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찾아보기

찾아보기

  • 축제지역  서울시
검색결과 : 2260건 검색

제목| 2014년 제2차 서대문구 인권위원회 임시회 회의록

설명|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두번째 임시회에선 승인취소 이슈를 직접 논의했다. (2014.06)

식별번호|DB-0001266

저자|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반퀴어-혐오 세력

  •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두번째 임시회에선 승인취소 이슈를 직접 논의했다. (2014.06)
  •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두번째 임시회에선 승인취소 이슈를 직접 논의했다.
  • 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 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 서울시

제목| 2014년 제1차 서대문구 인권위원회 임시회 회의록

설명|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이번 임시회에선 보고안건으로 축제 이슈를 다뤘다. (2014.05)

식별번호|DB-0001265

저자|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서대문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반퀴어-혐오 세력

  •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이번 임시회에선 보고안건으로 축제 이슈를 다뤘다. (2014.05)
  •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이번 임시회에선 보고안건으로 축제 이슈를 다뤘다.
  • 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 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 서울시

제목| 클럽 트랜스의 쇼걸들과 그 관객들: 드랙쇼의 연행과 주도권의 구성

설명|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사전세션: 퀴어-젠더 연구세션에서 손성규가 발표한 발표문이다. 이태원에 위치한 클럽 트랜스(Trance)에서 진행하는 드랙쇼를 분석했다. (2016.03)

식별번호|DB-0001246

저자|손성규

발행년도|2016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주제|드랙; 업소

  • 서울시

제목| 퀴어 안보국가: 한국에서의 경찰폭력, 주권, 자유

설명|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사전세션: 퀴어-젠더 연구세션에서 팀 깃즌이 발표한 발표문이다. 2015년 서울 퀴어문화축제 개막식, 부스행사 및 퍼레이드 당시 경찰이 행사장을 바리케이트로 둘러쌓는데 이를 비판적으로 논하는 내용이다. (2016.03)

식별번호|DB-0001245

저자|팀 깃즌

발행년도|2016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 서울시

제목| 당신의 인권이 여기 있다: 무지개 농성 백서 2014.12.06-11

설명|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2014년 12월 6일부터 11일까지 진행한 무지개농성의 기록을 담음 백서다. (2015.12.16)

식별번호|DA-0000396

저자|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 서울시

제목| 모두의 성찬: 성소수자 지지 교회의 사례로 본 퀴어 기독교인 시민권

설명|본 논문은 비이성애자와 트랜스젠더를 비롯한 성소수자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퀴어성과 종교적 신앙을 조응시키고 통합적인 퀴어 기독교인 시민권 모델을 구축하는지를 서울의 성소수자 지지 교회 한 곳의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지금까지 비규범적 젠더 및 섹슈얼리티에 대한 대중적 논의에서는 “성소수자 VS. 기독교”라는 대립 구도가 만연했다. 성소수자로서의 성격과…

식별번호|TH-0000157

저자|임유경

발행년도|2015년 2월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기증(임유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 서울시

제목| THE 더러운 커넥션: 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설명|2016년 제8회 LGBTI 인권포럼 자료집이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진행했다. 사전연구포럼이 따로 진행되었으며(이는 자료집에 수록되지 않았으며 퀴어락에 별도로 등록되었다), 여성혐오, 종교, 레즈비언, 트랜스젠더퀴어, 제도, 부치, 유권자운동, 에이즈, 동성커플 등의 이슈를 다뤘다. (2016.03)

식별번호|DA-0000394

저자|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야몽실/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주제|트랜스젠더퀴어; HIV/AIDS

  • 서울시

제목| 2015 퀴어문화축제 시민문화예술 교육 : 마성의 다정촌 Story Book

설명|퀴어문화축제는 2014년에 이어 2015년에도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마성의 다정촌을 진행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드로잉, 연극 교육 등의 행사를 진행하며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이 스토리북은 마성의 다정촌 행사를 기록한 자료집이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5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제작되었다. (2015.12.31)

식별번호|DA-0000390

저자|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인디/퀴어문화축제)

