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찾아보기

찾아보기

검색결과 : 732건 검색

제목| 영상으로 재현된 다양성과 톨레랑스의 문화(1): 동성애를 중심으로

설명|[인문학논총人文學論叢]에 실린 글이며 톨레랑스라는 개념으로 동성애, 범성애, 무성주의 등을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2082

저자|최태규

발행년도|2005

출판사/발행처|한국인문과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인문학논총人文學論叢]에 실린 글이며 톨레랑스라는 개념으로 동성애, 범성애, 무성주의 등을 다루고 있다.
  • [인문학논총人文學論叢]에 실린 글이며 톨레랑스라는 개념으로 동성애, 범성애, 무성주의 등을 다루고 있다.

제목|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타난 동성애의 역(易)학적 연구

설명|[프랑스문화연구]에 게재된 논문이며 마르셀 프루스트의 작품을 분석하고 있다.

식별번호|DB-0002079

저자|최정득

발행년도|2006

출판사/발행처|한국프랑스문화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차이'와 번역연구: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타난 동성애 번역양상을 중심으로

설명|[동서문화]에 실린 논문이며 토마스 만의 소설 [베니스에서의 죽음]이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동성애가 번역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식별번호|DB-0002077

저자|최윤영

발행년도|2003

출판사/발행처|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차이'와 번역연구: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타난 동성애 번역양상을 중심으로

제목| 동성애 차별금지 법안, 반대를 지지한다(2007.03.09.)

설명|한국교회언론회에서 발표한 논평이며, 차별금지법안을 동성애 차별금지법으로 부르면서 입법 추진을 반대하는 내용이다.

식별번호|DB-0001905

저자|한국교회언론회

발행년도|2007

출판사/발행처|한국교회언론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반퀴어-혐오 세력

  • 동성애 차별금지 법안, 반대를 지지한다(2007.03.09.)
  •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발표한 논평이며, 차별금지법안을 동성애 차별금지법으로 부르면서 입법 추진을 반대하는 내용이다.
  •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발표한 논평이며, 차별금지법안을 동성애 차별금지법으로 부르면서 입법 추진을 반대하는 내용이다.

제목| 미시마 유키오의 『금색(禁色)』 론: 동성애와 페티시

설명|[일본근대문학 - 연구와 비평]에 실린 글이며 일본 작가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금색]을 분석한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1858

저자|신성철

발행년도|2002

출판사/발행처|한국일본근대문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한국 개신교 우파의 젠더화된(Gendered) 동성애 반대 운동

설명|격월간지 [말과 활]에 실린 글이다. (2015.2-3)

식별번호|DB-0001037

저자|김나미

발행년도|2015년 2-3월

출판사/발행처|일곱번째숲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 한국 개신교 우파의 젠더화된(Gendered) 동성애 반대 운동

제목| 여성 기혼이반의 삶에 나타나는 동성애 친밀성과 가족규범의 긴장

설명|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 기혼이반 현상을 분석한 연구다. 기혼이반이란 이성애 결혼 상태에 있는 사람이 동성애적 실천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동성 간의 법적 결합을 인정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법과 제도로 보장된 기혼자 특권은 이성애 결혼을 통해서만 획득된다. 따라서 기혼이반은 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동성애적 친밀성을 추구하는 사람들로 결혼제도의…

식별번호|TH-0000108

저자|정의솔

발행년도|201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미상(정의솔)

