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정의당이 201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발표한 정책공약집 중 분야별공약집이다. 성소수자 지원과 관련하여 차별금지법, 동반자등록법, 혐오범죄 가중처벌, 표준이력서 도입, 감염인 인권, 트랜스젠더/성전환자 성별변경 관련 항목, 군대 내 성소수자 차별 금지 등을…
[독일어문학]에 실린 논문이며 독일 여성영화에 나오는 레즈비언 여성 등을 다루고 있다.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이 열리는 옥스퍼드 거리 풍경이다. 퍼레이드 시작 전 사람들의 모습이다.
2015.10.10. 노동당 성정치위원회에서 진행한 트랜스젠더 특별강연이 끝난 뒤 촬영한 사진이다. 서지류 문서B-1326과 연결된다.
서울대학교 성소수자 동아리 Queer In Snu(QIS, 큐이즈)에서 발간하는 정기간행물 21호다. 구성원들의 글이 실려 있다.
txttxttxt에서 발간한 간행물이다. 게이와 연애감정의 전달, 신체, 이미지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개정할 헌법에 차별금지로 해석할 수 있는 구절에서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 인종, 언어, 장애 등"이라고 하여 '등'애 동성혼 등이 들어갈 수 있는 의도가 있으며 성평등을 명기하여 가정의 가치와 질서를 허물려는 의도가 있다고…
퀴어영화 관계자들이 영화제가 열리는 서울 선재아트센터의 출입구 한쪽에 부스를 마련하고 후원인을 모집하고 있다.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에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We are all born Free and Equal"이라고 적혀있다.
에는 다이크가 나오지 않는다. 팜므도 나오지 않는다. 섹스도, 유혹도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는 친숙한 대중문화와 일상생활의 이미지를 짜깁기하여 레즈비언 세계를 에워싼 삶의 문제들을 경쾌하게 질문한다. 오르가즘 중독자들이여, 잠시 가쁜 숨을 멈추고, 얘기를 나누는 게…
서울시 어린이ㆍ청소년 인권조례안 제정을 지지하고, 서울특별시의회의 통과를 촉구하는 내용의 전단지이다. 2012년 10월 12일에 발행되었다.
인터넷에서, 그리고 전화 구인광고를 가득 채운 짝짓기 광고. 그 광고들은 정체성의 무도회가 아닐 수 없다. 체중과 키, 그리고 피부색과 체위, 인종, 흡연 여부와 병력, 이 모든 정체성들의 조합이 광고게시판을 메운다. 하이퍼테크놀로지 시대의 퀴어들의 욕망과 정체성에…
[생명과 말씀]에 실린 글이다.
2013년 6월 6일부터 6월 16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와 KU시네마테크에서 진행된 제 13회 서울LGBT영화제의 리플렛이다. 영화제 상영 일정과 섹션별 영화 소개, 그 외 함께 진행되는 행사들을 소개하고 있다.
남장여자를 모티프로 한 로맨스 소설로 등장 인물 중 한명은 mtf/트랜스여성(트랜스젠더)이다. (설명 출처: http://rainbowbookmark.com/xe/2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