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엠네스티 한국지부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연대와 협력하여 기획한 2011 인권대학 이슈과정 자료집. 2강 , 3강
2004국가인권위원회 시민실천 프로그램이며 2004년 8월 20일 부산여성성적소수자인권센터 주관으로 부산여성사회교육원 교육실에서 개최. 부산여성성적소수자인권센터의 , 한채윤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부대표의 강의자료집 , 레즈비언인권연구소(LIFL) 박김수진의…
[월간 사회평론 길]에 실린 글이며 10명의 게이와 1명의 레즈비언을 만나고 쓴 글이다.
재단법인 인권재단 사람의 후원을 받아, 여러 단체와 모임이 함께 2014년의 인권 이슈, 인권과 관련해서 기억해야 할 사건을 기록한 자료집이다.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발표회', '최이우 목사,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대구퀴어문화축제',…
[여/성이론]에 실린 논문이며 언어이론을 통해 혐오발언과 퀴어 시민권을 다루고 있다.
2012년 11월 한무지의 죽음을 기리는 자리에서 공개한 한무지의 글 모음집이다. 개인 글 모음으로 그의 활동과 삶을 기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다.
니아까 4호며, 1997년 11월에 나왔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당연한 것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서울시 연세대학교 무지개농성참여단 사랑이닮"이라고 적혀있다.
[외국문화연구]에 실린 글이며 토마스만의 작품에서 동성애를 다루고 있다.
동성애자들로만 구성된 극단-의 첫번째 공연작인 의 홍보 포스터. 국내 최초로 동성애자에 의한 동성애자를 위한 동성애자의 연극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높다. 2호를 참고하면 연극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트랜스젠더 이론에서 법, 역사, 젠더 이론, 정치학 등에 관련한 글을 엮은 책이다
서울 종로 비원 부근에 위치한 게이바 '크레타'의 내부 모습이다. '크레타'는 위치는 종로에 있지만 분위기나 영업 방식은 오히려 이태원의 카페 형태의 게이바와 흡사하여 20~30대의 젊은 층이 많이 이용했다고 한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발표한 논평이며, 군형법 92조 계간 관련 조항을 헌법재판소에서 합헌 결정한 것을 찬성하는 내용이다.
2017년 6월 3일 서울역광장에서 진행한 "생명 가정 효 2017 세계가정축제"(한국교회동성애대책협의회 주최, 전체 행사는 2017.06.02.~2017.06.04.)의 행사 현장 모습이다. 행사장 근처에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 생명 *** 가정 ***…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사진이다.
2019년 5월 19일 제2회 전주퀴어문화축제(슬로건 "퀴어온고을", 장소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의 모습이다. 퍼레이드를 진행하는 도중 전주한옥마을을 걷고 있으며 전동성당과 광주광역시 성소수자 모임 폴라리스의 깃발이 보인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구글코리아에서 판매한 가방이다. 두 안드로이드가 손을 잡고 있으며(손잡은 모습은 하트 모양이다) 무지개 깃발을 흔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