주제|가족구성권

  • 여성 기혼이반의 삶에 나타나는 동성애 친밀성과 가족규범의 긴장
  • 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 기혼이반 현상을 분석한 연구다. 기혼이반이란 이성애 결혼 상태에 있는 사람이 동성애적 실천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동성 간의 법적 결합을 인정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법과 제도로 보장된 기혼자 특권은 이성애 결혼을 통해서만 획득된다. 따라서 기혼이반은 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동성애적 친밀성을 추구하는 사람들로 결혼제도의 정상성과 비이성애자의 불안정성을 병행하여 경험한다.본 논문의 목적은 기혼여성이 레즈비언 실천을 하면서 가족관계와 생애를 변형시키고, 확장적 친밀성을 경험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 기혼이반이 규범을 통해 삶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규범의 권위를 탈각하고 있음을 강조한다.본 연구를 위해 2012년 7월부터 2013년 4월까지 8명의 기혼이반 연구참여자와 1명의 보조사례를 심층면접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스스로를 기혼이반으로 명명하는 사람들이고, 연구참여자에는 결혼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과 기혼이반 이행 후 이혼하여 현재 비혼 상태인 사람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본 논문을 통해 밝힌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이반으로의 이행은 비이성애 섹슈얼리티 인지, 가족관계 변형, 레즈비언 자각, 이성애자 특권의 소실과 보완의 과정을 포함한다. 여성 기혼이반들은 각기 다른 사건이나 계기를 통해 레즈비언 정체성을 인식하게 된다. ‘당연한 이성애자’로 살아온 여성들은 레즈비언 정체성을 고민하게 되고, 이들은 부부 관계를 청산할 것인가, 유지할 것인가의 기로에 서기도 한다. 삶에 동성 친밀 관계가 중요해지면서 레즈비언 장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이성애자 기혼여성의 특권에서 멀어지게 된다. 애인과의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고 안정적인 직업으로 직종을 변경하는 등,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특권의 상실을 보완하는 방식을 개발하고 있다.둘째, 기혼이반은 친밀 관계에 기반해 정체성을 자기규정하고, 복합적인 관계를 경험한다. 기혼이반 이행은 익숙하게 살아온 이성애자 여성의 생애에 레즈비언 실천을 기입하는 것이다. 이성애자 지위와 동성애자 지위를 중첩하여 발전시키는 이들의 새로운 정체성은, 기존의 레즈비언이나 동성애자로 포섭할 수 없는 유동적 섹슈얼리티를 내포한다. 선례나 참조집단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들의 자기규정은 구체적인 친밀성의 경험을 자원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친구, 애인, 부부, 파트너, 가족의 여러 차원의 친밀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음을 서사화하고, 이들의 친밀성은 여성 동성 친밀성 스펙트럼의 여러 지점을 차용하는 특성을 가진다.셋째, 기혼이반은 이성애주의적 가족 규범을 문화적 수단으로 이용한다. 기혼이반은 정상가족을 유지하는 이성애자 기혼여성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는 가족과 혼외관계 모두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략이 된다. 가족 규범을 활용하는 전략은 이 여성을 가족중심성으로 포섭할 근거가 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가족이 이 여성들의 수행으로 인해 유지된다는 것을 드러내기도 한다.본 논문은 이성애주의가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포착되지 않는 기혼이반의 경험을 분석한다. 이성애 가족과 친밀 관계에 대한 상상을 상대화하는 기혼이반 현상은 변화하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결혼의 의미를 반영한다. 따라서 기혼이반 경험연구는 여성의 성적 유동성과 친밀성 확장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기 위한 자료가 된다. 기존의 가족 담론은 친밀성이 부재한 부부관계와 가족의 위기를 문제화하고, 이성애 친밀성을 강화하거나 제도적 안정성을 기하여 결혼제도의 정상성을 견고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성애적 ‘정상가족’의 전형과 다르고, 기혼여성 섹슈얼리티에 관한 담론은 이러한 현실에 발맞추어 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 조명하는 기혼이반의 경험적 현실은, 성취되지 않는 부부 친밀성을 동성애 친밀성으로 보완하거나 이성애주의를 역이용하여 제도의 틈새를 만듦으로써 결혼의 위기를 해소하고 있다. 즉, 여성 기혼이반들의 레즈비언 실천이 확장적 섹슈얼리티를 경험하면서 변화하는 가족 상황에 탄력적으로 삶을 재구성하는 행위자성을 발견할 수 있는 지점이라는 것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 기혼이반 현상을 분석한 연구다. 기혼이반이란 이성애 결혼 상태에 있는 사람이 동성애적 실천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동성 간의 법적 결합을 인정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법과 제도로 보장된 기혼자 특권은 이성애 결혼을 통해서만 획득된다. 따라서 기혼이반은 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동성애적 친밀성을 추구하는 사람들로 결혼제도의 정상성과 비이성애자의 불안정성을 병행하여 경험한다.본 논문의 목적은 기혼여성이 레즈비언 실천을 하면서 가족관계와 생애를 변형시키고, 확장적 친밀성을 경험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 기혼이반이 규범을 통해 삶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규범의 권위를 탈각하고 있음을 강조한다.본 연구를 위해 2012년 7월부터 2013년 4월까지 8명의 기혼이반 연구참여자와 1명의 보조사례를 심층면접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스스로를 기혼이반으로 명명하는 사람들이고, 연구참여자에는 결혼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과 기혼이반 이행 후 이혼하여 현재 비혼 상태인 사람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본 논문을 통해 밝힌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이반으로의 이행은 비이성애 섹슈얼리티 인지, 가족관계 변형, 레즈비언 자각, 이성애자 특권의 소실과 보완의 과정을 포함한다. 여성 기혼이반들은 각기 다른 사건이나 계기를 통해 레즈비언 정체성을 인식하게 된다. ‘당연한 이성애자’로 살아온 여성들은 레즈비언 정체성을 고민하게 되고, 이들은 부부 관계를 청산할 것인가, 유지할 것인가의 기로에 서기도 한다. 삶에 동성 친밀 관계가 중요해지면서 레즈비언 장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이성애자 기혼여성의 특권에서 멀어지게 된다. 애인과의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고 안정적인 직업으로 직종을 변경하는 등,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특권의 상실을 보완하는 방식을 개발하고 있다.둘째, 기혼이반은 친밀 관계에 기반해 정체성을 자기규정하고, 복합적인 관계를 경험한다. 기혼이반 이행은 익숙하게 살아온 이성애자 여성의 생애에 레즈비언 실천을 기입하는 것이다. 이성애자 지위와 동성애자 지위를 중첩하여 발전시키는 이들의 새로운 정체성은, 기존의 레즈비언이나 동성애자로 포섭할 수 없는 유동적 섹슈얼리티를 내포한다. 선례나 참조집단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들의 자기규정은 구체적인 친밀성의 경험을 자원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친구, 애인, 부부, 파트너, 가족의 여러 차원의 친밀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음을 서사화하고, 이들의 친밀성은 여성 동성 친밀성 스펙트럼의 여러 지점을 차용하는 특성을 가진다.셋째, 기혼이반은 이성애주의적 가족 규범을 문화적 수단으로 이용한다. 기혼이반은 정상가족을 유지하는 이성애자 기혼여성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는 가족과 혼외관계 모두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략이 된다. 가족 규범을 활용하는 전략은 이 여성을 가족중심성으로 포섭할 근거가 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가족이 이 여성들의 수행으로 인해 유지된다는 것을 드러내기도 한다.본 논문은 이성애주의가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포착되지 않는 기혼이반의 경험을 분석한다. 이성애 가족과 친밀 관계에 대한 상상을 상대화하는 기혼이반 현상은 변화하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결혼의 의미를 반영한다. 따라서 기혼이반 경험연구는 여성의 성적 유동성과 친밀성 확장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기 위한 자료가 된다. 기존의 가족 담론은 친밀성이 부재한 부부관계와 가족의 위기를 문제화하고, 이성애 친밀성을 강화하거나 제도적 안정성을 기하여 결혼제도의 정상성을 견고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성애적 ‘정상가족’의 전형과 다르고, 기혼여성 섹슈얼리티에 관한 담론은 이러한 현실에 발맞추어 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 조명하는 기혼이반의 경험적 현실은, 성취되지 않는 부부 친밀성을 동성애 친밀성으로 보완하거나 이성애주의를 역이용하여 제도의 틈새를 만듦으로써 결혼의 위기를 해소하고 있다. 즉, 여성 기혼이반들의 레즈비언 실천이 확장적 섹슈얼리티를 경험하면서 변화하는 가족 상황에 탄력적으로 삶을 재구성하는 행위자성을 발견할 수 있는 지점이라는 것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제목| KBS열린토론 제작진행표: 동성애, 청소년 유해성 논쟁 어떻게 볼 것인가?

