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7 제1회 부산퀴어문화축제(2017.09.23.토, 부산시 해운대 구남로문화광장)의 공식 굿즈 중 하나다. 6색 무지개를 형상하는 치마를 입고 있는 모습의 사진을 담은 L자 파일이며 사진은 김민수님이 제공했다.
한국 HIVㆍAIDS 감염인 연대 카노스(KANOS)에서 제작한 뱃지이다.
[철학과 현상학연구]에 실린 논문으로 그리스의 남성동성애를 일부 다루고 있다.
2018 전주 퀴어문화축제(2018.04.07. 전주 풍남문 일대)의 공식 굿즈 중 하나다. 검은색 캔버스백이며 토끼의 뒷모습과 함께 전주를 뜻하는 ㅈㅈ라는 글씨가 적혀 있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한 노동자연대에서 배포한 격주간 간행물이다. 퀴어문화축제를 환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15.06.09)
2004.01.29. 헌법재판소 결정문이며 인터넷 사이트 엑스존의 청소년유해매체 결정 관련 제기한 위헌 소송을 다루고 있다.
2016년 3월 4일부터 6일까지 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을 진행했다. 그 중 본행사인 3월 5일 6일은 등록비가 있고, 이 기록물은 "1일 입장권"이다. 가격은 7,000원이다.
한국 첫 성소수자 단체인 초동회의 소식지다.
이태원 '롬' 앞에서 자칭 킹카 커플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0-30대 레즈비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레즈비언으로서 겪는 차별 실태를 파악하여, 국내 레즈비언 인권운동 단체 과제 선정 및 레즈비언 관련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 데이터 확보를 위해 실시한 조사자료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총 198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재즈 제닝스(Jazz Jennings)의 자서전 "Being Jazz: My Life as a (Transgender) Teen"을 홍보하는 문서다.
한국레즈비언상담소에서 10여년 간의 상담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여성/성소수자와 지지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을 정리한 자료집이다. 문서B-820 http://queerarchive.org/bbs/167427 과 함께 배포되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성소수자를 유령으로 만들텐가? 시장 나와!"라고 적혀있다.
[한국서양중세사학회 연구발표회]에 발표한 발표요약문이며 참회서에 나타나는 여성 간 동성성애적 행위도 같이 다루고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한국여성민우회의 '일이삼반' 스티커와 함께 "어떻게 존재를 못 본척 해요? 안 보이세요? 안경 새로 맞춰드릴까요? 큰 걸로~! 일이삼반이 십시일반 모아서 해드릴께요!"라고…
한동협 대표 LT에서 각 단체의 현재 상황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
정희진이 쓴 "양성평등에 반대한다"(인터섹스 이슈를 다루고 있다), 루인이 쓴 "음란과 폭력을 다시 생각한다: 000 지검장 사건과 퀴어 범죄학"과 한채윤이 쓴 "왜 한국 개신교는 '동성애 혐오'를 필요로 하는가?"가 실려 있다.
2017 제1회 제주퀴어문화축제(2017.10.28. 제주신산공원)를 앞두고 제주 시청 앞에 설치된 현수막과 피켓이다. 노란색 바탕에 "에이즈 감염자 1인당 1달 약값 500만원 이상 1000% 정부지원 추가지원 100%(간병비, 요양비) 정부지원"이라고 적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