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검색어 :  성소수자  퀴어  LGBT  커밍아웃  인권
화면확대하기 화면축소하기 프린트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에 공유하기

둘러보기

둘러보기

한국여성성소수자네트워크 무지개숲 발족식 때 나줘준 발족식 자료집이다.
2008년 초에 LGBTQ 캠프를 진행했는데, 캠프를 가기 전 1박 2일의 워크숍을 했었다. 그 워크숍에서 각 범주와 관련해서 배우자는 취지로 발제를 했고, 이 글은 당시의 발제문이다.
본 논문은 국내의 도시권리 담론에서 섹슈얼리티 관점이 부재했다는 점에 주목해서 기존 공간학계가 성적 반체제자(sexual dissidents)와 성애화된 도시공간(sexualized urban space)을 공론장에서 배제해왔음을 주장한다. 이에 필자는 도시 권리담론을…
근로관계에서는 근로자에 대해 합리적 이유 없는 차별이 행해질 가능성이 적지 않다. 특히 사용자가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를 자의적으로 달리 대우하는 문제는 이미 법적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비록 이 문제를 직접적으로 규율하는 명시적인 차별금지규정은 아직…
[문화/과학]에 실린 퀴어 성노동 관련 글이다.
군대 내에서 동성간의 합의된 성관계도 처벌하는 군형법 제92조의5를 논하고 있다
2014 제15회 퀴어문화축제 스페셜 이벤트로 진행한 "성소수자와 공적공간 - 물의인가, 무리인가" 행사의 속기록이다. 속기록은 기즈베, 캔디, 야릉이 작성했다. (2014.06.11)
한국사회가 다원화, 개방화,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면서 갈등과 분쟁의 이슈가 다양해지고 발생빈도도 증가하면서 갈등과 분쟁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한국사회 관용의식의 수준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삶이 보이는 창] 2014년 11-12월호에 실린 글이다.
비온뒤무지개재단에서 [트랜스섹슈얼, 트랜스젠더, 성별비순응자를 위한 건강관리실무표준 제7판]을 번역하고 한국어판을 발간하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진행한 발표회 자료집이다. 최인광의 "영국의 젠더 클리닉과 트랜스젠더 진료", 이은실의 "건강관리실무표준 제7판 개괄",…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에서 진행한 연구 보고서로 불자 성소수자가 겪는 어려움과 불교계에 요구하는 사항을 다루었다. 효록스님이 책임연구원이며 박상준, 김광미가 연구보조원으로 참가했다. (2016.04)
세계트랜스젠더보건의료전문가협회(WPATH)에서 발간하는 "트랜스섹슈얼, 트랜스젠더, 성별비순응자를 위한 건강관리실무표준" 7판을 비온뒤무지개재단이 기획에서 번역한 자료집이다. 비온뒤무지개재단이 기획 출판했고 한정연, 이은실이 책임 번역을 했으며, 윤다림, 이승현,…
성소수자 부모모임과 행동하는 성소수자 인권연대가 공동 주관하고, 성소수자 부모모임,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중앙대학교 성소수자 동아리 레인보우피쉬,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BK플러스 사업팀, 중앙대학교 인권센터가 공동 주최하고 주한미국대사관이 후원한 행사 '아시아…
2016 4.13 국회의원선거(총선)을 앞두고 활동을 시작한 레인보우보트의 활동 보고서다. (2016.05.04)
고 육우당의 13주기를 맞아 진행한 추모기도회의 기도문이다. (2016.04.25)
이 논문은 일본 오사카의 무용동호회 팅가라(가명)의 사례를 통해, 남성 동성애자들이 공통된 취미생활, 사교, 연행 등을 통해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며, 점차 게이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해 가는 과정을 민족지적으로 살펴본 논문이다.
퀴어문화축제와 퍼레이드를 방해하려는 세력에 반대를 표하고 평화로운 모두의 축제를 지지하는 의미에서, 기독교를 비롯한 범종교계(개신교, 원불교, 천주교, 불교) 시민단체 및 개인이 모여 '평화의 인간 띠 잇기'를 진행함을 알리는 기자회견문이다. (2016.06.23)
미국 트랜스젠더인 케이틀린 제너가 표지를 장식한 베니티페어다.
2016 4.13 국회의원선거(총선)를 앞두고 발간한 인권 가이드다. 성적 소수자 이슈를 함께 다루고 있다.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자치도서관 015B에서 발간하는 잡지를 읽고 쓴 서평이다. 저자가 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며 겪은 경험 등을 같이 다루고 있다.