설명|2004년 청소년보호법 시행령 중 동성애 조항 삭제를 둘러싼 논쟁을 다루고자 기획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제작 진행표와 출연자에게 먼저 보여주는 사전 질문지.

식별번호|DB-0000196

저자|김남광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KBS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주제|청소년

  • KBS열린토론 제작진행표: 동성애, 청소년 유해성 논쟁 어떻게 볼 것인가?
  • 2004년 청소년보호법 시행령 중 동성애 조항 삭제를 둘러싼 논쟁을 다루고자 기획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제작 진행표와 출연자에게 먼저 보여주는 사전 질문지.
  • 2004년 청소년보호법 시행령 중 동성애 조항 삭제를 둘러싼 논쟁을 다루고자 기획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제작 진행표와 출연자에게 먼저 보여주는 사전 질문지.

제목| 덮으려는 자 펼치려는 자 - 동성애, homo+sexuality 그것을 덮고 있는 장막에 대한 이야기

설명|퀴어 혐오 집단에서 강사 등으로 활동하는 김지연 씨가 쓴 책이다. 김준명, 민성길, 백진희, 이미조, 이윤정, 임수현이 감수를 했다.

식별번호|BO-0000962

발행년도|2019

출판사/발행처|사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덮으려는 자 펼치려는 자 - 동성애, homo+sexuality 그것을 덮고 있는 장막에 대한 이야기

제목|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설명|[청소년 문화포럼]에 실린 논문이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식별번호|DB-0002192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B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현대 소설에 나타난 '동성애' 고찰: 천운영과 배수아 소설을 중심으로

설명|[현대소설연구]에 게재된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1447

저자|정은경

발행년도|2008

출판사/발행처|한국현대소설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현대 소설에 나타난 '동성애' 고찰: 천운영과 배수아 소설을 중심으로

제목| 한국 개신교의 동성애 논쟁과 사회적 실천: 감정의 동학과 의례를 중심으로

설명|[한국사회학]에 실린 글이며 기독교와 동성애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1746

저자|정원희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한국사회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 개신교의 동성애 논쟁과 사회적 실천: 감정의 동학과 의례를 중심으로

제목|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1]

설명|1998년 2월 20일 동성애전문지 '버디' 창간 소식이 전해지면서 각 PC통신에서 동성애 논쟁이 벌어졌었음. 당시 하이텔에서 벌어진 논쟁글을 갈무리한 것. B-69, 70도 이와 비슷한 것.

식별번호|DB-0000071

저자|또러브 외 다수

발행년도|1998

출판사/발행처|PC통신 하이텔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한채윤)

  •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1]
  • 1998년 2월 20일 동성애전문지 '버디' 창간 소식이 전해지면서 각 PC통신에서 동성애 논쟁이 벌어졌었음. 당시 하이텔에서 벌어진 논쟁글을 갈무리한 것. B-69, 70도 이와 비슷한 것.
  • 1998년 2월 20일 동성애전문지 '버디' 창간 소식이 전해지면서 각 PC통신에서 동성애 논쟁이 벌어졌었음. 당시 하이텔에서 벌어진 논쟁글을 갈무리한 것. B-69, 70도 이와 비슷한 것.