  • 서울시

제목| 나쁜 엄마

설명|열여덟 살 지환과 싱글맘 연옥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소설로, 서울시학생인권조례, 레즈비언, 대안가족 등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http://rainbowbookmark.com/xe/2762 참고

식별번호|BO-0000778

저자|박성경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문학과지성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가족구성권

  • 서울시

제목| 성소수자들의 공간 전유와 커뮤니티 만들기: 이태원 소방서 골목 사례 연구

설명|[서울도시연구]에 실린 논문이며 이태원 지역 LGBT/퀴어, 성적소수자(트랜스젠더퀴어, 게이)의 문화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다. (2013.03)

식별번호|DB-0001228

저자|한유석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서울연구원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주제|트랜스젠더퀴어

  • 서울시

제목| 2008 서울시 보건관리자 워크숍

설명|서울시 에이즈 현황, 국가의 관리정책, 최신 경향을 다룬 자료집이다.

식별번호|DA-0000285

저자|최종식; 남정구
방지환
; 고영수

발행년도|2008

출판사/발행처|대한에이즈예방협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박광서)

주제|HIV/AIDS

  • 2008 서울시 보건관리자 워크숍
  • 서울시 에이즈 현황, 국가의 관리정책, 최신 경향을 다룬 자료집이다.
  • 서울시 에이즈 현황, 국가의 관리정책, 최신 경향을 다룬 자료집이다.
  • 서울시

제목| 2009년 서울시 동주민센터 사회복지사 전문교육

설명|서울시의 에이즈 현황, 사회복지 등을 다룬 자료집이다.

식별번호|DA-0000278

저자|최종식; 이지현; 이상말

발행년도|2009

출판사/발행처|대한에이즈예방협회서울특별시지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박광서)

주제|HIV/AIDS

  • 2009년 서울시 동주민센터 사회복지사 전문교육
  • 서울시

제목| 교회와 동성애: 호모포비아 극복하기 -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초청 강연

설명|2010 퀴어문화축제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한,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강연회 자료집이다.

식별번호|DA-0000261

저자|테드 제닝스; 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10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기획단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서울시

제목| 프로젝트 그날들: 2014 놓치지 말아야 할 인권의 기록, 기억의 사전

설명|재단법인 인권재단 사람의 후원을 받아, 여러 단체와 모임이 함께 2014년의 인권 이슈, 인권과 관련해서 기억해야 할 사건을 기록한 자료집이다.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발표회', '최이우 목사,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대구퀴어문화축제', '퀴어문화축제 신촌 퍼레이드',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서울시청 점거 농성' 등이 실려 있다.

식별번호|DA-0000254

저자|프로젝트 그날들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프로젝트 그날들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퀴어문화축제&인디)

  • 서울시

제목| 우리들의 차이에 직면하다: 교회 그리고 게이, 레즈비언 교인들

설명|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서 번역한 책이다. 2015년 12월 17일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와 성소수자의 동등한 인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에서 주최한 행사 "사랑으로 혐오를 갚으리라~ 108명의 의인을 기다립니다"에서도 배포되었다.

식별번호|DA-0000250

저자|알렌 브레쉬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인디, 캔디)

  • 서울시
제안서

제목| 제안서

설명|친구사이가 한동협 내 모든 단체에 돌린 제안서로 2회 청소년 동성애 학교와 퀴어 페스티벌 혹은 성정치 문화제 공동 개최를 제안하는 내용. 2000년 제 1회 퀴어문화축제 이전의 아이디어가 어땠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에이즈와 노동조합 운동과의 연대 모색도 엿볼 수 있다.

식별번호|DB-0000133

저자|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발행년도|1999

출판사/발행처|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BUDDY)

주제|HIV/AIDS; 청소년

  • 서울시

제목| 제5기 여성장애인 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설명|한국여성장애인연합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가 '서울특별시 2005년도 여성발전기금 지원 사업'의 지원으로 진행한 제5기 여성장애인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이다. 교육은 2005년 6월 7일부터 7월 23일까지(화(18:30-21:00), 토(14:00-20:00)) 서울여성프라자 2층 NGO 센터에서 진행했다. 이 자료집엔 7월 9일 17:00부터…

