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미국 올랜도 클럽 펄스 총기난사 사건을 애도하기 위해 만든 6색 무지개 리본이다. 펄스 근처에서 나눠준 것이라고 한다.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린 1998 서울 퀴어영화제 개막식 모습이다.
2017 제1회 제주퀴어문화축제(2017.10.28. 제주신산공원) 행사 당일의 모습이다. 행사장인 신산공원의 기념광장으로 가는 입구의 모습이다. 입구에 "제1회 제주퀴어문화축제 The 1st Jeju Queer Culture Festival 퀴어옵써예! Please…
87년 HIV 오판 사건으로 97년 2월 국가배상을 청구했던 정민숙 씨의 인터뷰 사진이다.
"편견을 넘어 함께 보는 무지개 세상"이라는 제목의 홍보 리플릿이다. 동성애자에 대한 올바른 용어 쓰기, 성소수자 자녀를 둔 부모와 가족들이 가질 수 있는 물음들, 주변 사람이 커밍아웃을 한다면?, 나도 혹시 호모포비아? 등의 내용이 수록돼 있다. (아름다운 재단의…
시드니 마디그라 2001(Sydney Gay & Lesbian Mardi Gras) 퍼레이드 시작 전의 풍경이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1999년에 퍼낸 책. 이 자료는 그 책에서 동성간 성폭력에 대해 언급한 부분과 성전환자 피해자에 대해 다룬 부분만 복사한 문서다.
이화레즈비언인권운동모임 변태소녀하늘을날다의 두 번째 레즈비언 문화제 "하지만 난 레즈비언인 걸" 자료집이다. 행사는 2004년 10월 4일부터 6일까지 진행했다. 편집위원은 나루, 마틸다, 뺨, 어린, 코아, 파라, 파스, 포포, 휘린, ZigZag다.
3장에 "게이(동성) 부부와 아이들"이 실려있다.
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발간되던 웹진 에 실렸던 기사로, 유럽의 동화정치와 퀴어 정치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기독교사회윤리]에 실린 글이며 신약에 나타나는 동성애를 논하고 있다.
2016 제17회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에서 만든 퀴어문화축제 및 퀴어영화제 홍보 팜플릿이다.
2015퀴어문화축제 부스행사(2015.06.28.)에 참가한 청소년성소수자 커뮤니티 라틴에서 배포한 홍보물이다. 무료로 배포한 스티커로 무지개색 배경에 "Q"라고 적혀있다.
2019년 5월 19일 제2회 전주퀴어문화축제(슬로건 "퀴어온고을", 장소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의 모습이다. 퍼레이드를 진행하는 길에 선 혐오세력으로, "성적타락의 극치 동성애 만연 하나님 심판 가정파괴 국가파괴"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서울시민인권헌장 관련, 강북권역 토론회의 결과 정리 문서다. 총 6개 조가 토론을 했고(문서B-782부터 문서B-797까지) 이것은 3조의 토론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토론은 2014.10.17.에 진행했고 결과파일은 2014.10.28.에 공개되었다.
다섯 명의 부치가 모여서 어린시절, 스타일, 페미니즘, 핵심, 정체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눈 대담 자료다. 출처는 "그림,, 부치를 알려주마, 부치대담!, 월간 언니네 84호, 2007" http://bit.ly/12eEnza. 인터넷 출력본.
일본에서 나온 책을 2013년 퀴어 아카데미 세미나에 사용하기 위해 번역한 판본이다.
ftm/트랜스남성인 재미슨 그린이 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