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6.06.11.) 당시 부스행사에 참여한 트랜스젠더 인권단체 조각보에서 제작한 자료다. 변기 모양과 함께 "All Gender Restroom" "jogakbo: transgender.or.kr" "for the Right…
2006년 9월8일~10일에 진행된 2006 레즈비언 문화제 '위험한 레즈비언의 화려한 꿈' 소책자이다. 행사 소개와 시간표, 프로그램 등이 소개되어 있다.
2019년 5월 31일 제20회 서울퀴어문화축제 핑크닷 행사 모습이다. 메인 무대에서 행사를 진행하기 위해 사회작 강명진과 한채윤이 등장하는 모습이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색지로 무지개 형상의 심장, 6색으로 여서 명이 손 잡고 있는 모습과 함께 "무지개농성 포토존"이라고 적혀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성소수자도 모두를 위한 시민이다! 인권헌장 즉각 선포하라! HUMAN RIGHTS FOR EVERYONE"이라고 적혀있다.
이태원에 위치한 게이바 '아웃클래스'에서 일하는 종업원의 모습이다. 그의 헤어스타일이 독특한데, 손님을 위한 서비스라고 한다.
2008년에 시작한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의 기획프로젝트로 10대부터 60대까지 레즈비언 세대간 교류를 위해 제작된 레즈비언 잡지.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성소수자도 시민이다! 성소수자도 인간이다!"이라고 적혀있다.
이화여대 레즈비언 인권운동모임 에서 주최한 두번째 문화제 "하지만 난 레즈비언인걸"의 홍보용 포스터이다. 문화제는 2004년 10월 4~6일까지 진행되었다.
[대한성형외과학회지Archives of Plastic Surgery]에 실린 트랜스젠더의 성전환 수술 관련 논문이다.
2019년 5월 31일 제20회 서울퀴어문화축제 핑크닷 행사 모습이다. 핑크닷 행사장과 서울시청 정문 사이에 설치된 혐오 세력의 천막과 현수막이다. 노란색 현수막에는 "동성애(homosex) NO! 亡國 차별금지법 NO! 동성결혼(同性愛) 금지법 제정 YES!…
한국 최초의 동성애 전문 대중잡지 버디의 창간 기념 고사에서 참석자들이 제를 올리고 있는 장면이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이 열리는 옥스퍼드 거리 풍경이다. 퍼레이드 시작 전 사람들의 모습이다.
2017년 6월 3일 서울역광장에서 진행한 "생명 가정 효 2017 세계가정축제"(한국교회동성애대책협의회 주최, 전체 행사는 2017.06.02.~2017.06.04.)의 행사 현장 모습이다. 사람들이 행진을 하고 있는 모습이며 "음란, 낙태, 동성애는 생명과 가정을…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에 실린 정책 관련 글이다.
자신의 침실에서 일기장을 뒤적이며 당신의 면전에서 반항적인 고백을 쏟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