식별번호|DA-0000074

저자|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발행년도|2005

출판사/발행처|사단법인 한국여성장애인연합 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서울시

제목| 반차별운동공동행동, 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옥외 집회 금지통고 이의에 관한 건

설명|서울시지방경찰청에 보내는 공문

식별번호|DB-0000482

저자|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후원비 문제제기 사과문]

식별번호|DB-0000456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착복 의혹 관련 문서]

식별번호|DB-0000455

저자|이송희일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서울시
  • 축제지역  서울시
검색결과 : 2260건 출력

2014년 제2차 서대문구 인권위원회 임시회 회의록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2014년 제1차 서대문구 인권위원회 임시회 회의록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클럽 트랜스의 쇼걸들과 그 관객들: 드랙쇼의 연행과 주도권의 구성

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사전세션: 퀴어-젠더 연구세션에서 손성규가 발표한 발표문이다. 이태원에 위치한 클럽 트랜스(Trance)에서 진행하는 드랙쇼를 분석했다. (2016.03)

퀴어 안보국가: 한국에서의 경찰폭력, 주권, 자유

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사전세션: 퀴어-젠더 연구세션에서 팀 깃즌이 발표한 발표문이다. 2015년 서울 퀴어문화축제 개막식, 부스행사 및 퍼레이드 당시 경찰이 행사장을 바리케이트로 둘러쌓는데 이를 비판적으로 논하는…

당신의 인권이 여기 있다: 무지개 농성 백서 2014.12.06-11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2014년 12월 6일부터 11일까지 진행한 무지개농성의 기록을 담음 백서다. (2015.12.16)

모두의 성찬: 성소수자 지지 교회의 사례로 본 퀴어 기독교인 시민권

본 논문은 비이성애자와 트랜스젠더를 비롯한 성소수자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퀴어성과 종교적 신앙을 조응시키고 통합적인 퀴어 기독교인 시민권 모델을 구축하는지를 서울의 성소수자 지지 교회 한 곳의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지금까지 비규범적…

THE 더러운 커넥션: 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2016년 제8회 LGBTI 인권포럼 자료집이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진행했다. 사전연구포럼이 따로 진행되었으며(이는 자료집에 수록되지 않았으며 퀴어락에 별도로 등록되었다), 여성혐오, 종교, 레즈비언, 트랜스젠더퀴어, 제도,…

2015 퀴어문화축제 시민문화예술 교육 : 마성의 다정촌 Story Book

퀴어문화축제는 2014년에 이어 2015년에도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마성의 다정촌을 진행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드로잉, 연극 교육 등의 행사를 진행하며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이 스토리북은 마성의 다정촌 행사를 기록한 자료집이며,…

나쁜 엄마

열여덟 살 지환과 싱글맘 연옥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소설로, 서울시학생인권조례, 레즈비언, 대안가족 등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http://rainbowbookmark.com/xe/2762 참고

성소수자들의 공간 전유와 커뮤니티 만들기: 이태원 소방서 골목 사례 연구

[서울도시연구]에 실린 논문이며 이태원 지역 LGBT/퀴어, 성적소수자(트랜스젠더퀴어, 게이)의 문화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다. (2013.03)

2008 서울시 보건관리자 워크숍

서울시 에이즈 현황, 국가의 관리정책, 최신 경향을 다룬 자료집이다.

2009년 서울시 동주민센터 사회복지사 전문교육

서울시의 에이즈 현황, 사회복지 등을 다룬 자료집이다.

교회와 동성애: 호모포비아 극복하기 -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초청 강연

2010 퀴어문화축제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한,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강연회 자료집이다.