제목|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2]

설명|PC통신에서 벌어진 동성애논쟁 중 동성애를 비난하고 인권지지를 반대하는 글을 갈무리. B-71과 관련있음.

식별번호|DB-0000069

저자|김종협 외 다수

발행년도|1998

출판사/발행처|PC통신 하이텔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한채윤)

  •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2]

제목| 나치독일의 남성성 담론과 동성애 : 남성동맹과 에른스트 룀을 중심으로

식별번호|TH-0000037

저자|조일구

발행년도|200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 나치독일의 남성성 담론과 동성애 : 남성동맹과 에른스트 룀을 중심으로

제목| 곡기작품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동성애소설

설명|[일어문학]에 실린 일어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1865

저자|오병우

발행년도|2002

출판사/발행처|일어문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한국 군대 남성성의 형성과 동성애혐오의 재/생산

설명|"본 논문은 한국 군대 남성성의 형성과 동성애혐오가 재/생산되는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식별번호|TH-0000210

발행년도|2019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기증(정성조)

제목| 동성애혼인에 대한 법적 개입의 딜레마와 가족이데올로기 해체

설명|동성결혼과 법적 개입에 관한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1403

저자|이소영

발행년도|2007

출판사/발행처|한국법철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가족구성권

서동진 - 동성애와 동성애자 인권운동 1995.06.26. [전해성 컬렉션]

제목| 서동진 - 동성애와 동성애자 인권운동 1995.06.26. [전해성 컬렉션]

설명|1995년 8월 16일에 PC통신 토론방에 QUEER21(서동진)이 게시한 글이다. 서동진이 "제1회 한국동성애자 여름 인권학교"에서 강의한 강의원고며, 서구와의 차이를 반영시키기 위해 노력했다고 쓰고 있다. 끼리끼리 전해성의 기증 자료다. [전해성 컬렉션에 포함된 기록물에는 모두 실명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이 온라인 상으로 유포되는 것을…

식별번호|DB-0002466

발행년도|1995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B

입수경로|기증(전해성)

제목| [문서-245]동성애자인궝운동....2 : "동성애에 대한 연구"에 대한 연구

식별번호|DX-0000245

저자|임희준

출판사/발행처|이정우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검색결과 : 732건 출력

영상으로 재현된 다양성과 톨레랑스의 문화(1): 동성애를 중심으로

[인문학논총人文學論叢]에 실린 글이며 톨레랑스라는 개념으로 동성애, 범성애, 무성주의 등을 다루고 있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타난 동성애의 역(易)학적 연구

[프랑스문화연구]에 게재된 논문이며 마르셀 프루스트의 작품을 분석하고 있다.

차이'와 번역연구: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타난 동성애 번역양상을 중심으로

[동서문화]에 실린 논문이며 토마스 만의 소설 [베니스에서의 죽음]이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동성애가 번역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동성애 차별금지 법안, 반대를 지지한다(2007.03.09.)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발표한 논평이며, 차별금지법안을 동성애 차별금지법으로 부르면서 입법 추진을 반대하는 내용이다.

미시마 유키오의 『금색(禁色)』 론: 동성애와 페티시

[일본근대문학 - 연구와 비평]에 실린 글이며 일본 작가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금색]을 분석한 논문이다.

한국 개신교 우파의 젠더화된(Gendered) 동성애 반대 운동

격월간지 [말과 활]에 실린 글이다. (2015.2-3)

여성 기혼이반의 삶에 나타나는 동성애 친밀성과 가족규범의 긴장

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 기혼이반 현상을 분석한 연구다. 기혼이반이란 이성애 결혼 상태에 있는 사람이 동성애적 실천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동성 간의 법적 결합을 인정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법과 제도로 보장된 기혼자 특권은 이성애…

KBS열린토론 제작진행표: 동성애, 청소년 유해성 논쟁 어떻게 볼 것인가?

2004년 청소년보호법 시행령 중 동성애 조항 삭제를 둘러싼 논쟁을 다루고자 기획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제작 진행표와 출연자에게 먼저 보여주는 사전 질문지.

덮으려는 자 펼치려는 자 - 동성애, homo+sexuality 그것을 덮고 있는 장막에 대한 이야기

퀴어 혐오 집단에서 강사 등으로 활동하는 김지연 씨가 쓴 책이다. 김준명, 민성길, 백진희, 이미조, 이윤정, 임수현이 감수를 했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문화포럼]에 실린 논문이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현대 소설에 나타난 '동성애' 고찰: 천운영과 배수아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에 게재된 논문이다.

한국 개신교의 동성애 논쟁과 사회적 실천: 감정의 동학과 의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에 실린 글이며 기독교와 동성애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1]

1998년 2월 20일 동성애전문지 '버디' 창간 소식이 전해지면서 각 PC통신에서 동성애 논쟁이 벌어졌었음. 당시 하이텔에서 벌어진 논쟁글을 갈무리한 것. B-69, 70도 이와 비슷한 것.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2]

PC통신에서 벌어진 동성애논쟁 중 동성애를 비난하고 인권지지를 반대하는 글을 갈무리. B-71과 관련있음.

나치독일의 남성성 담론과 동성애 : 남성동맹과 에른스트 룀을 중심으로

곡기작품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동성애소설

[일어문학]에 실린 일어 논문이다.

