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한국레즈비언상담소의 전신인 끼리끼리 활동가가 직접 촬영했거나, 끼리끼리 활동가의 모습이 담긴 인권활동/방송 영상테이프와 관련한 기록을 담고 있다. 목록과 평가 등이 실려 있다. (2015.06.28)
대한에이즈예방협회에서 발행한 에이즈 관련 정보를 담고 있는 리플릿이다. 앞면에 "얼마나 알고 있나요?"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열여덟 살 지환과 싱글맘 연옥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소설로, 서울시학생인권조례, 레즈비언, 대안가족 등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http://rainbowbookmark.com/xe/2762 참고
HIV/AIDS 최신 동향, 상담, 관리지원 업무 가이드 등을 다룬 자료집이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공식 엽서다. 총 7종의 엽서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특집기사의 한 꼭지. 인권단체들이 펼친 교사지침서, 인권교육매뉴얼 발간, 국정감사 질의 등의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B-142~146 관련자료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 송화로2번길에서 송화로의 굴다리를 지나 참외전로 옆 인도를 따라 동인천역3번 출구 쪽으로 걸어 동인천역3번 출구로 도착한 모습이다. 4시부터 시작한 퍼레이드는 9시가…
2012년 제 13회 퀴어문화축제를 맞이하여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에서 주최한 전시 에서 사용된 현수막이다. 전시 은 퀴어문화축제를 기념하여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와 후천석면역결핍증(AIDS)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레드 리본'은 에이즈…
1999년 6월 26일 이태원에서 열린 한국동성애자단체협의회 1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드랙쇼 경연대회가 벌어지고 있다. 참가자는 롬의 드랙퀸이었던 유민이다.
저 먼 영국에서 살아가는 두 명의 성소수자들의 이야기. 레즈비언이며 부치인 로자와 트랜스 젠더인 잭슨은 카메라에 덤덤히 자신들의 이야기를 한다. 그저 단편적으로 삶의 한 부분만을 이야기 하지만 어느새 그이야기 속에 우리들의 모습이 겹쳐진다.
2003년 한국사회학회/한국문화인류학회 공동 심포지움-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에서 발표한 서동진의 발제문. 해당 발제문은…
트랜스젠더/성전환자 성별변경 관련 법 제정을 위한 공동연대가 "성전환자의 성별변경 등에 관한 특별법안"을 정식으로 발의하기 직전 최종으로 정리한 판본이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차별과는 합의할 수 없다 -청년좌파 회원-"이라고 적혀있다.
1998년 서울 퀴어영화제 폐막제 티켓을 사기 위해 아침부터 줄 서 있는 관객들의 모습이다.
김혜정 작가의 "52hz"는 레즈비언 청소년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2014년 12월 6일부터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및 무지개농성단이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하고 농성을 진행하였는데 이에 예수재단에서 로비의 다른 곳에서 맞불 농성을 진행하였다. 이에 서울시가 예수재단에게 발송한 퇴거 요청서다.
풋풋하게 다가와 공허하게 깨져버리는 알다가도 모르는 사랑. 각기 다른 사랑방식, 만남과 이별을 가진 이들에게 캔디레인이라는 정체 모를 이로부터 소포가 도착한다. 사랑하면서도 이해 하지 못하는 관계 속에서 그들은 과연 어떻게 서로를 공감하고 감싸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