프로젝트 그날들: 2014 놓치지 말아야 할 인권의 기록, 기억의 사전

재단법인 인권재단 사람의 후원을 받아, 여러 단체와 모임이 함께 2014년의 인권 이슈, 인권과 관련해서 기억해야 할 사건을 기록한 자료집이다.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발표회', '최이우 목사, 국가인권위원회…

우리들의 차이에 직면하다: 교회 그리고 게이, 레즈비언 교인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서 번역한 책이다. 2015년 12월 17일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와 성소수자의 동등한 인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에서 주최한 행사 "사랑으로 혐오를 갚으리라~ 108명의 의인을 기다립니다"에서도 배포되었다.
제안서

제안서

친구사이가 한동협 내 모든 단체에 돌린 제안서로 2회 청소년 동성애 학교와 퀴어 페스티벌 혹은 성정치 문화제 공동 개최를 제안하는 내용. 2000년 제 1회 퀴어문화축제 이전의 아이디어가 어땠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에이즈와…

제5기 여성장애인 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한국여성장애인연합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가 '서울특별시 2005년도 여성발전기금 지원 사업'의 지원으로 진행한 제5기 여성장애인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이다. 교육은 2005년 6월 7일부터 7월…

반차별운동공동행동, 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옥외 집회 금지통고 이의에 관한 건

서울시지방경찰청에 보내는 공문

[퀴어문화축제 후원비 문제제기 사과문]

[퀴어문화축제 착복 의혹 관련 문서]

  • 축제지역  서울시
검색결과 : 2260건 출력

DB-0001266

2014년 제2차 서대문구 인권위원회 임시회 회의록

DB-0001265

2014년 제1차 서대문구 인권위원회 임시회 회의록

DB-0001246

클럽 트랜스의 쇼걸들과 그 관객들: 드랙쇼의 연행과 주도권의 구성

DB-0001245

퀴어 안보국가: 한국에서의 경찰폭력, 주권, 자유

DA-0000396

당신의 인권이 여기 있다: 무지개 농성 백서 2014.12.06-11

TH-0000157

모두의 성찬: 성소수자 지지 교회의 사례로 본 퀴어 기독교인 시민권

DA-0000394

THE 더러운 커넥션: 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DA-0000390

2015 퀴어문화축제 시민문화예술 교육 : 마성의 다정촌 Story Book

BO-0000778

나쁜 엄마

DB-0001228

성소수자들의 공간 전유와 커뮤니티 만들기: 이태원 소방서 골목 사례 연구

DA-0000285

2008 서울시 보건관리자 워크숍

DA-0000278

2009년 서울시 동주민센터 사회복지사 전문교육

DA-0000261

교회와 동성애: 호모포비아 극복하기 -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초청 강연

DA-0000254

프로젝트 그날들: 2014 놓치지 말아야 할 인권의 기록, 기억의 사전

DA-0000250

우리들의 차이에 직면하다: 교회 그리고 게이, 레즈비언 교인들

DB-0000133

제안서

DA-0000074

제5기 여성장애인 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DB-0000482

반차별운동공동행동, 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옥외 집회 금지통고 이의에 관한 건

DB-0000456

[퀴어문화축제 후원비 문제제기 사과문]

DB-0000455

[퀴어문화축제 착복 의혹 관련 문서]
  • 축제지역  서울시
검색결과 : 2260건 출력

제목| 2014년 제2차 서대문구 인권위원회 임시회 회의록

설명|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두번째 임시회에선 승인취소 이슈를 직접 논의했다. (2014.06)

식별번호|DB-0001266

저자|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반퀴어-혐오 세력

  •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두번째 임시회에선 승인취소 이슈를 직접 논의했다. (2014.06)
  •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두번째 임시회에선 승인취소 이슈를 직접 논의했다.
  • 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 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 서울시

제목| 2014년 제1차 서대문구 인권위원회 임시회 회의록

설명|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이번 임시회에선 보고안건으로 축제 이슈를 다뤘다. (2014.05)

식별번호|DB-0001265

저자|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서대문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반퀴어-혐오 세력

  •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이번 임시회에선 보고안건으로 축제 이슈를 다뤘다. (2014.05)
  •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를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에서 진행하려 했고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대문구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그런데 보수기독교 혹은 반퀴어 집단에서 서대문구에 항의를 했고 서대문구청장은 직권으로 장소 승인을 취소했다. 이에 서대문구 인권위원회에서 임시회를 개최하였는데 이번 임시회에선 보고안건으로 축제 이슈를 다뤘다.
  • 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 서울시 서대문구 정책기획담당관
  • 서울시