한국 군대 남성성의 형성과 동성애혐오의 재/생산

"본 논문은 한국 군대 남성성의 형성과 동성애혐오가 재/생산되는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동성애혼인에 대한 법적 개입의 딜레마와 가족이데올로기 해체

동성결혼과 법적 개입에 관한 논문이다.
서동진 - 동성애와 동성애자 인권운동 1995.06.26. [전해성 컬렉션]

서동진 - 동성애와 동성애자 인권운동 1995.06.26. [전해성 컬렉션]

1995년 8월 16일에 PC통신 토론방에 QUEER21(서동진)이 게시한 글이다. 서동진이 "제1회 한국동성애자 여름 인권학교"에서 강의한 강의원고며, 서구와의 차이를 반영시키기 위해 노력했다고 쓰고 있다. 끼리끼리 전해성의 기증…

[문서-245]동성애자인궝운동....2 : "동성애에 대한 연구"에 대한 연구

검색결과 : 732건 출력

DB-0002082

영상으로 재현된 다양성과 톨레랑스의 문화(1): 동성애를 중심으로

DB-0002079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타난 동성애의 역(易)학적 연구

DB-0002077

차이'와 번역연구: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타난 동성애 번역양상을 중심으로

DB-0001905

동성애 차별금지 법안, 반대를 지지한다(2007.03.09.)

DB-0001858

미시마 유키오의 『금색(禁色)』 론: 동성애와 페티시

DB-0001037

한국 개신교 우파의 젠더화된(Gendered) 동성애 반대 운동

TH-0000108

여성 기혼이반의 삶에 나타나는 동성애 친밀성과 가족규범의 긴장

DB-0000196

KBS열린토론 제작진행표: 동성애, 청소년 유해성 논쟁 어떻게 볼 것인가?

BO-0000962

덮으려는 자 펼치려는 자 - 동성애, homo+sexuality 그것을 덮고 있는 장막에 대한 이야기

DB-0002192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DB-0001447

현대 소설에 나타난 '동성애' 고찰: 천운영과 배수아 소설을 중심으로

DB-0001746

한국 개신교의 동성애 논쟁과 사회적 실천: 감정의 동학과 의례를 중심으로

DB-0000071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1]

DB-0000069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2]

TH-0000037

나치독일의 남성성 담론과 동성애 : 남성동맹과 에른스트 룀을 중심으로

DB-0001865

곡기작품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동성애소설

TH-0000210

한국 군대 남성성의 형성과 동성애혐오의 재/생산

DB-0001403

동성애혼인에 대한 법적 개입의 딜레마와 가족이데올로기 해체

DB-0002466

서동진 - 동성애와 동성애자 인권운동 1995.06.26. [전해성 컬렉션]

DX-0000245

[문서-245]동성애자인궝운동....2 : "동성애에 대한 연구"에 대한 연구
검색결과 : 732건 출력

제목| 영상으로 재현된 다양성과 톨레랑스의 문화(1): 동성애를 중심으로

설명|[인문학논총人文學論叢]에 실린 글이며 톨레랑스라는 개념으로 동성애, 범성애, 무성주의 등을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2082

저자|최태규

발행년도|2005

출판사/발행처|한국인문과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인문학논총人文學論叢]에 실린 글이며 톨레랑스라는 개념으로 동성애, 범성애, 무성주의 등을 다루고 있다.
  • [인문학논총人文學論叢]에 실린 글이며 톨레랑스라는 개념으로 동성애, 범성애, 무성주의 등을 다루고 있다.

제목|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타난 동성애의 역(易)학적 연구

설명|[프랑스문화연구]에 게재된 논문이며 마르셀 프루스트의 작품을 분석하고 있다.

식별번호|DB-0002079

저자|최정득

발행년도|2006

출판사/발행처|한국프랑스문화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차이'와 번역연구: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타난 동성애 번역양상을 중심으로

설명|[동서문화]에 실린 논문이며 토마스 만의 소설 [베니스에서의 죽음]이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동성애가 번역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식별번호|DB-0002077

저자|최윤영

발행년도|2003

출판사/발행처|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차이'와 번역연구: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타난 동성애 번역양상을 중심으로

제목| 동성애 차별금지 법안, 반대를 지지한다(2007.03.09.)

설명|한국교회언론회에서 발표한 논평이며, 차별금지법안을 동성애 차별금지법으로 부르면서 입법 추진을 반대하는 내용이다.

식별번호|DB-0001905

저자|한국교회언론회

발행년도|2007

출판사/발행처|한국교회언론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반퀴어-혐오 세력

  • 동성애 차별금지 법안, 반대를 지지한다(2007.03.09.)
  •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발표한 논평이며, 차별금지법안을 동성애 차별금지법으로 부르면서 입법 추진을 반대하는 내용이다.
  •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발표한 논평이며, 차별금지법안을 동성애 차별금지법으로 부르면서 입법 추진을 반대하는 내용이다.

