자보와 피켓 등 철거 요청서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정의당 성소수자위원회"라고 적힌 깃발이다.
등장 인물 중 게이가 나온다
이태원 "지퍼"에서 열렸던 (천리안 동성애자 동호회)정기모임 공연 사진이다. 빨간 드레스를 입은 참가자가 드랙쇼를 선보이고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WE ARE QUEER. WE ARE HERE. GET USED TO IT!"이라고 적혀있다.
또하나의사랑 소식지로 1996년 4월 13일에 나왔다.
정의당이 201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발표한 정책공약집 중 분야별공약집이다. 성소수자 지원과 관련하여 차별금지법, 동반자등록법, 혐오범죄 가중처벌, 표준이력서 도입, 감염인 인권, 트랜스젠더/성전환자 성별변경 관련 항목, 군대 내 성소수자 차별 금지 등을…
동성애자 군인들이 군대 내의 기강을 흐트려놓는다는 국방성의 주장과 국방성에 의해 수행되었지만 상반된 견해를 내놓은 기밀 보고서들을 다룬다. 군내 동성애 문제에 대한 해묵은 공방에 시사점을 주는 책.
성소수자 현수막 인권캠페인에 대한 마포구청의 수정 요청에 대응하는 마포레인보우주민연대 항의서와 성명서, 연대 단체 성명서, 항의서, 질의서, 언론보도 자료 등을 다룬 문서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 전시된 모습이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역 새동인천지하쇼핑센터입구 앞에서 깃발을 들고 모여 있는 인천퀴어문화축제 참가자를 반퀴어 혐오 세력이 둘러싸고는 갇힌 사람이 밖으로 나가지도, 늦게 온 사람이 안으로 들어가지도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