제목| 클럽 트랜스의 쇼걸들과 그 관객들: 드랙쇼의 연행과 주도권의 구성

설명|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사전세션: 퀴어-젠더 연구세션에서 손성규가 발표한 발표문이다. 이태원에 위치한 클럽 트랜스(Trance)에서 진행하는 드랙쇼를 분석했다. (2016.03)

식별번호|DB-0001246

저자|손성규

발행년도|2016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주제|드랙; 업소

  • 서울시

제목| 퀴어 안보국가: 한국에서의 경찰폭력, 주권, 자유

설명|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사전세션: 퀴어-젠더 연구세션에서 팀 깃즌이 발표한 발표문이다. 2015년 서울 퀴어문화축제 개막식, 부스행사 및 퍼레이드 당시 경찰이 행사장을 바리케이트로 둘러쌓는데 이를 비판적으로 논하는 내용이다. (2016.03)

식별번호|DB-0001245

저자|팀 깃즌

발행년도|2016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 서울시

제목| 당신의 인권이 여기 있다: 무지개 농성 백서 2014.12.06-11

설명|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2014년 12월 6일부터 11일까지 진행한 무지개농성의 기록을 담음 백서다. (2015.12.16)

식별번호|DA-0000396

저자|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 서울시

제목| 모두의 성찬: 성소수자 지지 교회의 사례로 본 퀴어 기독교인 시민권

설명|본 논문은 비이성애자와 트랜스젠더를 비롯한 성소수자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퀴어성과 종교적 신앙을 조응시키고 통합적인 퀴어 기독교인 시민권 모델을 구축하는지를 서울의 성소수자 지지 교회 한 곳의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지금까지 비규범적 젠더 및 섹슈얼리티에 대한 대중적 논의에서는 “성소수자 VS. 기독교”라는 대립 구도가 만연했다. 성소수자로서의 성격과…

식별번호|TH-0000157

저자|임유경

발행년도|2015년 2월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논문

입수경로|기증(임유경)

주제|트랜스젠더퀴어

  • 서울시

제목| THE 더러운 커넥션: 2016 제8회 LGBTI 인권포럼

설명|2016년 제8회 LGBTI 인권포럼 자료집이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진행했다. 사전연구포럼이 따로 진행되었으며(이는 자료집에 수록되지 않았으며 퀴어락에 별도로 등록되었다), 여성혐오, 종교, 레즈비언, 트랜스젠더퀴어, 제도, 부치, 유권자운동, 에이즈, 동성커플 등의 이슈를 다뤘다. (2016.03)

식별번호|DA-0000394

저자|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발행년도|2016

출판사/발행처|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야몽실/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주제|트랜스젠더퀴어; HIV/AIDS

  • 서울시

제목| 2015 퀴어문화축제 시민문화예술 교육 : 마성의 다정촌 Story Book

설명|퀴어문화축제는 2014년에 이어 2015년에도 시민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마성의 다정촌을 진행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드로잉, 연극 교육 등의 행사를 진행하며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이 스토리북은 마성의 다정촌 행사를 기록한 자료집이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5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제작되었다. (2015.12.31)

식별번호|DA-0000390

저자|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인디/퀴어문화축제)

  • 서울시

제목| 나쁜 엄마

설명|열여덟 살 지환과 싱글맘 연옥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소설로, 서울시학생인권조례, 레즈비언, 대안가족 등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http://rainbowbookmark.com/xe/2762 참고

식별번호|BO-0000778

저자|박성경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문학과지성사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단행본

입수경로|수집(퀴어락)

주제|가족구성권

  • 서울시

제목| 성소수자들의 공간 전유와 커뮤니티 만들기: 이태원 소방서 골목 사례 연구

설명|[서울도시연구]에 실린 논문이며 이태원 지역 LGBT/퀴어, 성적소수자(트랜스젠더퀴어, 게이)의 문화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다. (2013.03)

식별번호|DB-0001228

저자|한유석

발행년도|2013

출판사/발행처|서울연구원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기증(루인)

주제|트랜스젠더퀴어

  • 서울시

제목| 2008 서울시 보건관리자 워크숍

설명|서울시 에이즈 현황, 국가의 관리정책, 최신 경향을 다룬 자료집이다.