제목| 미시마 유키오의 『금색(禁色)』 론: 동성애와 페티시

설명|[일본근대문학 - 연구와 비평]에 실린 글이며 일본 작가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금색]을 분석한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1858

저자|신성철

발행년도|2002

출판사/발행처|한국일본근대문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한국 개신교 우파의 젠더화된(Gendered) 동성애 반대 운동

설명|격월간지 [말과 활]에 실린 글이다. (2015.2-3)

식별번호|DB-0001037

저자|김나미

발행년도|2015년 2-3월

출판사/발행처|일곱번째숲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 한국 개신교 우파의 젠더화된(Gendered) 동성애 반대 운동

제목| 여성 기혼이반의 삶에 나타나는 동성애 친밀성과 가족규범의 긴장

설명|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 기혼이반 현상을 분석한 연구다. 기혼이반이란 이성애 결혼 상태에 있는 사람이 동성애적 실천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동성 간의 법적 결합을 인정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법과 제도로 보장된 기혼자 특권은 이성애 결혼을 통해서만 획득된다. 따라서 기혼이반은 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동성애적 친밀성을 추구하는 사람들로 결혼제도의…

식별번호|TH-0000108

저자|정의솔

발행년도|2013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미상(정의솔)

주제|가족구성권

  • 여성 기혼이반의 삶에 나타나는 동성애 친밀성과 가족규범의 긴장
  • 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 기혼이반 현상을 분석한 연구다. 기혼이반이란 이성애 결혼 상태에 있는 사람이 동성애적 실천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동성 간의 법적 결합을 인정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법과 제도로 보장된 기혼자 특권은 이성애 결혼을 통해서만 획득된다. 따라서 기혼이반은 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동성애적 친밀성을 추구하는 사람들로 결혼제도의 정상성과 비이성애자의 불안정성을 병행하여 경험한다.본 논문의 목적은 기혼여성이 레즈비언 실천을 하면서 가족관계와 생애를 변형시키고, 확장적 친밀성을 경험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 기혼이반이 규범을 통해 삶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규범의 권위를 탈각하고 있음을 강조한다.본 연구를 위해 2012년 7월부터 2013년 4월까지 8명의 기혼이반 연구참여자와 1명의 보조사례를 심층면접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스스로를 기혼이반으로 명명하는 사람들이고, 연구참여자에는 결혼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과 기혼이반 이행 후 이혼하여 현재 비혼 상태인 사람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본 논문을 통해 밝힌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이반으로의 이행은 비이성애 섹슈얼리티 인지, 가족관계 변형, 레즈비언 자각, 이성애자 특권의 소실과 보완의 과정을 포함한다. 여성 기혼이반들은 각기 다른 사건이나 계기를 통해 레즈비언 정체성을 인식하게 된다. ‘당연한 이성애자’로 살아온 여성들은 레즈비언 정체성을 고민하게 되고, 이들은 부부 관계를 청산할 것인가, 유지할 것인가의 기로에 서기도 한다. 삶에 동성 친밀 관계가 중요해지면서 레즈비언 장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이성애자 기혼여성의 특권에서 멀어지게 된다. 애인과의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고 안정적인 직업으로 직종을 변경하는 등,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특권의 상실을 보완하는 방식을 개발하고 있다.둘째, 기혼이반은 친밀 관계에 기반해 정체성을 자기규정하고, 복합적인 관계를 경험한다. 기혼이반 이행은 익숙하게 살아온 이성애자 여성의 생애에 레즈비언 실천을 기입하는 것이다. 이성애자 지위와 동성애자 지위를 중첩하여 발전시키는 이들의 새로운 정체성은, 기존의 레즈비언이나 동성애자로 포섭할 수 없는 유동적 섹슈얼리티를 내포한다. 선례나 참조집단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들의 자기규정은 구체적인 친밀성의 경험을 자원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친구, 애인, 부부, 파트너, 가족의 여러 차원의 친밀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음을 서사화하고, 이들의 친밀성은 여성 동성 친밀성 스펙트럼의 여러 지점을 차용하는 특성을 가진다.셋째, 기혼이반은 이성애주의적 가족 규범을 문화적 수단으로 이용한다. 기혼이반은 정상가족을 유지하는 이성애자 기혼여성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는 가족과 혼외관계 모두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략이 된다. 가족 규범을 활용하는 전략은 이 여성을 가족중심성으로 포섭할 근거가 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가족이 이 여성들의 수행으로 인해 유지된다는 것을 드러내기도 한다.본 논문은 이성애주의가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포착되지 않는 기혼이반의 경험을 분석한다. 이성애 가족과 친밀 관계에 대한 상상을 상대화하는 기혼이반 현상은 변화하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결혼의 의미를 반영한다. 따라서 기혼이반 경험연구는 여성의 성적 유동성과 친밀성 확장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기 위한 자료가 된다. 