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의 퍼레이드 날(2014.06.07.), 퍼레이드가 끝나고 진행한 애프터 파티 [하악(惡), 하악(惡)]의 홍보 겸용 티켓이다.
여성 이반 커뮤니티와 개인 참가자들이 모여 만든 반성폭력네트워크는 여성 이반 커뮤니티 내 성폭력 근절을 위한 모임이다. 이 기록물은 상담사례집으로서, 여성들 간에 발생하는 성폭력 사례들을 정리하고 있다.
세계트랜스젠더보건의료전문가협회(WPATH)에서 발간하는 "트랜스섹슈얼, 트랜스젠더, 성별비순응자를 위한 건강관리실무표준" 7판을 비온뒤무지개재단이 기획에서 번역한 자료집이다. 비온뒤무지개재단이 기획 출판했고 한정연, 이은실이 책임 번역을 했으며, 윤다림, 이승현,…
하하호호'에서 공연자들이 쇼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2002년 김홍신 의원이 대표발의한 "성전환자의성별변경에관한특례법안"을 발의하기 위해 사전에 진행한 입법공청회 자료집이다. 송영길 사회, 김홍신 발제에, 김주덕, 이경주, 박영률, 문유석, 정은기, 이석태가 토론에 참가했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여했으며 퀴어문화축제 공식후원 업체인 이반시티IVANCITY에서 제작한 기념품이다. 플라스틱 재질의 부채며 한쪽엔 축제 공식 로고가 적혀 있고 다른 쪽엔 "차이가 차별이 될 수는 없습니다. Some People…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시장님, 나와서 얘기 좀 합시다"라고 적혀있다.
1998년 10월 15일~18일 사이에 홍대역 안에서 열린 '지하 만화전'의 모습이다. '지하 만화전' 총 기획자 이동준씨와 'Queer'전 책임자 장설화씨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메르스가 대유행하고 있는데 퀴어문화축제를 개최하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내용이다.
영화 '벨벳 골드마인'과 뉴퀴어시네마에 대해 분석하는 글.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이슈로 서울시청 로비를 점거한 무지개농성단의 피켓이다. "우리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성소수자들에게 사과하고 인권헌장을 예정대로 선포하길 요구합니다! 성소수자 혐오와 차별에 분명히 반대하고 성소수자 인권보장을 약속할 때까지 이곳에서…
[밤나무골 이야기]에 실린 문종비 현덕왕후 이야기다.
섹슈얼리티/성담론에 대한 미국 보수 신교의 개입 역사 비판적 독해와 퀴어 입장에서 새로운 신학 담론 제시
2017 제1회 제주퀴어문화축제(2017.10.28. 제주신산공원)를 앞두고 제주 시청 앞에 설치된 현수막과 피켓이다. 노란색 바탕에 "에이즈 감염자 1인당 1달 약값 500만원 이상 1000% 정부지원 추가지원 100%(간병비, 요양비) 정부지원"이라고 적힌…
스파르타쿠스'에서 진행된 섹시드랙퀸 쇼의 한 장면. 노래를 부르는 드랙퀸의 감정이 고조되고 있다.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린 1998 서울 퀴어영화제 개막식 무대 모습이다. 여균동 감독과 문화평론가 이재현이 개막식 사회를 보았다.
한국교회언론회에서 낸 논평이며, 김조광수, 김승환 커플이 서울 서대문구청장을 상대로 낸 소송에 대해 서울서부지법이 각하 결정을 내렸고 "이는 지극히 당연한 헌법적 판단"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2018년 9월 8일 제1회 인천퀴어문화축제 행사장(동인천북광장)의 모습이다. 동인천북광장 근처에 위치한 송화로2번길에서 발생한 장면이다. 송화로2번길 중간 즈음을 점거한 반퀴어 혐오 세력이 끌려나간 뒤 축제는 퍼레이드를 재개했다. 하지만 곧 송화로와 송화로2번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