식별번호|DA-0000285

저자|최종식; 남정구
방지환
; 고영수

발행년도|2008

출판사/발행처|대한에이즈예방협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박광서)

주제|HIV/AIDS

  • 2008 서울시 보건관리자 워크숍
  • 서울시 에이즈 현황, 국가의 관리정책, 최신 경향을 다룬 자료집이다.
  • 서울시 에이즈 현황, 국가의 관리정책, 최신 경향을 다룬 자료집이다.
  • 서울시

제목| 2009년 서울시 동주민센터 사회복지사 전문교육

설명|서울시의 에이즈 현황, 사회복지 등을 다룬 자료집이다.

식별번호|DA-0000278

저자|최종식; 이지현; 이상말

발행년도|2009

출판사/발행처|대한에이즈예방협회서울특별시지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박광서)

주제|HIV/AIDS

  • 2009년 서울시 동주민센터 사회복지사 전문교육
  • 서울시

제목| 교회와 동성애: 호모포비아 극복하기 -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초청 강연

설명|2010 퀴어문화축제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한, 미국 시카고 신학대 테드 제닝스 교수 강연회 자료집이다.

식별번호|DA-0000261

저자|테드 제닝스; 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10

출판사/발행처|퀴어문화축제 기획단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서울시

제목| 프로젝트 그날들: 2014 놓치지 말아야 할 인권의 기록, 기억의 사전

설명|재단법인 인권재단 사람의 후원을 받아, 여러 단체와 모임이 함께 2014년의 인권 이슈, 인권과 관련해서 기억해야 할 사건을 기록한 자료집이다.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발표회', '최이우 목사,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대구퀴어문화축제', '퀴어문화축제 신촌 퍼레이드',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서울시청 점거 농성' 등이 실려 있다.

식별번호|DA-0000254

저자|프로젝트 그날들

발행년도|2014

출판사/발행처|프로젝트 그날들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퀴어문화축제&인디)

  • 서울시

제목| 우리들의 차이에 직면하다: 교회 그리고 게이, 레즈비언 교인들

설명|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서 번역한 책이다. 2015년 12월 17일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와 성소수자의 동등한 인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에서 주최한 행사 "사랑으로 혐오를 갚으리라~ 108명의 의인을 기다립니다"에서도 배포되었다.

식별번호|DA-0000250

저자|알렌 브레쉬

발행년도|2015

출판사/발행처|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인디, 캔디)

  • 서울시

제목| 제안서

설명|친구사이가 한동협 내 모든 단체에 돌린 제안서로 2회 청소년 동성애 학교와 퀴어 페스티벌 혹은 성정치 문화제 공동 개최를 제안하는 내용. 2000년 제 1회 퀴어문화축제 이전의 아이디어가 어땠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에이즈와 노동조합 운동과의 연대 모색도 엿볼 수 있다.

식별번호|DB-0000133

저자|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발행년도|1999

출판사/발행처|한국남성동성애자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미상(BUDDY)

주제|HIV/AIDS; 청소년

  • 서울시

제목| 제5기 여성장애인 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

설명|한국여성장애인연합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가 '서울특별시 2005년도 여성발전기금 지원 사업'의 지원으로 진행한 제5기 여성장애인성폭력 전문상담원 교육자료집이다. 교육은 2005년 6월 7일부터 7월 23일까지(화(18:30-21:00), 토(14:00-20:00)) 서울여성프라자 2층 NGO 센터에서 진행했다. 이 자료집엔 7월 9일 17:00부터…

식별번호|DA-0000074

저자|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발행년도|2005

출판사/발행처|사단법인 한국여성장애인연합 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서울시

제목| 반차별운동공동행동, 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옥외 집회 금지통고 이의에 관한 건

설명|서울시지방경찰청에 보내는 공문

식별번호|DB-0000482

저자|성소수자차별저지긴급행동

발행년도|2007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입수경로|수집(KSCRC)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후원비 문제제기 사과문]

식별번호|DB-0000456

저자|동성애자인권연대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서울시

제목| [퀴어문화축제 착복 의혹 관련 문서]

식별번호|DB-0000455

저자|이송희일

발행년도|2002

기록유형|서지류

기록형태|문서

  • 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