기존의 가족 담론은 친밀성이 부재한 부부관계와 가족의 위기를 문제화하고, 이성애 친밀성을 강화하거나 제도적 안정성을 기하여 결혼제도의 정상성을 견고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성애적 ‘정상가족’의 전형과 다르고, 기혼여성 섹슈얼리티에 관한 담론은 이러한 현실에 발맞추어 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 조명하는 기혼이반의 경험적 현실은, 성취되지 않는 부부 친밀성을 동성애 친밀성으로 보완하거나 이성애주의를 역이용하여 제도의 틈새를 만듦으로써 결혼의 위기를 해소하고 있다. 즉, 여성 기혼이반들의 레즈비언 실천이 확장적 섹슈얼리티를 경험하면서 변화하는 가족 상황에 탄력적으로 삶을 재구성하는 행위자성을 발견할 수 있는 지점이라는 것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 기혼이반 현상을 분석한 연구다. 기혼이반이란 이성애 결혼 상태에 있는 사람이 동성애적 실천을 하는 경우를 이른다. 동성 간의 법적 결합을 인정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법과 제도로 보장된 기혼자 특권은 이성애 결혼을 통해서만 획득된다. 따라서 기혼이반은 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동성애적 친밀성을 추구하는 사람들로 결혼제도의 정상성과 비이성애자의 불안정성을 병행하여 경험한다.본 논문의 목적은 기혼여성이 레즈비언 실천을 하면서 가족관계와 생애를 변형시키고, 확장적 친밀성을 경험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 기혼이반이 규범을 통해 삶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규범의 권위를 탈각하고 있음을 강조한다.본 연구를 위해 2012년 7월부터 2013년 4월까지 8명의 기혼이반 연구참여자와 1명의 보조사례를 심층면접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스스로를 기혼이반으로 명명하는 사람들이고, 연구참여자에는 결혼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과 기혼이반 이행 후 이혼하여 현재 비혼 상태인 사람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본 논문을 통해 밝힌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이반으로의 이행은 비이성애 섹슈얼리티 인지, 가족관계 변형, 레즈비언 자각, 이성애자 특권의 소실과 보완의 과정을 포함한다. 여성 기혼이반들은 각기 다른 사건이나 계기를 통해 레즈비언 정체성을 인식하게 된다. ‘당연한 이성애자’로 살아온 여성들은 레즈비언 정체성을 고민하게 되고, 이들은 부부 관계를 청산할 것인가, 유지할 것인가의 기로에 서기도 한다. 삶에 동성 친밀 관계가 중요해지면서 레즈비언 장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이성애자 기혼여성의 특권에서 멀어지게 된다. 애인과의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고 안정적인 직업으로 직종을 변경하는 등,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특권의 상실을 보완하는 방식을 개발하고 있다.둘째, 기혼이반은 친밀 관계에 기반해 정체성을 자기규정하고, 복합적인 관계를 경험한다. 기혼이반 이행은 익숙하게 살아온 이성애자 여성의 생애에 레즈비언 실천을 기입하는 것이다. 이성애자 지위와 동성애자 지위를 중첩하여 발전시키는 이들의 새로운 정체성은, 기존의 레즈비언이나 동성애자로 포섭할 수 없는 유동적 섹슈얼리티를 내포한다. 선례나 참조집단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들의 자기규정은 구체적인 친밀성의 경험을 자원으로 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친구, 애인, 부부, 파트너, 가족의 여러 차원의 친밀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음을 서사화하고, 이들의 친밀성은 여성 동성 친밀성 스펙트럼의 여러 지점을 차용하는 특성을 가진다.셋째, 기혼이반은 이성애주의적 가족 규범을 문화적 수단으로 이용한다. 기혼이반은 정상가족을 유지하는 이성애자 기혼여성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는 가족과 혼외관계 모두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략이 된다. 가족 규범을 활용하는 전략은 이 여성을 가족중심성으로 포섭할 근거가 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가족이 이 여성들의 수행으로 인해 유지된다는 것을 드러내기도 한다.본 논문은 이성애주의가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포착되지 않는 기혼이반의 경험을 분석한다. 이성애 가족과 친밀 관계에 대한 상상을 상대화하는 기혼이반 현상은 변화하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결혼의 의미를 반영한다. 따라서 기혼이반 경험연구는 여성의 성적 유동성과 친밀성 확장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기 위한 자료가 된다. 기존의 가족 담론은 친밀성이 부재한 부부관계와 가족의 위기를 문제화하고, 이성애 친밀성을 강화하거나 제도적 안정성을 기하여 결혼제도의 정상성을 견고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성애적 ‘정상가족’의 전형과 다르고, 기혼여성 섹슈얼리티에 관한 담론은 이러한 현실에 발맞추어 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 조명하는 기혼이반의 경험적 현실은, 성취되지 않는 부부 친밀성을 동성애 친밀성으로 보완하거나 이성애주의를 역이용하여 제도의 틈새를 만듦으로써 결혼의 위기를 해소하고 있다. 즉, 여성 기혼이반들의 레즈비언 실천이 확장적 섹슈얼리티를 경험하면서 변화하는 가족 상황에 탄력적으로 삶을 재구성하는 행위자성을 발견할 수 있는 지점이라는 것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제목| KBS열린토론 제작진행표: 동성애, 청소년 유해성 논쟁 어떻게 볼 것인가?

설명|2004년 청소년보호법 시행령 중 동성애 조항 삭제를 둘러싼 논쟁을 다루고자 기획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제작 진행표와 출연자에게 먼저 보여주는 사전 질문지.

식별번호|DB-0000196

저자|김남광

발행년도|2004

출판사/발행처|KBS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한채윤)

주제|청소년

  • KBS열린토론 제작진행표: 동성애, 청소년 유해성 논쟁 어떻게 볼 것인가?
  • 2004년 청소년보호법 시행령 중 동성애 조항 삭제를 둘러싼 논쟁을 다루고자 기획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제작 진행표와 출연자에게 먼저 보여주는 사전 질문지.
  • 2004년 청소년보호법 시행령 중 동성애 조항 삭제를 둘러싼 논쟁을 다루고자 기획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제작 진행표와 출연자에게 먼저 보여주는 사전 질문지.

제목| 덮으려는 자 펼치려는 자 - 동성애, homo+sexuality 그것을 덮고 있는 장막에 대한 이야기

설명|퀴어 혐오 집단에서 강사 등으로 활동하는 김지연 씨가 쓴 책이다. 김준명, 민성길, 백진희, 이미조, 이윤정, 임수현이 감수를 했다.

식별번호|BO-0000962

발행년도|2019

출판사/발행처|사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덮으려는 자 펼치려는 자 - 동성애, homo+sexuality 그것을 덮고 있는 장막에 대한 이야기

제목|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설명|[청소년 문화포럼]에 실린 논문이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식별번호|DB-0002192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B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현대 소설에 나타난 '동성애' 고찰: 천운영과 배수아 소설을 중심으로

설명|[현대소설연구]에 게재된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1447

저자|정은경

발행년도|2008

출판사/발행처|한국현대소설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현대 소설에 나타난 '동성애' 고찰: 천운영과 배수아 소설을 중심으로

제목| 한국 개신교의 동성애 논쟁과 사회적 실천: 감정의 동학과 의례를 중심으로

설명|[한국사회학]에 실린 글이며 기독교와 동성애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식별번호|DB-0001746

저자|정원희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한국사회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 한국 개신교의 동성애 논쟁과 사회적 실천: 감정의 동학과 의례를 중심으로

제목|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1]

설명|1998년 2월 20일 동성애전문지 '버디' 창간 소식이 전해지면서 각 PC통신에서 동성애 논쟁이 벌어졌었음. 당시 하이텔에서 벌어진 논쟁글을 갈무리한 것. B-69, 70도 이와 비슷한 것.

식별번호|DB-0000071

저자|또러브 외 다수

발행년도|1998

출판사/발행처|PC통신 하이텔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한채윤)

  •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1]
  • 1998년 2월 20일 동성애전문지 '버디' 창간 소식이 전해지면서 각 PC통신에서 동성애 논쟁이 벌어졌었음. 당시 하이텔에서 벌어진 논쟁글을 갈무리한 것. B-69, 70도 이와 비슷한 것.
  • 1998년 2월 20일 동성애전문지 '버디' 창간 소식이 전해지면서 각 PC통신에서 동성애 논쟁이 벌어졌었음. 당시 하이텔에서 벌어진 논쟁글을 갈무리한 것. B-69, 70도 이와 비슷한 것.

제목|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2]

설명|PC통신에서 벌어진 동성애논쟁 중 동성애를 비난하고 인권지지를 반대하는 글을 갈무리. B-71과 관련있음.

식별번호|DB-0000069

저자|김종협 외 다수

발행년도|1998

출판사/발행처|PC통신 하이텔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한채윤)

  • [PC통신 하이텔 동성애 논쟁글 모음 2]

제목| 나치독일의 남성성 담론과 동성애 : 남성동맹과 에른스트 룀을 중심으로

식별번호|TH-0000037

저자|조일구

발행년도|2004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 나치독일의 남성성 담론과 동성애 : 남성동맹과 에른스트 룀을 중심으로

제목| 곡기작품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동성애소설

설명|[일어문학]에 실린 일어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1865

저자|오병우

발행년도|2002

출판사/발행처|일어문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제목| 한국 군대 남성성의 형성과 동성애혐오의 재/생산

설명|"본 논문은 한국 군대 남성성의 형성과 동성애혐오가 재/생산되는 방식을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식별번호|TH-0000210

발행년도|2019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기증(정성조)

제목| 동성애혼인에 대한 법적 개입의 딜레마와 가족이데올로기 해체

설명|동성결혼과 법적 개입에 관한 논문이다.

식별번호|DB-0001403

저자|이소영

발행년도|2007

출판사/발행처|한국법철학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가족구성권

제목| 서동진 - 동성애와 동성애자 인권운동 1995.06.26. [전해성 컬렉션]

설명|1995년 8월 16일에 PC통신 토론방에 QUEER21(서동진)이 게시한 글이다. 서동진이 "제1회 한국동성애자 여름 인권학교"에서 강의한 강의원고며, 서구와의 차이를 반영시키기 위해 노력했다고 쓰고 있다. 끼리끼리 전해성의 기증 자료다. [전해성 컬렉션에 포함된 기록물에는 모두 실명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이 온라인 상으로 유포되는 것을…

식별번호|DB-0002466

발행년도|1995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B

입수경로|기증(전해성)

제목| [문서-245]동성애자인궝운동....2 : "동성애에 대한 연구"에 대한 연구

식별번호|DX-0000245

저자|임희준

출판사/발행처|이정우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